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0.16 한경
서울시가 복잡한 절차로 진행되고 있는 ‘지구단위계획’ 수립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실무협의회를 운영한다. 쟁점 사안이 없는 안건은 사전자문 절차를 생략한 뒤 도시·건축공동위원회(이하 도건위)에 바로 상정해 의사결정 속도를 높이겠다는 취지다.
서울시는 도건위에 안건을 상정하기 전 사전자문의 필요성과 관련 규정 적합성 여부를 검토할 ‘지구단위계획 실무협의회(이하 실무협의회)’를 구성해 이달부터 운영에 들어간다고 15일 밝혔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810/AA.18009322.1.jpg)
지구단위계획이란 토지이용 합리화와 해당 지역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수립하는 도시관리계획을 말한다. 이 계획에는 공공시설의 배치와 규모, 건축물의 용도 제한, 건축물의 건폐율·용적률·높이 제한 등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힌 민감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건위가 최종 결정을 내리기 전 사전자문을 받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그동안 특별한 쟁점이 없는 사안도 사전자문이 이뤄지면서 행정 비효율이 발생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통상 사전자문을 받게 되면 길게는 2~3개월이 소요된다. 이번에 새로 구성된 실무협의회는 도건위에 올릴 안건이 전문가들로 구성된 사전자문을 꼭 받아야 하는지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사전자문이 필요하지 않은 안건은 도건위로 직행해 심의를 받기 때문에 지구단위계획 결정이 그만큼 빨라질 수 있다는 것이 서울시 측 설명이다. 시 관계자는 “별다른 쟁점이 없는 안건들이 사전자문을 받으면서 일정이 지연되는 부작용이 있었다”며 “실무협의회는 특별한 쟁점이 없는 사안을 걸러내는 교통정리와 같은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