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1
- 더보기
입력 : 2017.12.06 20:08
소수의 자금을 모아 고수익을 추구하는 한국형 헤지펀드 시장이 올 들어 빠른 속도로 커졌다. 하지만 설정액이 50억원이 채 안 되거나 수익률이 마이너스(-)인 펀드가 속출하는 등 펀드 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헤지펀드 판이 커진 만큼 투자자들은 상품 선택에 더욱 유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작년 말 6조7000억원이던 한국형 헤지펀드 설정액은 올 12월 현재 12조4000억원으로 두 배 가까이가 됐다. 올 들어만 500개 넘는 펀드가 생겨났다.
초저금리 시대에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자금이 대거 몰린 결과다. 증시가 상승세를 타면서 발 빠른 자산가들이 은행 예금 대신 자산운용사가 운용하는 헤지펀드에 돈을 맡겼고, 운용사들이 이런 고객들을 붙잡기 위해 앞다퉈 새로운 상품을 출시했다. 부동산 규제가 강화되면서 부동산에 관심을 두었던 투자자들에게도 한국형 헤지펀드를 새로운 투자 대안으로 주목했다.
이에 더해 정부는 올 5월 사모펀드에 투자하는 공모 재간접 펀드도 허용했다. 기관투자자나 고액 자산가의 전유물이었던 헤지펀드에 평범한 투자자들도 돈을 맡길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 9월 국내 처음으로 500만원을 갖고 헤지펀드에 투자할 수 있는 공모 재간접 펀드인 ‘미래에셋 스마트 헤지펀드 셀렉션 혼합자산펀드’를 출시했고, KB자산운용 등도 상품 출시를 준비 중이다.
◇연초 이후 수익률 +128%부터 -80%까지…평균 6.4%
한국형 헤지펀드는 다양한 투자 전략을 활용해 연 7~10% 수익률을 목표로 삼는다. 올 들어 눈부신 수익률을 기록한 펀드도 있다. 설정액 270억원인 트리니티자산운용의 ‘트리니티 멀티스트레티지 1호’는 연초 이후 이달 4일까지 낸 수익률이 100%가 넘는다. 올해 상승장을 이끌었던 반도체 등 IT(정보기술) 종목을 많이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수익률이 높았다. 작년 8월 펀드 출시 이후 수익률은 175%에 달한다.
설정액이 11억원에 불과하지만 비상장 주식에 적극 투자하는 씨스퀘어자산운용의 ‘Pre-IPO 코넥스 1호’는 올해 수익률 128%로 현재 출시돼 있는 한국형 헤지펀드 738개 가운데 수익률 1위를 기록했다. 이 펀드는 최근 투자금을 모두 회수하고 청산을 완료했다.
하지만 ‘대박 펀드’만 있는 것은 아니다. 738개 펀드의 올해 평균 수익률은 6.4%에 머물렀고, 496개(67.2%)는 이보다 못했다. 펀드 3개 중 2개는 평균 수익률에도 못 미친다는 얘기다.
더욱이 132개 펀드(17.9%)는 올해 수익률이 마이너스(-)를 기록 중이다. 작년 11월 출시된 ‘토러스 대체 투자 1호’, ‘토러스 대체 투자 2호’는 연초 이후 수익률이 -80%였고, 설정액이 2500억원이 넘는 ‘흥국재량투자2호[채권]C-I’도 수익률이 -0.1%다.
메자닌 펀드들도 부진했다. 메자닌 전략은 전환사채(CB·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채권), 신주인수권부사채(BW·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 매매에 집중하는 투자 전략을 말한다. 증시 조정기에 채권으로 유지하다 상승 국면에 주식으로 전환해 수익을 추구한다.
메자닌 펀드는 중소형주 장세에 유리한데 상반기 전환사채 등을 주로 발행하는 중견·중소기업 주가가 부진했던 탓에 ‘아샘 메자닌포커스 1호’(-17.9%), ‘LK메자닌 1호’(-11.1%) 등의 수익률이 저조했다.
◇펀드 평균 설정액은 감소… 펀드 운용 인력 등 꼼꼼히 살펴야
헤지펀드 운용사 숫자는 105개로 2011년 시장이 출범한 지 6년 만에 처음으로 100개를 넘어섰다. 펀드 숫자도 700개를 훌쩍 넘어섰다. 하지만 각 펀드의 덩치는 작아지고 있다. 지난 9월 말만 해도 펀드당 평균 설정액이 191억원이었는데, 12월 현재 169억원으로 감소했다. 10월 이후엔 전체 헤지펀드 투자 금액이 늘어나지 않은 가운데 80여개 펀드가 새로 출시됐다. 설정액 4300억원대인 ‘NH 앱솔루트 리턴 1호’가 있는가 하면, 설정액 50억원 이하인 헤지펀드도 전체의 30.8%인 227개에 달한다. 수익률뿐만 아니라 설정액 규모에서도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대부분 운용사의 전체 헤지펀드 설정액이 1000억원을 밑도는 가운데 1조원이 넘는 운용사는 두 곳에 불과하다. 헤지펀드 설정액이 1000억원을 웃도는 운용사는 모두 36개로 전체의 30% 수준이다.
