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김하늬 기자
2021.11.16
송치형 두나무 이사회 의장이 13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 JEJU)에서 열린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2018(Upbit Developer Conference 2018·UDC 2018)'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 사진제공=두나무
송치형 두나무 이사회 의장이 13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 JEJU)에서 열린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2018(Upbit Developer Conference 2018·UDC 2018)'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 사진제공=두나무
국내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 1위인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의 기업가치가 8년 만에 1만5000배 성장한 것으로 확인됐다. 2013년 주당 40원에 불과했던 기업가치가 주당 59만원까지 뛰었다. 2011년 뉴스 모아보기 사이트 벤처로 출발한 두나무가 2018년 설립한 '업비트'의 대박 덕분이다.
15일 머니투데이가 단독으로 입수한 케이큐브(현 카카오벤처스)- 1호벤처투자조합 해산총회 및 이사회 회의록 등에 따르면 2013년 조합이 두나무에 2억원을 투자했다. 당시 주당 가치는 40원에 불과했다.
케이큐브벤처스는 김범수 카카오 의장과 임지훈 대표가 2012년 공동 설립한 엔젤형 벤처캐피탈이었다. 컴퓨터공학과 경제학을 같이 공부한 송치형씨가 창업한 '두나무'에 2억원의 엔젤투자를 했다. 두나무는 첫 투자금으로 카카오톡에서 증권시세를 확인할 수 있는 '증권플러스'를 개발했다. 이후 두나무가 '빛'을 발하기 시작한 건 암호화폐 거래소의 '접목'을 하면서부터다.
약 8년이 지난 2021년, 케이큐브1호 벤처투자조합이 해산을 결정하면서 두나무 투자에 따른 수익을 현금 대신 현물(두나무 주식)으로 나눠 갖기로 결정했다.
케이큐브1호 벤처펀드에 출자한 주요 법인은 △카카오△바른손△다날엔터테인먼트 등이다. 카카오벤처스는 GP로 함께 했다.
케이큐브1호가 보유한 두나무 지분율이 11% 남짓인 것을 감안하면 두나무 평가액은 수천주식수도 수백~수천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지난 10월7일 이사회 때 카카오벤처스는 두나무 주식 1주당 30만원으로 계산했다. 지난 7~8월 개인 엔젤투자자나 일부 벤처캐피탈이 장외시장에서 두나무 주식을 39만~40만원대에 매수한 것에 비하면 초기 투자자에 대한 할인율을 적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기준에 따라 펀드 출자 비율이 가장 높은 카카오(약 44%)는 약 3500억원어치 두나무 주식 120만주를 추가로 보유하게 된다. 현재 카카오는 두나무 3대 주주로 이미 258만주를 들고 있는데 이 경우 새로 생기는 주식까지 합하면 378만주, 지분율 약 10.6%로 3대 주주 자리를 유지할 될 전망이다.
카카오벤처스(17%)도 47만주(약 1400억원 규모)를 얻게 된다. 카카오벤처스는 이 외에 GP로서 운영보수와 관리보수를 따로 받는다. 4.33%의 지분율을 앞서 공시했단 다날엔터테인먼트의 경우 12만주(350억원), 바른손은 7만여주(214억원)을 쥐게 됐다.
황보미 "유부남인지 몰랐다, 억울"…"알고 만났다는 증거 있다"
"아내에 식비+저금 하라고 월 300…2년간 남은 돈 120이라네요"
성폭행 무혐의 김건모…의혹 제기했던 가세연, 고소인 녹취 공개
"거대 도마뱀 콘돔 먹고 죽어"…'관광객 성행위'에 자연보호구역 몸살
신동엽 "서장훈, 화장실 다녀올 때마다 샤워"…오은영 조언은?
두나무의 기업가치는 더 뛰었다. 이달초 두나무와 하이브가 대체불가능토큰(NFT) 사업을 위해 협업한다고 발표하면서 공개한 지분 스왑 비율을 보면 두나무 지분가치는 약 20조원으로 책정됐다. 1주 가격으로 환산하며 59만원에 달한다. 불과 한달만에 30만원에서 59만원으로 2배 뛴 셈이다.
