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펀드 (국내)

 글로벌 부동산 투자시장 ′들썩′… 인기 지역은?

Bonjour Kwon 2013. 9. 5. 23:11

 

 상반기 두 자릿수 성장, 하반기도 추세 지속

 

 2013-09-05 10:53

 

 상업용 부동산 직접투자액 변화 [출처:라살 보고서]

 

 [뉴스핌=권지언 기자] 최근 금융시장이 연준의 점진적 양적완화 축소(테이퍼링, tapering)과 시리아 사태 등으로 하루하루 불안한 모습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부동산 시장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며 수익에 목마른 투자자들을 빠르게 흡수하고 있어 주목된다.

 

 세계적 부동산 컨설팅 업체인 존스랭라살에 따르면 지난 2/4분기 글로벌 부동산 거래금액은 1210억 달러로 1/4분기보다 16%가 늘었다. 상반기 기준으로 본다면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거래량이 12%가 확대됐다. 라살은 이 같은 시장 랠리는 3/4분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또 부동산을 통한 투자 다각화에 관심이 많은 아시아 투자자들은 연기금이나 국부펀드 등을 통해지난해부터 두드러진 해외 부동산 투자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라살에 따르면 실제로 올 상반기 해외 부동산 투자를 주도한 것은 중국과 한국의 큰 손 들로, 상반기 중 한국의 해외 부동산 투자 규모는 54억 달러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 다음으로 큰 규모다.

 

 유명 글로벌 상업용 부동산서비스 및 투자회사인 CBRE에 따르면 아시아 투자자들의 해외 부동산 투자액은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지난 2008년 20억 달러였던 데서 지난해 90억 달러로 껑충 뛰었다. CBRE는 또 향후 5년 동안 글로벌 부동산 시장에 직, 간접적으로 유입될 아시아 투자자금이 1500억 달러로 불어날 것이란 전망도 함께 제시했다.

 

 상업용 부동산 시장 순위 [출처:라살 보고서]

 

 ◆ 미국-영국-일본-호주 ‘인기’

 

 투자자들은 글로벌 부동산 시장 중에서도 특히 미국과 영국, 일본, 호주 등에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미주 지역은 2/4분기는 물론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회복세가 미국에만 집중된 것이 아니라 주변 지역인 캐나다와 멕시코로까지 확대되며 투자 심리를 자극했다. 라살에 따르면 2/4분기 중 미주 지역의 부동산 투자액은 520억 달러로 전분기 대비 37%가 불었다. 또 상반기 기준으로는 작년보다 5%가 성장했다.

 

 미국만 보더라도 부동산 시장에 대한 투자가 연 18%의 성장을 보이며 회복세를 주도했다. 한국 자본도 미국에 위치한 대형 빌딩 투자에 투입됐는데, 국민연금은 미국 휴스턴 BG그룹플레이스에, 미래에셋은 시카고의 CBD 오피스빌딩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 부동산 시장도 활발한 모습이다. 특히 영국의 경우 밀려드는 투자에 상업용 부동산 시장 자본가치는 2/4분기 중 0.4% 확대되며 18개월 간의 감소세를 뒤집었다. 파이낸셜타임즈(FT)는 런던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자본가치 대비 임대 수익률이 지나친 투자 쏠림 현상으로 4%까지 떨어졌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상업용 부동산 인기는 부채 위기로 허덕이던 유럽 주변국들 역시 예외가 아니었다.

 

 1일자 FT는 포르투갈, 이탈리아, 아일랜드, 그리스, 스페인 등 유로존 주변국 내 부동산 거래액이 5월부터 7월까지 3개월 동안 23억 유로에 달해 직전 3개월에 비해 60%가 급증했다고 전했다. 해당 지역의 부동산 위기가 끝나 간다는 투자자들의 판단이 작용했다는 설명이다.

 

 특히 유럽 부동산 시장이 저점에 이르렀을 때 대개 가장 먼저 움직이는 사모펀드 투자자들뿐만 아니라 보험이나 연기금과 같이 안전 투자를 추구하는 대형 투자기관들이 나섰다는 점이 주목할 만한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