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2018.07.11
일본에서 민관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차세대 원자로 개발에 착수할 전망이라고 니혼게이자이(닛케이) 신문이 11일 보도했다.
닛케이 "전력회사와 민간 메이커 협의체 올해 발족
저비용,안전한 소형 원자로와 가스 원자로 등 개발
업체들 "국가로부터 요청 있으면 참가 긍정 검토"
닛케이는 “2018년 중으로 공기업적 성격이 강한 대형 전력회사와 민간 원자로 메이커 등이 참가하는 협의체를 정부 주도로 꾸리는 방안을 경제산업성이 검토하고 있다”며 “안전성을 더 높인 저비용의 원자로 개발과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한국은 정부가 나서 탈원전 정책을 주도하고 있지만, 동일본대지진과 후쿠시마(福島)원전 사고로 큰 피해를 입었던 일본은 오히려 정교하고 공격적인 원전 전략을 짜고 있는 셈이다.
닛케이는 “동일본대지진 이후 국내 원전 가동이 부진한 상황에서 각 회사가 협력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 원전 신설을 지원하고, 업계 재편의 계기로도 삼겠다는 게 정부의 생각”이라고 보도했다.
지난 3일 일본 정부 각의(우리의 국무회의에 해당)에서 결정된 새로운 에너지 기본계획에도 “원자력은 향후에도 중요한 전력원으로 활용해 나간다. 2030년에도 전력생산의 20~22%를 원전이 담당한다”는 내용이 명시됐다.
이를 위해선 최소한 30기 안팎의 원전이 가동돼야하는데, 현재 9기만 가동되고 있는 현실을 어떻게 개선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빠졌다. 민관 협력체를 만들겠다는 일본 정부의 구상은 양측의 활발한 협조를 통해 원전 증설이나 교체를 더 쉽게 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겠다는 의도라는 것이다.
민관 협력을 통해 개발이 가능한 원자로와 관련해, 닛케이는 "100만 킬로와트 규모인 현재의 대형 원자로는 대량 발전이 가능하지만 건설·안전대책 비용이 많이 든다"며 "민관이 공동으로 개발하게 될 차세대 원자로에는 10만~30만 킬로와트 정도의 소형 원자로가 포함될 전망”이라고 전했다.
대형 원자로는 건설비가 1조엔(약 10조원) 안팎이지만, 소형 원자로의 경우 이를 수천억엔 규모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냉각작업에 물이 아닌 가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수증기 폭발의 우려가 적은 ‘고온가스 원자로’ 등도 개발 대상이다. 이렇게 최신 제어기술이 활용되는 차세대원자로를 개발하면 긴급시 피해가 확대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세코 히로시게 일본 경제산업상[중앙포토]
세코 히로시게 일본 경제산업상[중앙포토]
경제산업성은 향후 공기업 성격의 대형 전력회사 등에 협의체 참여를 타진할 예정이다. 도쿄전력 홀딩스와 간사이 전력은 “국가의 요청이 있으면 긍정적으로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미쓰비시(三菱)중공업과 히타치(日立)제작소 등 원자로 메이커,또 원전 건설을 담당할 건설 회사 등에도 참가를 독려해 나갈 계획이다.
일본 정부는 원전재가동에 신중한 여론이 있음을 감안해 고성능 축전지와 재생에너지 등 다른 에너지 분야에서도 민관이 협력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방안도 함께 연구 중이라고 닛케이는 전했다.
도쿄=서승욱 특파원 sswook@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