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PL 투자

캠코, 부실채권 매입 수의계약으로변경 .회생 가능성 있는 기업 한정 산은 등 보유한 NPL 사들여 안정적구조조정에.'기업구조혁신지원센터' 운영

Bonjour Kwon 2018. 5. 4. 08:46

 

2018.05.02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가 기업 부실채권(NPL)을 본격적으로 매입해 회생 가능성이 있는 기업 살리기에 나선다. 안정적으로 NPL을 보유해 기업이 스스로 재기하는 것을 돕는 차원이다. 기존 민간 NPL 사업자들은 수익 관점에 따라 리세일(재판매)을 빈번하게 해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캠코는 KDB산업은행과 IBK기업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기업 NPL을 수의계약으로 매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회생 가능성이 있는 기업 NPL이 주된 대상이다. 캠코가 이 NPL을 보유하면 민간 사업자 대비 안정적으로 구조조정을 도울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캠코가 기업구조조정 플랫폼 '기업구조혁신지원센터'를 최근 운영하면서 정부의 구조조정 정책을 뒷받침하고 있다는 것도 한몫했다.

 

그동안 캠코는 2008년 이명박 정부 시절 '공기업선진화방안'에 따라 민간 금융기관의 NPL 입찰에 참여하지 못해 NPL 물량을 확보할 방안이 요원했다. 일부 지방은행을 통해 수의계약으로 매입했지만 채권원금 기준 2015~2016년 연간 100억~200억원 정도 확보하는 수준에 그쳐 전체 시장 대비 영향력이 미미했다.

 

이에 따라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은 캠코에 기업 NPL을 수의계약으로 넘기기 위해 계약사무규칙 변경을 추진한다. 양 기관은 조만간 기획재정부 계약제도과에 계약사무규칙 변경 관련 유권해석을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은 계약사무규칙에 따라 그동안 NPL을 경쟁입찰로만 넘겨야 했다.

 

이미 금융 공공기관이 보유한 개인 NPL도 캠코가 관리를 주도하고 있다. 기술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예금보험공사, 주택금융공사, 농림수산업자신용보증기금, 신용회복위원회의 개인 부실채권도 금융공공기관 부실채권 관리 일원화에 따라 캠코에 매각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주택금융공사 등 7개 금융공공기관이 보유한 부실채권은 24조9000억원 규모다. 관련 채무자는 약 70만명이다.

 

IB 업계 관계자는 "민간 시장 참여자 중심인 NPL 시장에서 처리되기 힘든 시장 실패영역의 NPL 정리를 캠코가 맡기 위해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이 힘을 보탰다"며 "정부정책지원을 통한 금융시장 안정화 및 궁극적으로 NPL 시장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캠코의 과거 NPL 최강자 명성 회복도 주목된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전에는 직접 NPL에 투자했지만, 정부의 민간 금융기관 입찰 참여 금지안에 따라 NPL 투자에 소극적이었다.

 

캠코는 최근 간접적으로 NPL 투자 경험을 쌓으면서 역량을 준비해왔다. 캠코는 지난해 8월에 설정된 블라인드 펀드인 '미래에셋NPL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 5호'에 LP(유한책임사원)로 참여해 600억원의 투자를 약정했다. 올해 3월에는 1500억원 규모로 NPL에 투자키로 결정해 미래에셋자산운용, KB자산운용, 유진자산운용을 적격 운용사로 선정키도 했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