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CLO.뱅크론.DL

큰손’ 기관 크레딧출자 저울질.중기·경찰공제회·행정공제회 ‘교직원공제회·사학연금·우정사업본부는 올해도 PDF 출자기조를 유지하고, 군인공제회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 검토’

Bonjour Kwon 2024. 4. 5. 13:53
  • 큰손’ 기관 크레딧출자 저울질
  • 2024.04.04 11:08

운용사수 증가·고금리 유지 영향

중기·경찰공제회·행정공제회 ‘검토’
 

국내 ‘큰 손’ 기관투자자(LP)로 꼽히는 연기금·공제회가 올해 사모대출펀드(PDF) 출자사업 추진을 검토 중이다.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지연되면서 유동성 공급이 막힌 자금수요자가 PDF 시장의 문을 더 두드리고 있는 데다,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도 크레딧 시장에 속속 진입하며 운용사 면면이 다양해진 영향이다.

 

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교직원공제회·사학연금·우정사업본부는 올해도 PDF 출자기조를 유지하고, 군인공제회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 PDF 출자사업을 진행할지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노란우산공제회)·경찰공제회가 올해 새롭게 PDF 출자사업을 시작할지 여부를 내부적으로 검토 중인 가운데, 행정공제회는 기존에 해왔던 해외 재간접펀드 출자 이외에 국내 운용사에 직접 출자할지 여부를 마지막까지 고심 중이다.

 

PDF는 대출형 사모펀드·사모부채펀드·사모신용펀드(PCF) 등으로 혼용해 지칭되고 있다. 국

 

내에서는 2021년 10월 자본시장법 시행령이 개정되면서 PEF 운용사 등 일반·기관전용 운용사 또한 대출형 펀드 조성이 가능해졌다. 기존에는 전문투자형 사모펀드 운용사에게만 문호가 개방됐던 분야다.

 

운용사 면면이 다양해지면서 국내 연기금·공제회 또한 일찌감치 PDF에 출자하며 자금줄 역할을 톡톡히 수행 중이다.

 

전체 자산의 절반 이상이 대체투자(기업금융·인프라·부동산) 자산으로 구성된 교직원공제회는 PDF 출자 규모도 상당하다. 지난해 교직원공제회 PDF 출자 규모는 1조7575억원에 달해 같은 기간 PEF 출자 규모(3조3000억원)의 과반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국내외 수시·정기출자가 포함된 수치다.

 

 

 

채권·주식 비중이 상당한 사학연금은 올해 지난해보다 1.2%포인트 높은 전체 자산의 26%를 대체투자 자산으로 구성할 예정이다. 지난해 사학연금은 수시·정시 출자사업을 통해 5430억원 상당을 PEF 출자금으로 집행했으며, 같은 기간 PDF에는 약 1290억원을 출자했다. 올해에는 중장기 자산배분계획상 비중에 맞춰 PDF 출자금액을 결정할 예정이다.

 

 

올해 PDF 출자 동향을 살피는 곳으로 노란우산공제회와 경찰공제회가 꼽힌다.

 

노란우산공제회는 지난해 대체투자 비중이 26.5% 정도를 기록했으며 올해는 이보다 약 3%포인트 높인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동안 에쿼티 투자는 물론 부동산 선순위 대출, 국내 선순위 인수금융 블라인드 펀드 등 다양한 영역에서 유동성을 공급해 왔다. 올해는 금리 추이에 따른 투자 안정성 측면에서 PDF 출자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경찰공제회는 지난해 전체 운용 자산 가운데 대체투자 비중은 60%를 기록 중이다. 해외 펀드 중심으로 에쿼티 투자를 진행해 왔으며 대체투자 비중은 올해도 작년 수준을 예상하고 있다. 포트폴리오 구성 현황과 거시경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국내외 PDF 출자 가능성도 열어 둔 상태다.

 

지난해 대체투자 비중이 78%로 상대적으로 높은 행정공제회의 행보도 관심거리다. 올해 행정공제회는 대체투자 익스포저를 감안해 자산 배분 비중을 2%포인트 가량 하향 조정을 염두에 두고 있다.

 

그동안 행정공제회는 해외 블라인드 펀드에 대한 재간접 투자에 주력해 왔다. 국내 블라인드 펀드나 프로젝트 펀드에 대한 에쿼티 투자에 나선 사례는 드물다.

 

물론 지난해부터 행정공제회가 PDF 출자를 차츰 확대하는 자산 배분 기조는 눈여겨볼 만하다. 국내에 PDF 관련 투자가 구체화된 것은 아니지만 관련 출자에 우호적인 투자 정책을 구축했다.

 

행정공제회를 비롯해 국내 LP의 PDF 관심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표수익률 확보가 관건인 LP로서도 소수지분·메자닌·대출 등 다양한 투자방식을 활용해 중위험·중수익을 안겨주는 PDF 운용사를 마다할 이유가 없다.

 

다만 해외와 비교해 아직 성장 초기단계인 국내 PDF는 손실관리를 위해 커버넌트 강화 등 투자자 보호장치 마련이 확대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노아름·심아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