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파트등 부동산시장 동향,전망

'똘똘한 한 채' 집중에…서울 대형 아파트값 평균 21억원 돌파.1년 만에 2억5천만원 뛰어…강남권·마용성 아파트가 상승 견인.강남권 고가 아파트 신고가 행진…'재건축 속도' 압구정도 몸값 ..

Bonjour Kwon 2020. 12. 8. 21:52
2020.12.07

삼성 아이파크 156㎡ 44억9천만원…한남더힐 241㎡ 76억원
"세 부담 늘어 가격 조정 가능성" vs "똘똘한 한 채 집중으로 강세 계속"

서울의 대형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21억원을 넘어섰다.

정부의 고강도 규제에도 초고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가격이 계속 오르며 1년 만에 평균 2억5천만원 가깝게 뛰었다.

이른바 '똘똘한 한 채'에 집중하는 현상이 강해지는 데다 최근 압구정 등 강남 아파트 재건축 사업에 속도가 붙으면서 대형 아파트값은 오름폭을 더 키우는 분위기다.

다만, 종합부동산세 등 보유세 인상 등의 영향으로 매물이 나오면서 가격이 조정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 강남권 고가 아파트 신고가 행진…'재건축 속도' 압구정도 몸값 더 올라

7일 KB국민은행의 월간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대형 아파트(전용면적 135㎡·41평 초과) 평균 매매가격은 21억777만원으로 집계돼 처음 21억원을 넘어섰다.



이는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16년 1월 이후 최고가다.

1년 전(18억6천202만원)과 비교하면 13.2%(2억4천575만원) 올랐고, 2년 전보다는 14.1%(2억6천10만원) 상승해 최근 1년 간 상승세가 가팔랐다.

지역별로는 강북 지역(한강 이북 14개구)의 대형 아파트 평균 매맷값이 15억7천675만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14.2%(1억9천661만원) 올랐다.

4년 전 이미 15억원 선을 넘은 강남 지역(한강 이남 11개구)의 평균 매맷값은 22억7천588만원으로 조사돼 강남·북 간 격차가 여전히 큰 수준으로 나타났다.

강남 지역에서는 초고가 아파트가 몰려 있는 강남·서초·송파구의 대형 아파트들이 평균 매맷값을 끌어올렸다.

강남구 삼성동 아이파크 156.86㎡는 지난달 12일 44억9천만원(27층)에 신고가로 거래됐다.

1254127 기사의 1번째 이미지
이미지 크게보기
삼성동 현대아이파크


작년 5월 34억8천만원(11층)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1년 반 만에 10억원 넘게 오른 것이다.

강남구 대치동 선경1차 136.68㎡도 지난달 17일 35억원(7층)에 신고가로 매매됐다.



2년 전 29억원 안팎으로 거래됐던 것이 그 사이 6억원가량 올랐다.

고가 아파트의 대명사로 불리던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1 137.24㎡도 지난달 5일 29억3천만원(35층)에 매매 계약을 마쳐 나흘전 세웠던 28억원(49층) 신고가 기록을 다시 썼다.

해당 평형은 작년 11월 24억∼26억9천만원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1년 사이 최대 5억원 올랐다.

압구정동 재건축 추진 아파트들은 사업에 속도가 붙으며 최근 몸값을 더 불리고 있다.

1254127 기사의 2번째 이미지
이미지 크게보기
서울 용산구 유엔빌리지 인근에서 바라본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모습


압구정동 대표 재건축 단지인 현대2차 160.28㎡는 지난달 5일 42억8천만원(6층)에 신고가로 거래됐다.

현대6차 144.2㎡도 지난달 4일 37억5천만원(9층)에 거래되며 역시 신고가 기록을 세웠다.

해당 평형은 전달 36억원(3층)에 매매된 것과 비교하면 한달 만에 1억5천만원 올랐고, 작년 6월(29억원)과 비교하면 1년 5개월 만에 8억5천만원이 뛰었다.



◇ 송파 아파트도 속속 20억↑…강북 갤러리아포레·한남더힐 등도 신고가

서초구에서는 반포동 반포자이 244.54㎡가 지난달 7일 42억원(21층)에 거래되며 신고가로 거래됐다.

작년 11월 39억8천만∼40억8천만원에 거래된 것보다 1억∼2억원 정도 가격이 올랐다.

방배동 서리풀e편한세상 164.46㎡는 지난달 7일 29억원(8층)에 매매 계약서를 썼고, 같은 동 방배아크로리버 149.23㎡는 지난달 14일 19억8천만원(9층)에 매매를 마쳐 각각 신고가 거래 기록을 세웠다.

송파구에서도 대형 아파트값이 20억원을 넘기는 단지가 속속 나오고 있다.

이미지 크게보기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일대 아파트 단지 모습


신천동 더샵스타파크 208.28㎡의 경우 10월까지 20억원을 넘는 거래가 한건도 이뤄지지 않다가 지난달 12일 20억1천500만원(17층)에 거래되며 처음 20억원을 넘겼다.

송파구 문정동 올림픽훼밀리타운 136.33㎡는 지난달 16일 20억원(13층)에 신고가 거래가 이뤄지며 처음으로 20억원 선에 닿았다. 이 아파트는 작년 11월 17억원 안팎으로 거래됐던 것이 1년 만에 3억원 올랐다.



강북 지역에서는 이른바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지역의 대형 아파트가 평균 매맷값을 견인했다.

마포구 하중동 한강밤섬자이 168.15㎡는 지난달 2일 23억원(24층)에 매매되며 전달 19억9천만원(6층)에서 3억원 넘게 올랐다.

강북의 대표 고가 아파트로 꼽히는 성동구 갤러리아포레 168.37㎡는 지난달 3일 42억5천만원(24층)에 거래되며 신고가 기록을 다시 썼다.

이미지 크게보기
용산구 한남더힐


용산구 한남동 한남더힐 241.05㎡는 지난달 9일 76억원에 계약서를 써 역시 신고가를 경신했다.

한남더힐의 경우 9월 243.642㎡가 77억5천만원에 매매되며 올해 전국에서 가장 비싸게 팔린 아파트로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초고가 아파트가 주를 이루는 대형 아파트값이 계속 상승할지는 미지수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보유세 강화와 공시가격 인상 및 현실화 등 여파로 가격 상승세가 다소 꺾이지 않겠느냐는 분석과 '똘똘한 한 채'에 대한 관심이 더 커지면서 시중의 풍부한 유동성이 가격을 떠받쳐 강세가 계속될 것이라는 예상이 엇갈린다.

[연합뉴스]

Copyrights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