■<주식투자.IPO등>

[Report] ■인성이엔티.아이에스동서.태영건설등 폐기물 관련주 지속성장.대기업 PEF등 대규모 자금 본격진출

Bonjour Kwon 2021. 8. 27. 08:34
■엔씨소프트
달라진 시장 환경, 높았던 기대
블소 2가 26일 자정 출시되었으나, 초반 매출 순위 상승 속도는 리니지M이나 리니지2M보다 느린 상황. 매출과 트래픽이 시장 기대를 하회할 가능성 높음

예상을 하회하는 블소 2의 초반 성과로 내년 이익 추정치 하향이 불가피. 이제 남은 추정치 상향 요소는 연말 출시되는 리니지W의 기대를 넘어서는 성과

내년 이익 전망 하향을 반영하면 현재 남은 주가 상승 여력은 제한적. 주가 조정 이후 리니지W 출시 기대에 따른 재 진입 시점을 모색해야 될 시점


■천보) : 조정을 매수 기회

▶ 2차전지 소재 매출 증가세 지속 천보의 2차전지 소재 부문 매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 2차전지 소재 부문(전사 실적 대비 매출 비중 63%, 리튬염 전해질 및 첨가제 합산) 분기 매출은 2019년부터 2020년 상반기까지 120억원~170억원 수준 머물렀으나 2020년 3분기 178억원, 2020년 4분기 273억원, 2021년 1분기 305억원, 2021년 2분기 374억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특히 주력 제품인 F 전해질 매출이 2020년 3분기 83억원, 2020년 4분기 159억원, 2021년 1분기 157억원, 2021년 2분기 232억원으로 증가하며 실적 성장 견인했다. F 전해질은 배터리 방출 용량 및 수명과 관련된 소재로써, 고객사 수요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해 천보는 지난 7월 자회사 천보BLS 통해 F 전해질 증설에 돌입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전사 CAPA는 2023년 1.2만톤, 2026년 2.7만톤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한편, 매출 비중 28% 차지하는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소재 부문 매출은 반도체 소재 수요 증가로 QoQ +11% 증가했다. ▶ 가파른 실적 성장 지속 3분기 실적은 매출 670억원(YoY +75%, QoQ +11%), 영업이익 121억원(YoY +71%, QoQ +26%)로 성장세 지속될 전망이다. 2차전지 소재 부문의 경우 신규 CAPA 가동으로 인한 Q 증가 기반 매출 증가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2차전지 소재 부문 합산 매출은 2021년 3분기 462억원, 2021년 4분기 570억원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전방 수요 성장과 F, P 전해질의 시장 침투율 상승 동반되며 연간 실적은 2022년 매출 3,770억원(YoY +49%), 영업이익 744억원(YoY +54%), 지배순이익 632억원(YoY +48%), 2023년 4,930억원(YoY +31%), 영업이익 998억원(YoY +35%), 지배순이익 849억원(YoY +35%)으로 가파른 성장이 전망된다. 2차전지 소재 매출은 2020년 760억원, 2021년 1,711억원, 2022년 2,909억원, 2023년 4,014억원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 목표주가 30만원 최근 자회사 BLS의 증설은 2024년~2026년 실적에 영향을 주는 것이므로 2023년 실적 추정치는 유지하였다. 다만, 장기 실적 가시성 증대로 EPS 평균 성장률이 35% 이상에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Target P/E를 30배에서 35배로 상향하여 목표주가를 30만원으로 상향한다.

■인성이엔티.IS동서등

쑥쑥 크는 폐기물 시장이 ‘금광’으로 주목받는 이유

입력2021.08.25 0
4년 뒤 24조원 규모로 고성장
사모펀드 뛰어들며 M&A 흥행 가도
ESG 부합·안정적 수익 창출로 투자 매력 부각

[비즈니스 포커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전 세계적으로 쓰레기 처리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폐기물 처리 관련 사업이 인기를 끌고 있다. 2017년 중국이 폐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한 가운데 한국에서 처리해야 할 폐기물 양이 급증한 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비대면 소비가 늘면서 폐기물 양이 더욱 증가했다.

폐기물 산업은 인허가 사업이라는 특성과 규제, 지역 주민의 반대 등으로 신규 업체의 진입 장벽이 높다. 폐기물 처리 시설에 대한 수요가 공급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폐기물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하루 폐기물 발생량은 2017년 42만9500톤에서 2018년 44만6100톤, 2019년 49만7200톤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광고

최근 5년간 폐기물 매립 단가는 연평균 15%, 소각 단가는 연평균 9%씩 올랐고 업계에서는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분석한다.

폐기물 시장이 커지면서 한국 폐기물 처리 시장 규모는 2018년 16조7000억원에서 2025년 23조7000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존 폐기물 산업은 군소업체가 난립했지만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대기업이 잇따라 뛰어들고 있다. 이 때문에 해외에서처럼 대형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래픽=배자영 기자
그래픽=배자영 기자
친환경 신사업 찾는 건설업계 캐시카우로 부상


폐기물 처리 관련 사업 진출과 확장에 적극적인 곳은 건설업계다. 건설업계가 폐기물 처리 사업에 눈독을 들이는 이유는 경기 변동에 따라 수주 부침이 큰 건설 사업의 수익 구조를 보완할 수 있고 한 번 설비를 갖추면 안정적 현금 흐름이 나오기 때문이다.

