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1.14 1
SH, 공개항목 12개 → 61개
◆ 분양원가 공개논란 ◆
아파트의 분양원가 공개 항목이 대폭 확대된다. 서울시와 정부가 분양가를 낮춰 집값을 잡겠다며 일제히 공동주택 분양가격 원가 공개 항목을 현재 12개에서 61개로 대폭 확대키로 했다. 건설업계에서는 이미 정부의 강력한 통제로 분양가 상승이 미미한 상황에서 실효성도 없고 시장논리에도 맞지 않는다며 반발하고 있다. 10년 전 노무현정부 당시 불붙었다가 부작용 등으로 결국 다음 정부 때 폐지된 '아파트 분양원가 공개' 정책이 다시 해묵은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서울시 산하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는 공동주택 분양가격 세부내역 공개 항목을 현재 12개보다 약 5배 늘어난 61개로 확대한다고 14일 발표했다.
앞서 박원순 서울시장이 지난달 2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서울시 국정감사에서 "SH공사 분양 아파트 원가를 공개하겠다"고 약속한 것에 따른 조치다.
광고
inRead invented by Teads
SH공사는 2007년부터 주택법에 따라 아파트 분양가격을 택지비 3개 항목, 공사비 5개 항목(토목·건축·기계설비 등), 간접비 3개 항목(설계비·감리비·부대비 등), 그 밖의 건축비에 가산되는 비용 1개 항목 등 총 12개 항목에서 공개해 왔다. 이 중 현재 5개 항목으로 구성된 공사비를 항목별로 세분화하는 방식으로 공개 항목을 늘릴 방침이다. 먼저 토목공사비 항목은 토공사, 옹벽공사 등 13개 항목으로 낱낱이 드러난다.
건축공사비는 기초공사, 철골공사, 미장공사, 창호공사 등 23개 세부항목으로, 기계설비공사비는 급수설비공사, 자동제어설비공사 등 9개 세부항목으로 각각 나눠 가격을 공개하기로 했다.
앞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도 분양원가 공개 항목을 61개 이상으로 확대하는 시행규칙 개정을 추진하겠다는 방침을 지난 10일 밝힌 바 있다. 이런 정부 조치는 일단 공공택지에 한정해 적용되지만 향후 민간까지 확대될 가능성이 작지 않다. 노무현정부 시절에도 민간에 7개 항목에 대한 원가 공개를 도입한 바 있다.
건설사·건설단체를 비롯해 전문가들은 영업비밀 침해와 역효과가 우려된다며 했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지금 주택시장 가격 상승의 원인은 분양가가 아니라 공급 부족에 불안해진 수요자 심리가 가격을 끌어올리고 있는 것"이라며 "분양가격은 정부가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분양가 심사를 통해 이미 '꽉' 잡아놓고 있다"고 말했다.
[정지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분양가 인하효과는 `찔끔`…건설사 공급축소 부작용만
노무현 前대통령도 반대한 원가공개…등떠밀려 시행후 `쓴맛`
난수표 61개 항목…소비자, 봐도 몰라
건설면허 없이도 분양대행 가능해져
박원순에 덴 국토부, 사전협의제 도입
'■ 부동산정책.TAX,제도,법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값잡기 역설…세대간 격차만 더 키웠다.부동산·금융규제로 3040 유주택자 큰폭 감소 60대이상 주택소유 11% 쑥 다주택자 200만명 첫 돌파 (0) | 2018.11.17 |
---|---|
“64억 강남 주택 공시가격 16억… 제도 개선 시급”서울 중심부 한강 인접지역일수록 시세반영률이 45% 이하로 낮고. 외곽은 높아 (0) | 2018.11.15 |
김수현 “보유세 현실화, 고가·다주택자부터...내달 3기 신도시 발표” (0) | 2018.11.14 |
집 한채만 갖고 있어도 규제받는데 다주택자, 세금에 건보료까지 감면"주택임대업을 제도화하기 위해 도입된 '임대사업자등록제'가 거센 비판에 직면 (0) | 2018.11.13 |
정부, 집값 주간 통계 손본다.집값시세 정확성 논란에 감정원, 표본수 2배 확대 (0) | 2018.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