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2.27
작년 12월 세종시와 다산신도시에서 공급된 세종e편한세상 푸르지오와 다산진건 B5 자연앤e편한세상의 청약경쟁률은 각각 평균 27.9대1과 23.4대1을 기록했다. 11·3 대책 이후 분양 성적으로는 양호한 편이었다.
이들 단지의 공통점은 민간참여 공공분양 아파트라는 것. 한국토지주택공사(LH)나 경기도시공사와 같은 공공기관이 토지를 제공하고 시공은 민간건설사에서 공사비를 조달해 짓는 방식이다.
가장 큰 무기는 인근 시세보다 저렴한 분양가다. 세종e편한세상 푸르지오의 가격은 3억3000만원대(전용 84㎡)였다. 2월 현재 같은 2-1생활권에서 거래된 분양권 가격은 3억5000만원(더하이스트 L4블록)이 넘는다. 분양가가 시세보다 2000만원 이상 저렴하다. 다산진건B5 자연앤e편한세상은 인근 시세보다 1억원 정도 저렴했다.
올해 선뵈는 민간참여 공공분양 아파트에도 관심이 쏠린다. 고덕국제신도시에서 선보이는 GS건설의 `고덕신도시 자연&자이(A9블록)`가 대표적. 고덕국제신도시 최초의 분양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동양건설산업의 `고덕파라곤`과 민간 대 민간참여 공공분양으로 비슷한 시기 분양맞대결이 예상된다. 현지 부동산 업계에선 이 지역 민간분양가가 3.3㎡당 1100만원 안팎이 될 것으로 예상하는데, GS건설은 `자연&자이`가 민간참여 공공분양인 만큼 이보다 저렴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자연&자이`는 총 755가구 규모로 가장 선호도가 높은 84㎡ 위주로 공급된다. 부산시 기장군 `일광택지개발지구`에서도 부산도시공사와 대림산업, GS건설, 대우건설 등이 함께 하는 민간참여 공공분양이 쏟아진다. `일광지구 e편한세상`과 `일광 자이푸르지오` 등이 대기 중이다.
주의해야 할 점도 있다. 청약조건이 일반 민간분양보다 까다롭다. 가구주 및 가구원 전원이 주택을 소유하고 있지 않아야 하고 과거 당첨 사실도 없어야 청약 자체가 가능하다. 평택이나 부산시의 경우 조정대상지역이 아니라서 전매제한기간이 1년이지만, 하남시는 소유권 이전등기 시까지 전매가 불가능하다. 재당첨 제한도 세다. 일반 지역은 85㎡ 초과 면적의 경우 1년, 85㎡ 이하 인기 평형의 경우 3년간 재당첨이 안되고, 하남과 같은 수도권 과밀 억제권역에 속하는 곳은 85㎡ 이하는 5년, 85㎡ 초과는 3년간 재당첨이 금지된다.
[
'기업형임대관리업.뉴스테이.임대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거복지의 대안, "사회주택"의 의미있는 진화 청년주거 공유주택 허그 셰어하우스에서 나홀로 어르신 위한 맞춤형 공공원룸주택까지 (0) | 2017.02.28 |
---|---|
지지부진한 '재개발 뉴스테이' 속도 높인다. 국토부 '정비사업 연계 기업형임대사업자 선정기준' 개정안 행정예고…입찰보증금 등 신설 (0) | 2017.02.28 |
고령자 주거 선택권 확대…‘시니어 뉴스테이 단지’ 조성. 고령친화용품 개발…재가서비스·재활로봇산업 활성화 추진 (0) | 2017.02.28 |
보금자리 아파트 분양 전면 중단.LH·경기교육청, 학교용지 싸움 (0) | 2017.02.24 |
주금공, 주택 임대사업 진출 검토.연금담보 주택 활용…현재는 계약종료땐 경매로 일괄 처분 헐값처분 부담 덜고 향후 쏟아질 물량 조절 포석 (0) | 2017.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