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vo Nordisk US HQ BD

미 통화정책 '브렉시트 딜레마'… 6월 금리인상 찬반 격돌. 23일영국의 ‘브렉시트 국민투표’가 14~15일 Fed. 금리인상 큰변수로 부상

Bonjour Kwon 2016. 6. 6. 06:52

2016/06/03

 

【런던=AP/뉴시스】 영국을 방문중인 버락 오바마 미국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를 반대하고 나섰다. 오마바 대통령은 이날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총리와 가진 공동 기자회견 자리에서 “영국은 강한 EU를 이끌도록 도울 때 가장 멋지다. 나는 EU가 세계무대에서 영국의 영향력을 누그러트린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EU는 오히려 영국의 힘을 강화시킨다”라고 말했다. 오바마 대통령(왼쪽)과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가 런던 다우닝 10번가에 있는 영국 총리 집무실에서 악수를 하면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2016.04.22 2016-04-23

 

【서울=뉴시스】박상주 기자 = 미국의 통화정책이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EU) 딜레마’에 빠졌다.

 

 

미국이 오랫동안 별러온 금리인상 카드를 꺼내 들려던 순간 외부변수인 브렉시트가 골치아픈 걸림돌로 작용을 하고 있는 것이다. 미국 경제지표만 보자면 금리를 인상해야 하지만, 파급력을 예측할 수 없는 브렉시트를 눈앞에 둔 상황에서 쉽사리 금리를 인상할 수도 없는 형편인 것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의 2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오는 23일 실시되는 영국의 ‘브렉시트 국민투표’가 그보다 일주일 앞서 열리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의 금리인상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

 

영국은 세계 5위의 경제대국이다. 그런 만큼 영국이 EU에 남느냐 떠나느냐를 결정하는 브렉시트 국민투표의 향방은 미국경제 뿐 아니라 세계시장까지 뒤흔드는 큰 후폭풍을 낳을 수 있다. 영국과 EU를 넘어서서 세계경제 전반에 미치는 충격 뿐 아니라 정치적 후폭풍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EU체제에 회의를 품고 있는 다른 국가들도 연쇄적으로 EU를 탈퇴할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

 

미 연준 내부에서는 금리인상을 일단 보류해야 한다는 주장과 미국의 경제지표가 호조를 보이고 있는 만큼 브렉시트와 무관하게 금리인상을 단행해야 한다는 주장이 맞서고 있다.

 

연준은 오는 14~15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연다. 브렉시트는 그로부터 일주일 후인 23일 실시된다.

 

미 연준 관계자들은 미국경제 지표만 놓고 본다면 금리 인상을 단행할 여건은 무르익었다는 데 의견을 일치하고 있다. 미 연준이 금리를 올리는 데 필요한 3가지 조건이란 ▲미국의 2분기 경기가 반등하고 있다는 추가적인 신호가 있어야 하고, ▲고용시장의 활성화가 유지돼야 하고, ▲물가상승률은 2%에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국 민간 고용조사업체 ADP의 2일 발표에 따르면 지난 5월 미국의 민간 고용은 전달보다 17만3000건 증가했다. 민간 부문 고용이 강력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이에 앞서 지난달 31일 미 상무부 발표에 따르면 올 4월 개인소비지출(PCE) 증가율이 전달대비 1.0% 증가했다. 2009년 8월 이후 약 7년 만에 최대 폭이다.

 

그동안 미국 연준 관계자들은 이번 6월 FOMC회의를 통해 금리 인상이 단행될 것이라는 언질을 여러 차례 해 왔었다.

 

 

【브뤼셀=AP/뉴시스】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가 19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유럽연합(EU)정상회의에서 합의한 개혁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캐머런 총리는 이같은 합의를 바탕으로, 영국 국민들에게 EU 회원국 잔류 여부를 직접 묻는 국민투표를 오는 6월 23일 치를 예정이라고 밝혔다. 2016.02.21 2016-02-21 FT는 그러나 만일 미 연준이 브렉시트 국민투표를 코앞에 둔 상황에서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경우 시장은 이를 다양한 시각으로 받아들이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우선 금리인상에 따른 시장의 변동성을 자극할 뿐 아니라 브렉시트 같은 대형 외생변수에도 불구하고 금리인상을 단행할 수밖에 없는 급박한 이유가 있을 것이라는 온갖 추정들을 낳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제롬 파월 미 연준이사는 지난달 26일 워싱턴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연설에서 “미국 경제는 완전 고용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물가상승률이 연준 목표인 2%에 접근하고 있다”며 “경제 지표가 지금처럼 호조를 유지한다면 금리 인상을 꽤 일찍 단행할 수 있다. 그러나 브렉시트 투표 때문에 연준이 신중을 기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데니스 록하트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최근 FT와의 인터뷰에서 “브렉시트는 연준이 깊이 고려해야 하는 이슈”라며 “만일 6월 금리 인상을 조심해야 할 이유가 있다면 대신 7월에 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이 높다. 단 시장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선행돼야 한다”라고 말했다.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은 총재는 “연준의 결정은 기본적으로 미국의 경제 지표와 금융 상황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연준은 6월에 금리인상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면서 “그러나 만일 세계 다른 곳에서 무슨 일이 발생한다면 7월까지 기다릴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올해 두 번의 금리 인생이 예정돼 있었다. 시점은 그리 중요한 게 아니다. 9월과 10월에도 할 수 있는 일이다. 서두를 필요가 없다. 조심할 점이 있다면 기꺼이 그 주장을 귀 기울여 들을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에 반해 미국의 금리정책은 브렉시트와 무관하게 결정돼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 제임스 블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지난 1분기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고무적이라며 점진적인 금리 인상을 시사했다.

 

에릭 로젠버그 보스턴 연은 총재는 지난달 22일 FT와의 인터뷰에서 “연준이 다음 달 금리를 올리기 위한 3가지 경제적인 조건들이 거의 충족됐다. 3월 FOMC 이후 경제지표들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움직인 만큼 이미 통화 긴축을 지지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영국의 국민투표가 미국 통화정책을 바꿀 이유가 될 수는 없다. 만일 금융시장에 심각한 변화가 발생한다면 그때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sangjooo@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