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2천620억원·강북 203억원…강남 3구 재산세 전체의 37% 차지
2018-07-16 06:00:09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서울에서 재산세를 가장 많이 내는 자치구인 강남구와 가장 적게 내는 강북구의 세금 부과액 차이가 13배까지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12배보다 격차가 더 커졌다.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가 내는 재산세는 서울 전체 재산세의 37%를 차지했다.
서울시는 올해 7월 납부분 재산세 1조6천138억원에 대한 세금고지서 419만건을 우편 발송했다고 16일 밝혔다.
재산세는 주택·건물 소유자를 대상으로 매년 7월과 9월 부과된다. 7월에는 주택 50%, 건물, 선박, 항공기가 과세 대상이다. 9월에는 나머지 주택 50%와 토지에 과세한다.
이번에 부과된 재산세는 지난해 같은 기간(1조4천640억원)보다 10.2%(1천498억원) 증가했다.
주택 재건축이 활발해진 영향으로 공동주택(아파트) 재산세 부과 건수가 2.9% 늘었다. 단독주택(0.8%)보다 증가 폭이 크다. 오피스텔 신축 영향으로 상가 등 비주거용 건물 재산세 부과 건수도 2.5% 늘었다.
재산세 과세표준이 되는 주택공시가격은 아파트가 작년보다 10.2%, 단독주택은 7.3%, 비주거용 건물은 3.0% 올랐다.
자치구별 재산세 부과액은 강남구가 2천62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서초구 1천716억원, 송파구 1천574억원으로 '강남 3구'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3개 자치구가 내는 재산세가 전체의 36.6%(강남 16.2%·서초 10.6%·송파 9.8%)를 차지했다.
재산세 부과액이 가장 적은 구는 강북구로 203억원이었고, 이어 도봉구 232억원, 중랑구 263억원 등 순이었다.
작년과 비교한 재산세 증가율은 송파구(15.1%)가 가장 높았다. 강서구(14.3%)와 강남구(13.4%), 용산구(13.2%), 성동구(12.9%)도 10%대 증가율을 보였다.
서울시는 자치구 간 재정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올해 징수하는 재산세 중 1조847억원을 공동 재산세로 분류해 25개 자치구에 473억원씩 균등 배분한다.
재산세 납부기한은 이달 31일까지다. 기한을 넘기면 3%의 가산금을 내야 한다.
<표> 자치구별 재산세 부과 현황
(단위 : 억원, %)
chopark@yna.co.kr
(끝)
'■ 부동산정책.TAX,제도,법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년부터 전세 준 집도 주택연금 받을 수 있다.주택연금 月 지급액, 올해보다 평균 7만원↑ (0) | 2018.07.19 |
---|---|
종부세 개편 대응 전략.다주택보다 '똘똘한 한 채'가 낫고. 단독명의보다 공동명의 유리 증여로 다주택 유지한다면 임대사업자 등록 고려해야. (0) | 2018.07.19 |
여야 "상가임대차보호법 개정안 9월 국회통과" 한목소리 약속. 임차인의 계약 갱신 요구권10년까지 연장."임대료 일방적 인상은 범죄행위"? (0) | 2018.07.12 |
종부세, 시장가액·세율 동시 인상으로 가닥 (0) | 2018.07.11 |
서울 대로변 빌딩 `높이` 18년 만에 바꾼다. 내년 6월 우선 선정 4곳 공개 테헤란로·천호대로 1순위 유력 (0) | 2018.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