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10.27
LS그룹과 한국전력공사가 한국 기술력으로 건설한 일본 훗카이도 최대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가 완공됐습니다.
LS그룹은 어제(26일) 일본 훗카이도 치토세시에서 구자열 회장과 한전 조환익 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28메가와트급 치토세 태양광발전소 준공식을 열고 운영을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한전의 첫 해외 태양광 발전소 사업이자 LS산전이 일본에서 처음 진행한 에너지저장장치 연계 태양광 발전소 사업으로 발전소 건설비용만 113억엔 우리나라 돈으로 약 1천119억원입니다.
LS산전과 한국전력공사가 한국 기술력으로 추진한 일본 홋카이도(北海道) 최대 규모 태양광 발전소가 완성됐다. 한전의 해외 첫 태양광 발전소이자, LS산전이 일본에서 처음 진행한 에너지저장장치(ESS) 연계 발전소 건설(EPC)ㆍ운영(O&M) 사업이다.
LS그룹과 한전은 26일 홋카이도 치토세시(千歲市)에서 조환익 한전 사장과 구자열 LS 회장, 구자균 LS산전 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28메가와트(㎿)급 ‘치토세 태양광발전소’ 준공식을 열고 본격적인 운영에 돌입했다.
치토세 태양광발전소는 일본 최초의 ESS 연계 융복합 태양광발전소로, 홋카이도 신치토세국제공항 부근 108만㎡ 부지에 설치한 태양광 모듈 약 13만장과 13.7메가와트시(㎿h)급 ESS로 구성됐다. 총 사업비는 113억엔(약 1,120억원)이 투입됐다.
26일 일본 홋카이도 치토세 태양광발전소에서 (왼쪽 두번째부터 순서대로) 구자균 LS산전 회장, 구자열 LS그룹 회장, 조환익 한전 사장 등이 준공식을 하고 있다. LS그룹 제공
특수목적법인(SPC) 지분 80%를 보유한 최대주주 한전은 현지 신재생에너지 기업 에너지 프로덕트(EP)와 함께 개발과 투자를 주도했다. LS산전은 97억엔(약 980억원) 규모의 사업을 수주해 책임준공과 발전효율을 보증했고, 10여 개 국내 기업이 기자재 등을 납품했다. LS산전은 향후 20년 간 이 발전소를 운영ㆍ유지한다.
치토세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는 전력판매계약(PPA)을 체결한 홋카이도전력을 통해 향후 20년에 걸쳐 킬로와트시(㎾h)당 40엔에 판매될 예정이다. 연간 1만여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28㎿의 전력이 판매되면 한전은 317억엔(약 3,174억원)의 판매금과 64억엔(약 640억원) 규모의 배당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날 준공식에 참석한 구자열 LS 회장은 “LS산전이 한국 대표 전력기업 한전과 함께 대한민국 기술로 홋카이도 최대 태양광발전소를 구축한 것은 상징적인 일”이라며 “신재생에너지 분야는 물론 마이크로그리드, 해저케이블, 초고압직류송전 등 LS그룹이 강점을 지닌 전력 분야에 신기술을 접목해 에너지 산업 패러다임을 주도하겠다”고 밝혔다.
<
ㅡㅡㅡ
구자열 '준비된 4차'…신재생 강국 일본도 놀랐다
LS, 한국전력과 손잡고 일본에 ESS 태양광 발전소
태양광으로 생산된 전력
ESS 저장 뒤 필요할때 꺼내 써
LS산전, 20년간 운영·유지
스마트팩토리·신재생에너지 '속도
'
LS그룹이 한국전력과 손잡고 지난해 4월 수주한 일본 홋카이도 태양광 발전소가 26일 완공됐다. 지난 50여 년간 전력 송·배전 부품사업에 주력해온 LS그룹이 앞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본격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LS그룹은 이날 일본 홋카이도 지토세시에서 구자열 LS그룹 회장(사진), 구자균 LS산전 회장, 조환익 한국전력 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28(메가와트)급 지토세 태양광발전소 준공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지토세 발전소는 태양광발전으로 생산한 전력을 에너지저장장치(ESS)에 저장한 뒤 필요할 때 꺼내 쓸 수 있는 ESS 연계 태양광발전소다. 일본 지역에 완공된 첫 ESS 태양광발전소다.