펀드 운용사와 상품 숫자는 우후죽순으로 늘어났지만, 전략은 그리 다양하지 않다. 한국형 헤지펀드의 투자 자산은 여전히 국내 주식 위주인 데다 투자 전략도 롱쇼트(상승 예상 종목을 사고, 하락 예상 종목을 공매도) 전략에 치우쳐 있다. 롱쇼트 전략은 주가 변동 폭이 클 때 예측이 어긋나면 손실을 볼 가능성이 높다. 펀드 전략이 비슷해지면 덩치 큰 펀드로 돈이 더 몰리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더 심해질 수 있다.
그간 주로 펀드 판매 대행을 해온 증권사들이 직접 펀드를 출시하고 있고, 공모 재간접 펀드까지 도입되면서 업계 경쟁이 치열해지자 곧 시장에서 도태되는 펀드가 속출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특히 규모가 작은 자산운용사는 운용 인력 1~2명만 빠져나가도 펀드 운용이 어려워진다.
리스크(위험)가 커진 만큼 투자자들이 유의해야 할 점은 더 많아졌다. 쏟아지는 펀드들 가운데 안전하면서도 자신의 투자 전략에 맞는 펀드를 직접 골라야 하기 때문이다.
헤지펀드 대부분은 레버리지(차입)를 사용하는 등 전략이 공격적이고 원금 손실 위험도 있다. 또 한국형 헤지펀드는 목표 수익률을 넘어서면 수익의 10~15%를 성공 보수로 떼어가고, 펀드 매입과 환매가 자유롭지 않아 펀드 환매에 길게는 한 달 이상 걸리기도 한다. 헤지펀드에 투자하는 공모 재간접 펀드도 수수료가 일반 공모 펀드보다 높게 책정된다.
이에 전문가들은 “헤지펀드는 펀드매니저의 전략 의존도가 크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무엇보다 펀드 운용자와 투자 전략을 꼼꼼히 따져보고, 특히 설정 1년이 채 안 된 펀드는 신중히 골라 담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형 헤지펀드
소수의 투자자 들로부터 자금을 모은 뒤 주식·채권·파생상품·부동산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해 수익을 올리는 사모펀드를 헤지펀드라고 한다. 한국형 헤지펀드는 금융 당국이 2011년 말 기존 사모펀드 규제를 완화하면서 내건 이름으로, 소수(49인 이하) 투자자들이 최소 1억원 이상씩 투자하도록 했다. 저금리 시대에 인기를 끌며 올 들어서만 500개 넘는 펀드가 생겨났다.
작년 말 6조7000억원이던 한국형 헤지펀드 설정액은 올 12월 현재 12조4000억원으로 두 배 가까이가 됐다. 올 들어만 500개 넘는 펀드가 생겨났다.
초저금리 시대에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자금이 대거 몰린 결과다. 증시가 상승세를 타면서 발 빠른 자산가들이 은행 예금 대신 자산운용사가 운용하는 헤지펀드에 돈을 맡겼고, 운용사들이 이런 고객들을 붙잡기 위해 앞다퉈 새로운 상품을 출시했다. 부동산 규제가 강화되면서 부동산에 관심을 두었던 투자자들에게도 한국형 헤지펀드를 새로운 투자 대안으로 주목했다.
이에 더해 정부는 올 5월 사모펀드에 투자하는 공모 재간접 펀드도 허용했다. 기관투자자나 고액 자산가의 전유물이었던 헤지펀드에 평범한 투자자들도 돈을 맡길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 9월 국내 처음으로 500만원을 갖고 헤지펀드에 투자할 수 있는 공모 재간접 펀드인 ‘미래에셋 스마트 헤지펀드 셀렉션 혼합자산펀드’를 출시했고, KB자산운용 등도 상품 출시를 준비 중이다.
◇연초 이후 수익률 +128%부터 -80%까지…평균 6.4%
한국형 헤지펀드는 다양한 투자 전략을 활용해 연 7~10% 수익률을 목표로 삼는다. 올 들어 눈부신 수익률을 기록한 펀드도 있다. 설정액 270억원인 트리니티자산운용의 ‘트리니티 멀티스트레티지 1호’는 연초 이후 이달 4일까지 낸 수익률이 100%가 넘는다. 올해 상승장을 이끌었던 반도체 등 IT(정보기술) 종목을 많이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수익률이 높았다. 작년 8월 펀드 출시 이후 수익률은 175%에 달한다.
