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CLO.뱅크론.DL

M&A자금 대출에만 눈독들이는 큰손들.대성산업가스 1조 모집에 기관자금 2조 넘게 몰려.5~8%대 금리에 관심 집중…투자손실 가능성도

Bonjour Kwon 2017. 3. 24. 07:41

2017.03.23

 

현대시멘트는 기관 요구에 인수금융 규모 2배로 증액

5~8%대 금리에 관심 집중…투자손실 가능성도 있어 인프라 등 투자처 다변화를

 

◆ 레이더M ◆

 

기사의 1번째 이미지이미지 확대

투자처 발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주요 금융회사와 연기금·공제회를 비롯한 기관투자가들의 뭉칫돈이 인수·합병(M&A)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인수금융(대출) 시장에 급속히 유입되고 있다. 최근 시장 침체로 대형 M&A 거래가 실종된 가운데 기존 M&A 인수금융 리파이낸싱(차환) 거래로까지 저금리에 틈새시장 찾기에 혈안이 된 큰손들의 자금 쏠림 현상이 가속화하는 모습이다. 2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인수가가 약 2조원에 달해 올해 1분기 M&A 시장 최대어로 꼽히는 대성산업가스 인수 거래가 인수금융 대주단 자금 납입을 끝으로 24일 마무리된다. 앞서 MBK파트너스가 지난달 24일 기존 최대주주인 대성합동지주, 골드만삭스PIA 등과 대성산업가스 지분 100%를 인수하기 위한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한 지 한 달 만이다.

 

특히 약 1조원의 인수금융 모집 금액의 두 배가 넘는 기관 자금이 몰리며 흥행몰이에 성공했다. 시장 예상가를 크게 웃도는 인수 가격에도 불구하고 주요 대기업과 산업가스 장기 공급 계약을 맺고 있어 현금흐름이 안정적이란 판단에 공제회·은행·보험사를 비롯한 큰손들 관심이 뜨거웠다는 분석이다. 최종적으로는 NH투자증권·NH농협은행·농협중앙회·농협생명 등 NH금융 계열사로 4000억원이, KDB산업은행에 2000억원이 배정됐다. 전체 약 1조원 중 나머지 4000억여 원은 삼성증권, 미래에셋대우, 새마을금고, 과학기술인공제회, 행정공제회, KEB하나은행 등에 배분됐다. 투자 희망 기관 가운데 상당수가 아예 초대조차 받지 못했으며 그나마 대주단에 포함된 기관들도 당초 희망한 수량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자금을 배정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IB 관계자는 "오래간만에 시장에 나온 조 단위 대형 M&A에 현금흐름이 안정적인 기업이란 평가 속에 기관 자금이 몰렸다"며 "선순위 기준 5% 안팎, 중순위 기준 8% 안팎의 높은 금리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집중시켰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약 6300억원의 인수가를 적어내 현대시멘트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이후 인수 자금 마련에 한창인 LK투자파트너스·한일시멘트 컨소시엄은 금융권을 통해 조달할 인수금융 규모를 당초 1000억원에서 2000억원으로 증액할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인수금융 주선사인 신한금융투자가 신한은행과 신한 론펀드 등 신한금융 계열사들이 1000억원을 조달하는 구조를 짰으나 대주단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들 요구에 금액을 두 배 정도 늘린 것이다. 전체 인수 자금 중 인수금융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4000억여 원은 LK투자파트너스와 한일시멘트가 프로젝트 사모펀드(PEF)를 조성해 마련할 방침이다.

 

MBK파트너스가 총 1조3500억원 규모로 진행하고 있는 코웨이 인수금융 차환 작업도 성황이다. 미래에셋대우와 산업은행 등이 2000억원에 가까운 내부 승인을 받았으며 새마을금고, 현대해상, 하나자산운용 론펀드 등도 각각 1000억원 수준의 승인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기관 수요가 총 모집 금액을 두 배 가까이 초과한 것으로 알려져 실제 기관 배분 물량은 희망치를 크게 밑돌 전망이다.

 

MBK파트너스는 코웨이에 대한 매각 작업이 여의치 않자 인수금융 규모를 늘리는 차환 작업을 통한 자금 회수 작업을 추진해왔다. MBK파트너스는 이번 작업을 마무리하면 2013년 인수 당시 순수 투자금 4200억원을 모두 회수하게 된다. 그동안 시장 일각에서는 대출금을 더 늘려 투자금을 회수하는 작업의 성공 가능성을 반신반의했지만 코웨이의 수익성과 사업성을 높게 바라본 기관 자금이 몰리면서 이 같은 우려를 불식시켰다.

 

실제 MBK파트너스가 코웨이를 인수한 2013년 1월 2일 당시 코웨이 주가는 4만3500원에 불과했다. 하지만 MBK파트너스의 품에 안긴 후 경영이 안정된 데다 공기청정기 등 새로운 사업 부문 실적이 개선돼 코웨이 주가는 인수 시점의 두 배가 넘는 9만원 선을 웃돌고 있다.

 

반면 일각에선 이 같은 기관 자금의 인수금융 쏠림 현상에 대한 우려의 시선도 적지 않다. 앞서 LG실트론이나 두산인프라코어 차이나의 사례처럼 투자금 회수 지연 등으로 인수금융 디폴트(채무불이행) 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당장 눈앞의 금리 등에만 현혹돼 묻지마식 투자에 나서기보다는 선구안을 길러 선별적 투자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기관투자가들이 보다 넓은 안목을 갖고 M&A 인수금융뿐 아니라 인프라스트럭처나 부동산 실물투자 등 관심 분야를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강두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