기지개 켜는 에너지사업
LS산전은 설계·조달·시공(SPC)과 향후 20년간 발전소 운영·유지(O&M) 업무를 총괄한다. LS산전이 해외에서 ESS 연계 태양광에너지 발전사업을 하는 것도 처음이다. 이번 발전 프로젝트 지분 80%를 보유한 한국전력은 그동안 LS그룹이 축적해온 ESS 기술과 태양광발전소 건설 노하우를 높이 평가해 LS그룹과 손을 잡았다.
LS는 이번 발전소 완공을 계기로 그룹의 미래 성장동력인 에너지 발전사업을 본격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구 회장은 “이번 프로젝트 성공을 계기로 신재생에너지는 물론 마이크로그리드, 해저케이블, 초고압직류 송전 등 LS그룹이 강점을 지닌 전력 분야에 신기술을 접목해 에너지산업 패러다임을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 회장은 요즘 그룹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정보통신기술(ICT),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을 경영에 적극 접목하도록 임직원을 독려하고 있다.
지난해 9월 그룹 연구개발(R&D) 성과공유회의(T-페어)에선 “미국의 전기 자동차 테슬라가 LS그룹의 강력한 경쟁자로 돌변하고 있다”고 경고해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테슬라가 생산하는 전기자동차에 활용되는 ESS 기술이 앞으로 LS산전의 시장을 잠식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수익성도 좋아
빅데이터, AI 등의 기술은 향후 LS그룹 에너지사업에 영향을 미칠 주요 변수로 부각되고 있다. 전기를 송·배전하는 과정에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 혁신을 제공할 수 있어서다.
구 회장은 이에 따라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을 추진하면서도 과거처럼 단순 전력 기기를 공급하거나 공장을 건설하던 것에서 벗어나 ESS와 연계한 전력 생산과 판매, 발전소 장기 운용 등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LS산전 관계자는 “태양광발전과 ESS를 연계하면 태양광발전 설비를 단독 설치했을 때보다 수익성이 35%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미국 독일 등 선진국은 ESS와 연계된 태양광발전사업 수익률이 연간 10% 안팎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장기간 안정적인 수익을 거둘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이번에 완공된 지토세 태양광발전소는 프로젝트 사업자인 한국전력이 1만여 가구에 공급할 수 있는 28 전력을 판매해 20년간 총 317억엔(약 3170억원)의 수익을 거둘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와 별도로 64억엔(약 640억원)의 배당 수익도 기대할 수 있다. 프로젝트 총사업비는 113억엔(약 1130억원)이다.
좌동욱 기자 leftking@hankyung.com
관련기사
ㅡ
ⓒ hankyung.com All rights reserved.
'■<주식투자.IPO등> > 태양광·ESS·폐기물·연료전지발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화솔라파워, 문경서 농지 임대 태양광 발전사업 (0) | 2017.10.30 |
---|---|
효성, 신재생에너지 미래성장동력으로 육성. ‘ESS’ 통해 전력 지속·안정 공급 (0) | 2017.10.27 |
신재생에너지목표 (현 7%->30년20%로) 6개 발전사, 33GW신재생에 총80조(각사마다 10조~20조)3곳은 감당도못해.20GW 민간에지원금 주면 100조 (0) | 2017.10.26 |
미국 풍력·태양광 1300억달러 시장 열린다.신재생에너지 투자 급부상 유럽도 '신재생'에 투자 기회 경제 급성장 인도 주목해야 (0) | 2017.10.26 |
10년간 태양광·풍력 훼손된 산림, 여의도의 10배" 캐나다 온타리오의 신재생 비극…. 전기료10년63% 급등호주,신재생에너지 정책포기 (0) | 2017.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