설정액이 11억원에 불과하지만 비상장 주식에 적극 투자하는 씨스퀘어자산운용의 ‘Pre-IPO 코넥스 1호’는 올해 수익률 128%로 현재 출시돼 있는 한국형 헤지펀드 738개 가운데 수익률 1위를 기록했다. 이 펀드는 최근 투자금을 모두 회수하고 청산을 완료했다.
하지만 ‘대박 펀드’만 있는 것은 아니다. 738개 펀드의 올해 평균 수익률은 6.4%에 머물렀고, 496개(67.2%)는 이보다 못했다. 펀드 3개 중 2개는 평균 수익률에도 못 미친다는 얘기다.
더욱이 132개 펀드(17.9%)는 올해 수익률이 마이너스(-)를 기록 중이다. 작년 11월 출시된 ‘토러스 대체 투자 1호’, ‘토러스 대체 투자 2호’는 연초 이후 수익률이 -80%였고, 설정액이 2500억원이 넘는 ‘흥국재량투자2호[채권]C-I’도 수익률이 -0.1%다.
메자닌 펀드들도 부진했다. 메자닌 전략은 전환사채(CB·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채권), 신주인수권부사채(BW·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 매매에 집중하는 투자 전략을 말한다. 증시 조정기에 채권으로 유지하다 상승 국면에 주식으로 전환해 수익을 추구한다.
메자닌 펀드는 중소형주 장세에 유리한데 상반기 전환사채 등을 주로 발행하는 중견·중소기업 주가가 부진했던 탓에 ‘아샘 메자닌포커스 1호’(-17.9%), ‘LK메자닌 1호’(-11.1%) 등의 수익률이 저조했다.
◇펀드 평균 설정액은 감소… 펀드 운용 인력 등 꼼꼼히 살펴야
헤지펀드 운용사 숫자는 105개로 2011년 시장이 출범한 지 6년 만에 처음으로 100개를 넘어섰다. 펀드 숫자도 700개를 훌쩍 넘어섰다. 하지만 각 펀드의 덩치는 작아지고 있다. 지난 9월 말만 해도 펀드당 평균 설정액이 191억원이었는데, 12월 현재 169억원으로 감소했다. 10월 이후엔 전체 헤지펀드 투자 금액이 늘어나지 않은 가운데 80여개 펀드가 새로 출시됐다. 설정액 4300억원대인 ‘NH 앱솔루트 리턴 1호’가 있는가 하면, 설정액 50억원 이하인 헤지펀드도 전체의 30.8%인 227개에 달한다. 수익률뿐만 아니라 설정액 규모에서도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대부분 운용사의 전체 헤지펀드 설정액이 1000억원을 밑도는 가운데 1조원이 넘는 운용사는 두 곳에 불과하다. 헤지펀드 설정액이 1000억원을 웃도는 운용사는 모두 36개로 전체의 30% 수준이다.
펀드 운용사와 상품 숫자는 우후죽순으로 늘어났지만, 전략은 그리 다양하지 않다. 한국형 헤지펀드의 투자 자산은 여전히 국내 주식 위주인 데다 투자 전략도 롱쇼트(상승 예상 종목을 사고, 하락 예상 종목을 공매도) 전략에 치우쳐 있다. 롱쇼트 전략은 주가 변동 폭이 클 때 예측이 어긋나면 손실을 볼 가능성이 높다. 펀드 전략이 비슷해지면 덩치 큰 펀드로 돈이 더 몰리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더 심해질 수 있다.
그간 주로 펀드 판매 대행을 해온 증권사들이 직접 펀드를 출시하고 있고, 공모 재간접 펀드까지 도입되면서 업계 경쟁이 치열해지자 곧 시장에서 도태되는 펀드가 속출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특히 규모가 작은 자산운용사는 운용 인력 1~2명만 빠져나가도 펀드 운용이 어려워진다.
리스크(위험)가 커진 만큼 투자자들이 유의해야 할 점은 더 많아졌다. 쏟아지는 펀드들 가운데 안전하면서도 자신의 투자 전략에 맞는 펀드를 직접 골라야 하기 때문이다.
헤지펀드 대부분은 레버리지(차입)를 사용하는 등 전략이 공격적이고 원금 손실 위험도 있다. 또 한국형 헤지펀드는 목표 수익률을 넘어서면 수익의 10~15%를 성공 보수로 떼어가고, 펀드 매입과 환매가 자유롭지 않아 펀드 환매에 길게는 한 달 이상 걸리기도 한다. 헤지펀드에 투자하는 공모 재간접 펀드도 수수료가 일반 공모 펀드보다 높게 책정된다.
이에 전문가들은 “헤지펀드는 펀드매니저의 전략 의존도가 크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무엇보다 펀드 운용자와 투자 전략을 꼼꼼히 따져보고, 특히 설정 1년이 채 안 된 펀드는 신중히 골라 담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형 헤지펀드
소수의 투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