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9.19 08:00김인경 기자 5tool@-작게+크게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글로벌 투자자들이 농업 분야를 미래 투자처로 주목하고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국내 투자기관 현재의 포트폴리오에 머물지 말고 농업 부분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17일 “농지가격이 지난 10년간 3배이상 상승하는 등 글로벌 기관 투자자들의 유입이 확대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농지와 농산물 가격이 상승하고 농가의 기업화가 시작되면서 글로벌 투자회사는 물론 연기금 등이 농업분야 투자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스웨덴의 국가연금펀드 AP2펜션은 호주와 브라질, 미국의 농지를 사들이기 위해 미국의 교직원 연금보험과 손을 잡고 투자회사를 설립하기도 했다.
미래 전망도 밝다. 2050년까지 세계인구가 90억명으로 증가할 경우 농산물 수요 역시 현재보다 70~80%가량 증가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물 부족, 기후 변화, 작물수확량 성장세가 둔화된 점도 농산물 수요 증가를 뒷받침 해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 경우 농부 평균연령이 65세이지만 신규인력 투입은 이뤄지지 않고 있어 장기적으로 농산물 가격 상승세는 추세를 이룰 가능성이 높다는 해석이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측은 “글로벌 투자기관이 농업 관련 부문에 다양하게 투자하는 반면 국내기관은 농산물 등에만 투자하고 있다”며 “농지 및 관련기업에 대한 직접투자 기회도 모색하는 등 투자범위를 확대하고 기회를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금 융 경 영 브 리 프
12 하나금융경영연구소 Weekly Hana Financial Focus
글로벌 투자자들, 농업 분야를 미래 유망 투자처로 주목
국내 투자기관들도 성장 잠재력이 높고 다양한 투자기회가 기대되는 농업 부문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 최근 글로벌 기관투자자들은 농업 분야를 미래 유망 투자처로 주목
? 과거 농업 분야의 전통적인 자금원이었던 은행권은 기후변화, 곡물가격 변동성
확대 등 여러 위험요인들이 노출됨에 따라 관련 투자비중을 축소|1|
? 그러나 최근 농지 및 농산물의 가격이 상승하고 농가의 기업화가 진행되면서
농업은 투자가 가능한 산업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농가에서도 재무적 투자자에
대한 수요가 확대
╺ 소규모 농가들이 통합되는 기업화가 향후 20~30년간 진행될 전망
? 이에 따라 최근 농업 부문에 적극적인 투자 붐이 불기 시작하였으며 글로벌 투자회사
와 연기금 등 기관투자자들도 농업 분야를 미래 유망 투자처로 주목|2|
╺ 투자 범위는 농지, 농산물, 곡물 및 비료 관련 기업 및 인프라 부문 등
? 세계 농산물 수요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장기적인 농산물 가격 상승이 예상
? 세계 인구는 2050년까지 90억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며, 같은 기간 동안
농산물의 수요도 현재 대비 약 70~80% 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
╺ 그러나 물 부족, 기후변화, 작물 수확량 성장세 둔화, 동물사료용 수요 증가로
농산물 공급 부족이 불가피하여 세계 각국은 식량부족 위기에 직면하게 될 가능성
? 또한 각국 농업 부문의 고령화 심화 현상으로 인건비가 높은 신규 인력 유입이
필요하다는 점 등을 감안할 때 장기적으로 농산물 가격은 상승세가 지속될 전망
╺ 농부의 평균 연령: 미국 58세, 한국 65세
|1|"Old MacDonald had an Investment in Agriculture," FT, 2013.9.8
|2|"IUS Farmland Price Keep on Rising," FT, 2013.8.15
금 융 경 영 브 리 프
제3권37호 2013.9.16~9.29 13
? 특히 농지 부문이 투자가 가장 유망한 부문으로 부상되면서 적극적인 투자가 진행 중
? 농지의 수익성이 개선되면서 투자가 집중되었고 제한된 공급에 비해 초과수요가
지속되면서 지난 10년 간 농지가격이 3배 이상 상승|3|
╺ 영국 Rics의 조사에 따르면 에이커 당 농지의 평균가격은 2004년 2,400파운드에서
현재 7,440파운드로 대폭 상승하였고, 향후 2~3년 내 10,000파운드까지도 상승 전망
? 전 세계 투자 가능한 농지의 가치는 약 8조 달러로 추정되나, 현재 기관투자자들의
투자규모는 약 150억~250억 달러에 불과해 투자 잠재력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
? 또한 농지투자는 실물자산 투자로서 분산투자, 인플레 헤지 효과 등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최근 글로벌 연기금 등 기관투자자들의 유입이 빠르게 확대
╺ 최근 스웨덴의 국가연금펀드 AP2 pension은 호주·브라질·미국 농지를 사들이기
위해 미국 교직원연금보험(TIAA-CREF)과 손잡고 투자회사를 설립
? 국내 투자기관들도 유망투자처로 부상하고 있는 농업 부문에 관심을 가질 필요
? 글로벌 투자기관이 농업 관련 다양한 부문의 투자를 진행하는 반면, 국내 기관들은
농산물 등으로 투자 부문이 한정되어 있어 외부환경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음
╺ 지난 1년 동안 농지에 투자한 기관투자자와 다양한 농업 부문에 투자한 펀드들은
5~10%의 수익률을 기록한 반면 국내 농산물펀드 수익률은 일제히 마이너스를
기록
? 향후 농업부문의 성장잠재력이 높고 다양한 투자기회가 기대되므로 국내 투자기
관들도 투자범위를 확대하고 투자기회 확보를 위해 적극적인 관심을 가질 필요
╺ 간접투자뿐만 아니라 농지 및 관련 기업에 대한 직접투자 기회도 모색할 필요
|3| "Farmland Value Triple in Ten Years," FT, 2013.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