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2.20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영숙 기자 = 중국 당국은 정부의 규제 강화로 올해 개인 간 대출(P2P) 대출업체의 90%가 생존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19일(현지시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베이징시 금융국 등이 작성한 보고서를 인용해 올해 P2P 업체 10개 중 9개가 문을 닫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보고서는 "지난 몇 년간 온라인 대출의 무분별한 성장은 다양한 문제를 노출했다"라며 "P2P 운영업체와 당국 모두 (올해) P2P 부문의 건강한 성장을 확보하기 위한 혹독한 도전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보고서는 올해 중국의 P2P 업체 총 4천856개 중 약 500개만이 운영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 작성에는 베이징시 금융국을 비롯해 베이징의 난후인터넷 금융연구소와 팡산구 사이버보안 담당 기구, P2P 업체 등이 참여했다.
중국 당국은 올해 초 P2P 대출업체에 대한 전국적인 단속을 벌여 오는 8월까지 규정을 지키지 않는 업체들을 폐쇄한다는 계획을 세운 바 있다.
작년 말 중국 당국은 P2P 대출업체들의 부도와 사기사건이 잇따르자 P2P 대출이 전체 금융시스템을 흔들 것을 우려해 관련 규정을 재정비했다.
우선 당국은 P2P 업체를 통해 대출받을 수 있는 개인의 대출 상한선을 100만 위안으로, 기업의 대출 상한선은 500만 위안으로 제한했다.
또 P2P 업체들에 적정 은행을 수취보관인으로 지정하도록 하고, 자체 모집한 대출에 대한 원금과 이자 보증을 금지했다.
중국 당국은 연초 업체들이 관련 규정을 준수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전국에 실무팀을 파견했으며 당국의 실사를 통과하지 못한 업체들은 청산될 예정이다.
온라인 P2P 관련 데이터업체 WDZJ닷컴에 따르면 작년 미상환 P2P 대출 규모는 8천억 위안을 넘어섰다.
상하이의 금융서비스업체 질리언 포천에 리처드 주 IT 엔지니어는 "규제 강화로 자금을 인출하려는 예금자들은 압박을 받을 것"이라며 "당국의 규제는 P2P 산업의 약세 심리를 악화시키고, 올해 상반기 더 많은 스캔들(구설)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ysyoon@yna.co.kr
(끝
'■ 핀테크(P2P)' 카테고리의 다른 글
P2P대출, 대부업 굴레 벗어났다.금감원, 은행 협업땐 대부업 등록규제 없애…피플펀드 30일 첫상품 (0) | 2017.02.20 |
---|---|
P2P대출의 국내 서비스 법적 이슈 (0) | 2017.02.20 |
"대체투자도 P2P로…소액 사모펀드 효과".비욘드플랫폼 대체투자 전문 P2P 금융플랫폼 '비욘드펀드'출시. 6~18%목표 부동산·실물자산·법인대출등투자 (0) | 2017.02.20 |
P2P대출 `성장 날개` 꺾이나.금융당국, 투자자보호 앞세워 선제적 규제 잇따라 투자금 제한·先대출 금지에 신규대출 급감 (0) | 2017.02.15 |
P2P대출 가이드라인, 금융 당국의 '엇박자 (0) | 2017.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