폐기물 처리 사업은 건설업과 달리 경기 변동에 따른 부침이 적어 안정적 수익률을 누릴 수 있고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에도 부합하는 비즈니스 모델로 미래 먹거리를 찾는 건설 업체들이 주목하고 있다.

SK에코플랜트(구 SK건설)는 폐기물 사업 확장에 드라이브 걸며 공격적 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SK에코플랜트는 올해 5월 사명을 변경하고 건설업을 벗어나 종합 환경 기업으로 전환할 것을 선언하고 친환경·신에너지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며 ESG 경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SK에코플랜트는 약 2000억원을 투자해 도시환경·이메디원·그린환경기술 등 폐기물 소각 기업 3개사를 인수하기 위한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

도시환경과 이메디원은 의료 폐기물 처리 전문 기업으로, 하루 처리 용량은 각각 44톤, 59톤 규모다. 그린환경기술은 사업장 폐기물 소각 기업으로, 하루 처리 용량은 90톤이다.
그래픽=배자영 기자
그래픽=배자영 기자
의료 폐기물 소각은 병원균의 2차 감염 우려로 규제가 엄격해 진입 장벽이 높다. 인구 고령화와 소득 수준 향상에 따른 의료기관 이용의 증가로 미래 성장성이 높은 분야로 꼽힌다.

SK에코플랜트는 이번 인수로 1일 기준 의료 폐기물 소각 용량을 139톤으로 늘렸다. 한국 시장점유율 2위로 도약할 것으로 전망된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해 1조원을 투입해 인수한 환경시설관리(구 EMC홀딩스)를 앵커로 활용한 ‘볼트온(유사 기업과의 인수·합병)’ 전략에 따라 지난 6월 클렌코·대원그린에너지·새한환경·디디에스 등 폐기물 소각 기업 4곳을 인수한 바 있다.

이번에 추가로 3곳을 더 인수하면서 하루 968톤(의료 폐기물 제외)의 사업장 폐기물 소각 용량을 보유한 한국 1위 사업자 지위로 올라섰다.

SK에코플랜트가 ESG 관련 분야 인수·합병(M&A)에 2023년까지 3조원을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힌 만큼 향후 추가 인수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현재 사모펀드가 경영 중인 폐기물 처리 관련 기업들은 잠재적 매물로 거론된다.

중견 건설 업체인 IS동서도 폐기물 처리 관련 업체를 잇따라 인수하며 사업 다각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IS동서는 2017년 건설 폐기물 처리 업체 인선이엔티를 인수한 데 이어 폐기물 소각 업체 코엔텍, 금속 폐기물 처리 업체 타운마이닝캄파니 등을 인수했다. 태영건설은 계열사인 TSK코퍼레이션을 통해 폐기물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사모펀드 인수로 대형화 추세 확산


글로벌 사모펀드(PEF) 운용사들은 일찍부터 폐기물 시장에 뛰어들었다. 2017년까지 지역 기반의 독과점적 지위로 폐기물 처리 사업을 하던 수백 개의 개인 사업자들이 강화되는 환경 규제와 그에 따른 투자 부담으로 기업을 매각하기 시작했고 PEF들의 M&A 거래가 활발해졌다.

신규 진입이 어려운 산업 특성상 대기업들은 M&A를 통해 관련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PEF들이 과감한 투자와 볼트온 전략을 활용해 기업을 대형화한 뒤 다시 대기업에 매각하는 방식으로 엑시트(투자금 회수)하면서 폐기물 시장의 판도가 대기업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

글로벌 최대 사모펀드인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와 한국의 중견 사모펀드 운용사인 E&F의 활동이 두드러진다.
그래픽=배자영 기자
그래픽=배자영 기자
KKR은 2020년 SK에코플랜트·삼양사 등으로부터 TSK코퍼레이션의 잔여 지분 34%를 매입했고 같은 해 의료 폐기물 처리 기업인 ESG청원, ESG 등의 지분을 각각 100%, 73%씩 매입했다.

KKR은 이들 3사 인수에만 1조3000억원을 투입했다. E&F는 환경 기업 인수와 매각에서 성과를 내고 있고 IS동서와 컨소시엄 형태로 인수 혹은 엑시트하는 모습이다.

해외에서도 폐기물 처리 기업 관련 M&A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북미 전역 내 가장 큰 매립지와 처리 시설 네트워크를 보유한 미국 1위 폐기물 관리 업체인 웨이스트매니지먼트(WM)는 2019년 4위 어드밴스드디스포절(AD)을 29억 달러에 인수했다.

미국은 웨이스트매니지먼트·리퍼블릭서비스 등 빅3 업체의 점유율이 58%에 달하며 민간 시장 내에서는 80%에 이른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도 미국처럼 M&A를 통해 폐기물 처리 기업들의 대형화 추세가 확산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옥희 기자 ahnoh05@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