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t] 규제철퇴 맞은 中부동산 재벌 헝다그룹, ‘중국판 리먼 브러더스’ 되나
이태동 기자
입력 2021.09.17 03:00
최근 해외 금융시장 전문가들이 눈여겨보는 중국 기업이 있다. 중국 최대 부동산 개발 업체 헝다(恒大) 그룹이다. 이 회사는 최근 심각한 유동성 위기에 빠져 있다. 중국 각지의 부동산 개발에 투자하면서 얻은 1조9500억위안(약 355조원)에 달하는 부채의 ‘돌려막기’가 점점 힘들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가 주식과 부동산 시장 거품을 빼겠다며 작심하고 돈줄을 틀어막은 탓이 크다. 은행별로 개발 업체 대출 비율을 최대 40%로 제한, 추가 대출 길이 막힌 것은 물론, 기존 대출도 빨리 갚아나가야 할 처지다. 또 정부가 주택 시장에 직접 개입, 집값을 강제로 끌어내리면서 주택 분양을 통한 현금 확보도 어려워졌다. 결국 지난 7월 중국 광파은행이 헝다의 대출 상환 능력을 못 믿겠다며 헝다 그룹의 예금 1억3200만위안(약 240억원)을 동결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이로 인해 헝다 그룹 주가가 16% 급락, 시가총액 약 740억홍콩달러(약 11조1800억원)가 날아갔다. 헝다 그룹의 연초 대비 주가 하락률은 80%를 넘었다. 신용평가사 무디스와 피치는 최근 헝다 그룹 채권 등급을 ‘투자 부적격’으로 하향 조정했다.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이미 중국 내 부동산 업체 274곳이 파산을 신청한 상황”이라며 “최대 기업인 헝다까지 채무 불이행에 빠지면 중국 금융시장의 대혼란이 벌어질 것”이라고 예상한다. 특히 줄파산의 여파가 국내외 대형 투자자와 은행의 손실로 이어지면서 신용 위기가 닥치고, 돈줄이 막힌 기업과 금융회사들이 또 유동성 위기에 빠지는 연쇄 반응을 우려하고 있다. 헝다 그룹이 ‘중국의 리먼 브러더스’라 불리기 시작한 이유다.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중국 부동산 기업들의 채무 불이행 규모는 올 들어서만 62억달러(약 7조2600억원)에 달해, 지난 12년치를 다 합친 것보다 13억달러나 많았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헝다 그룹의 운명이 중국 금융을 넘어, 국제 금융시장에도 파문을 일으킬 수 있다”고 평했다.
◇전방위 규제에 불안한 금융시장
중국 금융시장의 불안 요소는 부동산뿐만이 아니다. 막무가내식 ‘규제’와 ‘단속’으로 리스크가 커진 분야가 속출하고 있다. 먼저 빅테크 기업들이다. 지난해 11월 중국 정부는 알리바바의 핀테크 계열사 앤트그룹의 기업공개를 예정일 하루 전에 취소시켰다. 알리바바 마윈 회장의 중국 정부 비판 때문이다. 이로 인해 앤트그룹이 놓친 자금은 370억달러(약 43조원)에 달한다. 차량 공유 기업 디디추싱은 정부 반대를 무시하고 뉴욕 증시에 상장했다가 여러 정부 기관의 합동 조사를 받았고, 현재 수백억 위안대의 과징금을 맞을 수 있는 상황이다. 디디추싱 주가는 지난 6월 말 상장 이후 40% 가까이 떨어졌다.
지난 7월엔 정부가 사교육비 부담을 줄인다면서 초강력 사교육 규제를 시행했다. 학원을 모조리 비영리기구로 바꾸어 돈을 벌지 못하게 했고, 학생들이 온라인 강의를 듣는 데에도 제약을 뒀다. 이로 인해 연간 1200억달러(약 141조원)에 달하는 민간 교육 시장이 큰 타격을 입고, 줄파산이 예고되고 있다. 중국 정부가 “탄소 배출량을 줄이겠다”며 철강 등 원자재 생산량에도 적극 개입, 글로벌 시장이 요동치기도 했다.
