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1.20
종사자수 100배 많지만 소규모 농업에 생산성 낮아
무역전 여파로 개혁 압력.. 5년간 현대화 집중 투자
미국과 무역전쟁으로 식량 안보의 중요성을 깨달으면서 낙후된 농업 발전 필요성을 절감했기 때문이다. 또 도시 지역 성장둔화에 따른 새로운 개발대상으로 농촌이 부상하고 있는데다 인구 고령화로 이전의 소규모 전근대식 농업이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기도 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8일(현지시간)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무역전쟁을 벌이면서 농업 현대화에 눈을 떴다면서 이같이 보도했다.
■열악한 중국 농업
중국 농업은 2억8000만명이 종사하는 대형 산업이다. 종사자수로는 미국의 100배가 넘는다. 그러나 개별 농가 경작지는 미국에 비해 규모가 훨씬 작고, 생산성도 훨씬 떨어진다. 유엔에 따르면 중국의 콩 단위수확량(헥타아르 기준)은 미국의 절반에 불과하다. 중국 농가의 평균 토지 경작 규모도 8093㎡로 161만8742㎡(1.61㎢)인 미국 평균에 비교가 안된다.
정부가 그동안 도시 개발에 주력하면서 농업 발전에 관심이 적었던데다 소규모 영농이 훨씬 많은 고용을 흡수하고, 사회안정을 이뤄낸다는 점 때문에 경작규모 확대에 소극적이었던 것이 농업을 낙후한 산업으로 머물게 했다.
여기에 모든 토지는 국가가 소유하는 사회주의 중국의 특성도 한 몫했다. 토지사용권만 있는 농민들로서는 생산성을 끌어올릴 수 있는 장기 투자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
그렇지만 미중 무역전쟁이 상황을 바꾸고 있다. 중국 정부도 관점을 달리하고 있다. 농산물 부족이 동기가 되고 있다.
미국의 관세에 맞서 중국이 미국산 대두, 밀, 기타 작물에 보복관세를 물리면서 수입이 줄어 농산물이 부족해진 터라 농업생산을 촉진해야 하게 됐다. 이는 다른 한편으로 중국 농산물 가격을 끌어올려 농민들에는 생산성을 높이도록 하는 동기로도 작용하고 있다. 베이징 리서치 업체 '중국정책'의 농업 애널리스트 이븐 로저스 페이는 "무역전쟁이 (농업개혁에 대한) 압력을 높이고, 철저한 검토가 이뤄지도록 하고 있다"면서 "당 지도부가 특히 농업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과 중국이 서로 관세로 대응한 한달 뒤인 8월 중국 농무부는 '강한 농촌 마을' 254개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모델로 중국 농촌을 변모시킨다는 계획이다.
■농업에서 새로운 성장동력
중국 경제성장률이 둔화하면서 정부가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농촌을 지목하게 된 것도 농업현대화의 배경 가운데 하나가 됐다. 당국의 대응도 속도를 높이고 있다. 중국 국무원은 9월 농업생산성을 높이고, 농촌 소득을 끌어올리는데 주안점을 둔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중국 산업을 첨단화한다는 '중국제조 2025' 계획에도 농업장비 개선이 10대 목표 가운데 하나로 제시됐다.
중국 농업은 2억8000만명이 종사하는 대형 산업이다. 종사자수로는 미국의 100배가 넘는다. 그러나 개별 농가 경작지는 미국에 비해 규모가 훨씬 작고, 생산성도 훨씬 떨어진다. 유엔에 따르면 중국의 콩 단위수확량(헥타아르 기준)은 미국의 절반에 불과하다. 중국 농가의 평균 토지 경작 규모도 8093㎡로 161만8742㎡(1.61㎢)인 미국 평균에 비교가 안된다.
정부가 그동안 도시 개발에 주력하면서 농업 발전에 관심이 적었던데다 소규모 영농이 훨씬 많은 고용을 흡수하고, 사회안정을 이뤄낸다는 점 때문에 경작규모 확대에 소극적이었던 것이 농업을 낙후한 산업으로 머물게 했다.
여기에 모든 토지는 국가가 소유하는 사회주의 중국의 특성도 한 몫했다. 토지사용권만 있는 농민들로서는 생산성을 끌어올릴 수 있는 장기 투자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
그렇지만 미중 무역전쟁이 상황을 바꾸고 있다. 중국 정부도 관점을 달리하고 있다. 농산물 부족이 동기가 되고 있다.
미국의 관세에 맞서 중국이 미국산 대두, 밀, 기타 작물에 보복관세를 물리면서 수입이 줄어 농산물이 부족해진 터라 농업생산을 촉진해야 하게 됐다. 이는 다른 한편으로 중국 농산물 가격을 끌어올려 농민들에는 생산성을 높이도록 하는 동기로도 작용하고 있다. 베이징 리서치 업체 '중국정책'의 농업 애널리스트 이븐 로저스 페이는 "무역전쟁이 (농업개혁에 대한) 압력을 높이고, 철저한 검토가 이뤄지도록 하고 있다"면서 "당 지도부가 특히 농업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과 중국이 서로 관세로 대응한 한달 뒤인 8월 중국 농무부는 '강한 농촌 마을' 254개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모델로 중국 농촌을 변모시킨다는 계획이다.
■농업에서 새로운 성장동력
중국 경제성장률이 둔화하면서 정부가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농촌을 지목하게 된 것도 농업현대화의 배경 가운데 하나가 됐다. 당국의 대응도 속도를 높이고 있다. 중국 국무원은 9월 농업생산성을 높이고, 농촌 소득을 끌어올리는데 주안점을 둔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중국 산업을 첨단화한다는 '중국제조 2025' 계획에도 농업장비 개선이 10대 목표 가운데 하나로 제시됐다.
유전자변형(GMO) 종자 사용도 허용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 대부분은 지난해 중국 국영기업 켐차이나가 430억달러에 스위스 종묘업체 신젠타를 인수한 것을 계기로 GMO 종자 사용 금지가 풀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GMO 종자 사용은 단위 수확량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방안 가운데 하나다.
한편 중국 정부는 9월 아시아개발은행(ADB)과 공동으로 농업현대화를 포함한 농촌 발전 프로젝트에 6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
한편 중국 정부는 9월 아시아개발은행(ADB)과 공동으로 농업현대화를 포함한 농촌 발전 프로젝트에 6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