케이큐브조합이 아직 해산을 완료하지 않은 상태인 만큼 출자 법인들이 손에 쥘 두나무의 주식 가치는 높아지게 됐다. 투자업계 관계자는 "주당 40원에서 59만원은 말 그대로 '유니콘' 같은 벤처의 출현이나 마찬가지"라며 "투자자들이 앞으로 더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고 믿어서 수익을 현물로 나눠 갖기로 결정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가상자산에 대한 논의가 이제부터 활발히 이뤄지기 시작하는 한편 업비트의 해외상장 이슈도 살아있는 만큼 추가 수익가능성은 무궁무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38%63%
네이버에서 MT추천기사 편하게 보기
나의 의견 남기기
의견 7
실시간많이본연예·영상
"거대 도마뱀 콘돔 먹고 죽어"…'관광객 성행위'에 자연보호구역 몸살
"거대 도마뱀 콘돔 먹고 죽어"…'관광객 성행위'에 자연보호구역 몸살
1012
신동엽 "서장훈, 화장실 다녀올 때마다 샤워"…오은영 조언은?
신동엽 "서장훈, 화장실 다녀올 때마다 샤워"…오은영 조언은?
773
'상간녀 소송' 스포츠 아나 황보미 측 "유부남이 속이고 만난 것"
'상간녀 소송' 스포츠 아나 황보미 측 "유부남이 속이고 만난 것"
665
"아내에 식비+저금 하라고 월 300…2년간 남은 돈 120이라네요"
"아내에 식비+저금 하라고 월 300…2년간 남은 돈 120이라네요"
454
도살장 끌려가다 도망친 '소' 어딨나 했더니…워터파크 미끄럼틀에
도살장 끌려가다 도망친 '소' 어딨나 했더니…워터파크 미끄럼틀에
415
6-10위 보기
5분간 수집된 조회수
이슈패키지
선임기자가 판다
선임기자가 판다
미국은 왜 일본 반도체를 무너트렸나…한국은?
구광모 회장은 왜 권영수 카드를 썼나?
"거대 도마뱀 콘돔 먹고 죽어"…'관광객 성행위'에 자연보호구역 몸살
머니투데이 김인옥 기자
2021.11.19 00:20
의견 남기기
스페인 그란 카나리아섬의 마스팔로마스 사구 /사진제공= 게티이미지뱅크
스페인 그란 카나리아섬의 마스팔로마스 사구 /사진제공= 게티이미지뱅크
유럽의 자연보호구역을 파괴하는 원인 중 하나로 성관계를 갖는 관광객들이 지목됐다.
스페인의 그란 카나리아섬의 마스팔로마스 사구는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에서 불어온 모래로 형성된 곳으로 1982년 특별 자연 보호구역으로 지정됐다. 바다의 풍광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경관으로 유명한 '천혜의 모래 언덕'을 즐기기 위해 전 세계에서 매년 1400만 명이 이곳을 방문한다.
그러나 11일(현지 시간) CNN에 따르면 마스팔로마스 사구는 지금 관광객들의 성행위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환경관리저널에 등재된 새로운 연구 '모래, 태양, 바다, 낯선 이들과의 섹스'는 마스팔로마스 사구 관광객들의 헌팅과 성행위가 보호구역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연구진은 이곳에서 관광객들이 주로 성행위를 하는 장소 298개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주로 빽빽한 초목이 있는 모래언덕이었다. 심지어 298개 장소 중 56개는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된 구역에서 발견됐다.
관광객들은 초목 위에 올라서 지역의 토종 식물을 짓밟고 모래 언덕을 없애고 있었다. 심지어 모래 언덕을 화장실처럼 사용한 흔적도 있었다. 담배, 콘돔, 화장지, 물티슈, 깡통 등 쓰레기도 남기고 갔다.
황보미 "유부남인지 몰랐다, 억울"…"알고 만났다는 증거 있다"
"아내에 식비+저금 하라고 월 300…2년간 남은 돈 120이라네요"
성폭행 무혐의 김건모…의혹 제기했던 가세연, 고소인 녹취 공개
"거대 도마뱀 콘돔 먹고 죽어"…'관광객 성행위'에 자연보호구역 몸살
신동엽 "서장훈, 화장실 다녀올 때마다 샤워"…오은영 조언은?
연구진은 관광객들의 몰지각한 행동으로 카나리아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거대 도마뱀이 그들이 남기고 간 콘돔을 먹고 죽은 것을 발견했다고 전했다.
이어 연구 저자는 "관광의 발달은 그곳의 환경이 파괴된 직접적인 원인"이라며 "공공장소의 성관계를 중단하라는 뜻은 아니지만 그런 행동이 끼치는 피해를 인지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