미국 경제지 포브스는 “중국 정부의 무차별적 규제와 단속으로 올해 2월 이후 기술주·교육주 분야에서만 손실이 1조달러 넘게 발생했다”며 “이런 마구잡이식 조치는 중국이 구애해온 해외 투자자들까지 내쫓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올해 중국 기업들이 투자를 회수한 해외 자산 규모는 105억달러(약 12조3000억원)로, 1998년 이후 둘째로 큰 규모다. 규제로 촉발되는 유동성 위기에 대비, 기업들이 서둘러 현금을 확보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시진핑의 ‘共同富裕’가 불질렀다
금융시장을 불안하게 만드는 중국 정부의 전방위적 규제는 ‘공동부유(共同富裕·common prosperity)’라는 이념적 목표에 바탕을 두고 있다. ‘다 같이 잘살자’는 뜻으로,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지난달 공산당 지도부 회의에서 언급하면서 국가 정책 전면에 등장했다. 덩샤오핑(鄧小平) 이후 40여 년간 고도성장으로 발생한 양극화와 빈부 격차를 빠르게 해결하겠다는 의미다.
성장에서 갑자기 분배로 돌아선 데는 이유가 있다. “시 주석이 내년 3연임을 위해 인민 대중의 지지를 다지려는 의도”란 말이 나온다. 베이징대 옌칭아카데미 부학장인 데이비드 모저는 미국 타임지에 “억만장자와 기술 기업들은 사회·정치적 권력의 대안으로 여겨져 중국 공산당에 매우 위험한 존재”라며 “시진핑은 이들과 동맹을 맺기보다, 포퓰리즘 행보를 통해 일반 국민의 지지를 얻기 원하는 것 같다”고 했다.
해외 투자자의 우려는 점점 커지고 있다. 유명 투자가 조지 소로스는 최근 FT 기고문에서 “시진핑은 시장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이해하지 못하며, 모든 중국 기업을 일당제 국가의 도구로 간주한다”고 경고했다.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도 지난달 “중국의 규제, 단속을 예측하기 어렵다”며 투자 중단을 선언했다. 미국에 상장된 중국 기업 98곳의 지수를 추적하는 ‘나스닥 골든드래건 중국 지수’는 최근 6개월 동안 37% 떨어졌다.
중국 내부에서도 비판이 나온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따르면 장웨이잉(張維迎) 베이징대 경제학과 교수는 한 민간 학술 기구에 기고한 글에서 “시장의 힘을 신뢰 않고 정부 개입에 자주 의존하면 ‘공동 빈곤’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자유 경제가 서민에게 부유해질 기회를 준다”고 했다. 이 글은 홈페이지와 소셜미디어에 올라왔다 곧 사라졌다.
■중국 정부의 산업 규제
2020.11 앤트 그룹 IPO 취소
2021.4 알리바바에 ‘반독점법’ 위반했다며 벌금 3조1000억원 부과
2021.7 부동산 대출 규제, 개발업체 자금 조달 과정 조사
2021.7 디디추싱 반독점법 위반 혐의 조사 시작
2021.7 사교육 민간 기관 허가 중단 등 규제
2021.7 텐센트의 음악 독점 판권 포기 명령
2021.8 주중(월~목) 청소년 게임 이용 금지
WeeklyBIZ MINT
미국 경제지 포브스 "중국 정부의 무차별적 규제와 단속으로 올(2021) 2월 이후 기술주, 교육주 분야에서만 손실이 1조달러(1200조원) 넘게 발생". 공산주의는 인간의 본성과 이기에 역행하는 관념이다. 중공은 망하게 되어 있다. 지금도 연봉 200만원 이하 인구가 7억명에 육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