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10-25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금리 인상을 예고하면서 기업들의 자금조달 시장에도 불확실성이 커졌다. 이 총재는 지난 19일 올해 한국경제의 성장률 전망치를 3.0%로 0.2% 포인트 올리면서 “금융완화의 정도를 줄여나갈 여건이 어느 정도 성숙해 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시장에서는 한은이 내달 30일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저금리 시대 유동성이 풍부한 시장에서는 자금을 조달하는 기업들이 주도권을 쥔다. 하지만 금리 인상과 부채 감축시기에는 돈을 빌려주는 금융사들의 압력과 목소리가 커진다.
금리 인상은 건설기업에 더 큰 타격을 줄 전망이다. 대외적인 경기변화에 민감한데다 부채가 상대적으로 많아서다. 안 그래도 건설업은 다른 업종에 비해 디스카운트를 받아왔다. 은행들은 건설업· 조선업종 대출금을 꾸준히 줄여가고 있다. 경기에 취약한 업종에 대한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서다.
금리 인상에 올라타 대출금리가 올라가면 은행 대출을 통한 건설사들의 자금 조달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란게 은행권의 대체적 관측이다.
그렇다고 주식이나 채권시장과 같은 간접 금융을 통한 파이낸싱이 호락호락한 것은 아니다. 건설업종 주가지수는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시가총액은 쪼그라들고 있다. 코스피시장에서 건설업 시총은 지난 2009년 약 30조원에서 2016년 22조원까지 줄었다. 최근에는 8.2 부동산 대책에다 가계부채 종합대책까지 더해져 발목을 더 세게 잡고 있다. 증권사들은 앞다퉈 건설주들에 대한 목표가를 하향 조정하고 있다.
건설사들은 회사채시장에서도 발을 빼고 있다. 투자자들이 외면하고 회사채 발행을 위한 금리도 높아서다. 올해 기준 건설업 채권 스프레드(금리 차이)는 약 2.21%로 다른 산업 평균(1.08%)에 비해 높다. 지난 2010년 건설업 채권이 전체 채권 발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8%였지만, 2013년 2.77%를 기록하며 2%대로 낮아졌고, 2016년에는 1.45%까지 내려갔다.
이런 저런 좋지 않은 환경에서 금리마저 오르면 건설사들은 그야말로 사면초가에 놓인다.
이에 금리 인상에 앞서 미리 자금을 조달하고 현금을 확보하는 등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투자의 귀재 워런버핏은 “썰물이 빠졌을 때 비로소 누가 벌거벗고 수영을 했는지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물이 넘칠때는 알 수 없지만 거품이 빠지면 옥석가리기가 진행되는 법이다.
정부 역시 금리인상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업들의 자금조달 숨통을 터줘야 한다. 기존 자금조달 길 외에 인터넷은행, 개인대개인(P2P) 대출과 같은 다양한 대안을 육성해야 한다.
핀테크 기반의 대출은 금융사 횡포와 수수료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중기중앙회 조사에 따르면 인터넷은행으로 자금을 조달하면 금리 부담 완화, 담보 의존도 감소 등을 기대할 수 있다. P2P금융도 온라인 플랫폼에서 기업들에 맞춤형 대출 서비스가 가능하다. 비욘드펀드와 같은 P2P업체는 장래 분양대금 수익을 조기 유동화화해 건설사에 대출해주는 상품을 선보였다. 금리 인상기에 기업들의 채무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서라도 핀테크 금융의 규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여러 자금조달 창구를 넓혀야 할 것이다.
〈건설을 보는 눈 경제를 읽는 힘 건설경제-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HOMETOP
로그인 PC버전
ⓒ 2016. cnews.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