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해외부동산

일본이 조성한 경제특구 턱밑에 중국 정유시설…미얀마에서 일본 '뒤통수' 친 중국

Bonjour Kwon 2016. 4. 9. 06:24

 

2016-04-08

 

중국, 미얀마 다웨이특구에 30억달러 들여 정유시설 건설 

미얀마에 공들여 온 일본 "특구 계획 전체 재검토할 판"

 

일본이 미얀마에 조성 중인 경제특구 턱밑에 중국이 미얀마 최대 정유시설을 짓기로 하면서 일본 정부와 기업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미얀마는 인구 6000만명에 한반도 3.5배 넓이의 국토를 보유한 데다 천연자원까지 풍부해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일본 정부는 2011년 미얀마에 민간 정부가 출범한 이후 미얀마와의 경제 협력에 공을 들여왔다.

 

중국도 지난달 새로 들어선 미얀마 정부와의 밀접한 관계를 기반으로 미얀마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아시아의 마지막 ‘프런티어 마켓’이라고 불리는 미얀마를 선점하려는 양국의 각축전이 갈수록 뜨겁다.

 

◆중국, 미얀마에 정유시설 투자

 

8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미얀마투자위원회(MIC)는 지난달 말 중국 광둥전룽에너지가 제출한 정유시설 투자 계획을 승인했다. 정유시설은 일본과 태국 양국 정부 주도로 조성하고 있는 미얀마 다웨이경제특구 근처에 들어선다. 총 투자액은 30억달러(약 3조4600억원)로 2019년 이후 가동할 예정이다. 미얀마군 계열 기업인 미얀마이코노믹스홀딩스와 지방 주요 기업도 공동으로 참여한다. 

 

광둥전룽에너지는 하루 10만배럴의 정유시설뿐 아니라 유조선이 정박할 수 있는 항구와 액화석유가스(LPG) 관련 시설도 함께 짓는다. 대부분 제품은 미얀마 국내에 공급하며 정유시설을 완성한 뒤에는 주변에 석유화학단지를 조성하는 방안이 예상된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2002년 설립된 광둥전룽에너지는 중동에서 원유를 수입해 중국에 공급하는 중국 국유기업 주하이전룽이 최대주주다. 사실상 중국의 에너지 안보를 담당하는 국유기업이 미얀마 기초산업 투자에 뛰어드는 것이다. 

 

미얀마 경제특구 개발에서 일본은 그동안 중국보다 앞서 있었다. 지난해 9월 운영에 들어간 미얀마의 첫 번째 특별경제구역(SEC)인 틸라와경제특구를 조성했다. 지분상으로는 일본(49%)이 미얀마(51%)보다 작지만 일본인이 최고경영자(CEO)를 맡는 등 개발을 주도했다. 태국 방콕에서 300㎞ 떨어진 곳에 있는 다웨이특구 역시 자금조달 문제로 일본이 뒤늦게 가세하면서 태국과 공동으로 조성하고 있다.

 

중국은 차우퓨특구를 맡아 중국 윈난성~미얀마~벵골만을 잇는 가스관·도로·철도 등의 연결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 경제특구에는 앞으로 중국과 일본 기업이 각각 진출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뒤통수 맞은 일본 

 

일본은 자국 기업이 대거 진출한 태국처럼 미얀마를 ‘제2의 태국’으로 활용한다는 전략 아래 미얀마에 적극적인 자금 공세를 펼쳐왔다. 2013년엔 53억달러 규모의 공적개발원조(ODA)를 지원하면서 최대 공여국 지위에 올랐다.

 

미얀마에 진출한 일본 기업은 2014년 말 250개로, 2011년 이후 3년 만에 네 배로 급증했다. 군사정권 시절 미국 등 서방의 대(對)미얀마 제재 속에서도 미얀마 주요 인사의 일본 방문이나 실무자 연수 등을 통해 유대관계를 지속해온 덕분이다.

 

중국은 지난해 6월 아웅산수지 여사를 처음으로 중국에 초청했다. 아웅산수지 여사는 시진핑 국가주석과 회담하는 등 국빈급 예우를 받았다. 지난달에는 시 주석이 미얀마의 차기 대통령으로 선출된 아웅산수지 여사의 최측근 틴쪼 당선인에게 축전을 보내며 관계 강화를 도모했다. 아웅산수지 여사는 외무장관으로 입각한 이후 첫 공식 일정으로 지난 5일 왕이 중국 외교부 장관을 맞았다. 미얀마 정부가 광둥전룽에너지의 최대 정유시설 투자를 승인한 것도 왕이 외교부 장관 방문을 앞두고 이뤄졌다. 

 

미얀마와의 개발 협력에서 중국보다 한발 앞서 있다고 판단해 온 일본은 뒤통수를 맞은 분위기다. 아웅산수지 외무장관이 해외 인사 중 왕이 외교부 장관을 처음으로 만난 것은 그동안 일본과의 관계를 떠나 실리 외교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보여준 것이란 해석이다. 

 

다웨이특구 개발에 참여한 일본계 기업 관계자는 “중국이 정유시설 건설에 앞서가면 특구 계획 전체를 재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