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IPO등>

하나금융지주.2021년 연간이익은 3.2조원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 전년비 +23% 증가. 배당성향 26% 가정 시 DPS는 2,900원으로 지난 중간배당 700원을 제외.연말 배당은 2,200원인 수준.

Bonjour Kwon 2021. 10. 25. 10:49

대신증권 리서치와 법인이 작성, 정리하는
*반도체업 "Issue Comment : 비메모리도 보자"

- 대형주 삼성전자(Buy/100,000원), 중소형주 네패스(Buy/43,000원), 관심종목 SK하이닉스(Buy/120,000원) 제시

- 코로나19로 IT기기 공급망 이슈 발생. 비메모리를 비롯한 부품 부족 발생. 추가로 중국 전력난, 물류 대란, 동남아시아 코로나19 확진자 수 증가에 따른 IT 생산 공장 중단되며 계속해서 IT생산 차질 발생. 공급망 이슈 2022년 상반기 완화되며, IT기기 생산량 증가 전망. 2022년 하반기 메모리 반도체 가격 하락폭 축소 예상
- 2021년 삼성전자 파운드리 매출은 전년대비 30% 성장, 반면 글로벌 파운드리 1위 기업 TSMC는 전년대비 24% 성장 예상. 7나노 이하 선단공정은 TSMC와 삼성전자 파운드리만 기술력 확보. 선단공정 파운드리 성장률이 전체 파운드리 성장률을 상회. 양사가 선단공정의 시장 증가를 모두 흡수하며 추가적으로 시장점유율을 확대해 나갈 전망
- 글로벌파운드리는 나스닥 IPO 예정. 공모가 기준 기업가치는 약 250억달러. 인텔 또한 파운드리 시장 재진입을 발표했으나 양사 모두 기술력의 한계로 삼성전자 파운드리에게 위협이 되지 못할 것으로 예상함
https://bit.ly/3pCr2Rt

*KB금융(105560)
Buy (유지) TP KRW 65,000 (유지) "3Q21 Review: 3 개 분기 연속 눈부신 성과"

- 3분기 지배주주 기준 순이익 1.3조원(QoQ +7.8%, YoY +11.3%)으로 컨센서스 1,2조원을 7.4% 상회하는 호실적을 기록
- 핵심이익인 순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이 의미 있게 증가하는 가운데 대손비용은 오히려 감소하며 또 다시, 창립이래 최대 실적을 경신. 2021년 연간 이익은 4.3조원을 상회 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지난해 대비 26% 증가하는 수준
- 11월 기준금리 인상 및 은행에 우호적인 매크로 환경이 지속되고 있어 내년 상반기까지 호실적 이어갈 가능성이 큼. 압도적인 어닝파워와 더불어 배당 정책의 정상화로 26%의 배당성향 가정 시 DPS는 2,900원이며 배당수익률 5.1%에 해당. 뿐만 아니라 분기 배당, 자사주 매입 등 다양한 배당정책을 기대해 볼 수 있음
https://bit.ly/3vEmB9I

*하나금융지주(086790)
Buy (유지) TP KRW 53,000 (유지) "3Q21 Review : 분기 순이익 1조원을 향해"

- 3분기 지배주주 기준 순이익 9,287억원(QoQ +1.2%, YoY +22.5%)으로 우리의 추정과 컨센서스를 각각 +5.7%, +9.6% 상회하는 어닝서프라이즈 달성
- 환율상승에 따른 비화폐성 환차손 -819억원 반영되어 비이자이익이 다소 부진하였으나 대손비용이 크게 감소하였고 BIDV관련 지분법 이익 452억원 반영되며 호실적을 기록. 당 분기 NIM하락은 아쉬우나 일회성 요인이 컸다고 판단됨. 8월 기준금리가 +25bp 인상되었고 수신금리 상승세가 완화되고 있어 4분기 NIM은 +3bp 추가 개선될 것으로 예상
- 2, 3분기 9,000억원을 상회하는 순이익을 기록하며 2021년 연간이익은 3.2조원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 이는 지난해 대비 +23% 증가하는 수준인데 배당정책의 정상화로 배당성향 26% 가정 시 DPS는 2,900원으로 지난 중간배당 700원을 제외한 연말 배당은 2,200원인 수준. 어쨌든 연간 배당수익률 6.3%에 해당
https://bit.ly/3vEQPtp

*현대건설(000720)
Buy (유지) TP KRW 75,000 (유지) "3Q21 Review :매출 증가 구간의 시작, 확고한 성장성"

- 3Q21 실적은 매출액 4조 3,519억원(+8% yoy), 영업이익 2,204억원(+57% yoy). 컨센서스 대비 매출액 -6%, 영업이익 -4% 하회
- 매출액은 국내가 2조 8,214억원(+6% yoy)로 증가, 수주잔고 증가율(77.2조원, +18% yoy) 대비로는 아직 낮은 수준의 성장. 해외는 1조
5,306억원(+10% yoy)으로 증가. 파나마 메트로, 이라크 바스라 등 신규 프로젝트들이 반영. 일회성요인이 없어지며 이익률 안정. 매출 증가 구간이 시작
- 유가 회복으로 해외 수주환경 개선, 국내는 낮은 조달 금리, 브랜드파워로 점유율 확대. 2022년까지 이어지는 확고한 성장성. 4Q21부터 실적 성장폭 확대
https://bit.ly/3pxUMPj

*AT&T(T)
Hold TP USD 31.3 "3Q21 Review : 사업 부문 재정비에 따른 이익 증가 확인"
- 3Q21 견조한 매출과 비용 감소에 따른 이익 증가. 매출 39.9bn USD(-5.7% yoy, -9.4% qoq), OP 7.1bn USD(+15.9% yoy, +117.5% qoq), EPS 0.82 USD. 컨센서스는 매출 40.5bn USD, OP 8.2bn USD, EPS 0.63. 컨센서스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 하회, EPS는 상회
- 주요 사업 부문 실적. 1) Communications. 매출 28.2bn USD(+3.8% yoy). 스마트폰 판매량 증가에 따른 가입자 증가와 장비 매출증가가 실적 견인. 2) WarnerMedia. 매출 8.4bn USD(+14.2% yoy). 컨텐츠, 구독 매출은 호실적 기록. 단, 광고 매출 감소가 일부 상쇄
- HBO Max. 미국 내 구독자 45백만명(-185만명 yoy)로 감소. 아마존 프라임 채널의 홀세일 판매 중단 영향. 단, 회사는 4분기에 컨텐츠 수, 리테일 가입자 수 증가 전망. 전세계 전체 가입자는 69.4백만명 수준. HBO Max 연간 가입자 성장 목표 달성에 문제 없을 것
- 2021 가이던스. 연간 조정 EPS는 전년대비 한 자릿수 성장 전망. 또한 동사의 FCF 목표는 260억 USD. HBO Max/HBO. 2021년 말 기준 가입자는 70~73 백만
https://bit.ly/3pyz11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