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2.20
- 금감원, 대체투자 감독로드맵 마련…올해 주요 업무계획 반영
- “EU 수준 강화”…금리·환율 등 고려해 ‘스트레스테스트’ 실시
- “대체투자자산 평가주기·방법·절차·공시기준 등 세부안 마련”
- 금투업계 “대체투자시장 육성 찬물 끼얹는다” 우려 목소리 커
[이데일리 문승관 기자] 주식·채권 등 전통적인 투자의 대안으로 대체투자가 급부상하면서 부동산·특별자산펀드 시장이 순자산 149조원 시장으로 성장하자 금융당국이 관리감독을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해외 부동산과 사회간접자본(SOC)등 특정 자산으로 쏠림 현상이 심해짐에 따라 리스크 관리와 투자자보호차원에서 관리감독의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대체투자를 새로운 먹거리로 삼고 투자 확대에 나선 자산운용업계로서는 ‘비상등’이 켜졌다.
◇“투자자보호가 최우선”…규제 강화
금감원 고위관계자는 19일 “투자자보호와 대체투자펀드 시장의 안정적인 발전 기반을 마련하고자 대체투자펀드에 대한 감독 로드맵을 마련해 올해 주요 업무계획에 포함할 것”이라며 “유럽연합(EU) 등 해외사례를 참고해 부동산과 특별자산펀드의 리스크 관리, 보고·공시기준 등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EU에서는 대체투자펀드 자산운용사에 대한 인허가는 물론 영업행위와 펀드가치 평가, 리스크 관리, 공시 등에 대해 법규로 규제하고 감독한다”며 “해외 부동산 등 특정 자산과 시장으로의 투자 쏠림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연내 금리 상승과 환율 변동에 따른 스트레스테스트도 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펀드 재산의 공정가치를 적절히 평가·산정할 수 있도록 대체투자자산의 평가 주기와 방법, 절차 등에 대해 세부기준을 마련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지난해 말 ‘대체투자펀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현장 점검과 업계 의견을 청취했다”고 덧붙였다.
올해 1월말 기준으로 부동산·특별자산펀드의 순자산은 149조원으로 2015년(75조5000억원)보다 두 배 가까이 늘었지만 투자자보호와 투자리스크를 관리할 만한 제도적 장치가 미흡한 실정이다.
윤석헌 금감원장이 지난해 말 대체투자펀드에 대한 감독방안을 마련하라고 주문한 것도 투자자 피해를 우려해서다. 금감원 관계자는 “대체투자펀드 대부분이 폐쇄형으로 해당 자산에 대한 평가를 펀드 모집 시와 만기 시에만 한다”며 “중간 평가가 없는 데다 부실자산이 생겨도 적절한 시점에 가치를 평가하지 않고 만기에 모두 반영하는 구조”라고 말했다.
이어 “투자자로서는 제때 투자자산의 가치를 알기가 어렵다”며 “부동산과 특별자산 펀드 내 해외 투자비중도 급격히 늘어 금리와 환율 변동에 취약점을 드러내고 있다”고 언급했다. 해외 부동산 펀드는 일부만 환 헤지를 하거나 혹은 환 노출형 상품이라면 환율 변동에 취약하다.
◇“대체투자 이제 걸음마 뗐는데”…업계 전전긍긍
자산운용업계는 금감원의 감독강화에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당장 국내외 부동산 펀드 출시가 예정돼 있는데 규제 강화로 흥행에 실패할까 전전긍긍이다.
자산운용사 한 관계자는 “지난해 말 금감원에서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 현대인베스트먼트자산운용, JB자산운용 3곳에 대해 대체투자에 대해 검사를 진행했다”며 “올해 대체투자 강화를 위해 해외 부동산펀드를 설정할 예정이었는데 금감원의 감독 로드맵을 확인한 후 사업계획을 세워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부동산 펀드는 다른 경쟁 상품과 비교하면 매우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돈 몰리는 속도가 압도적이다. 지난해 부동산 펀드 설정액은 27% 급증했는데 같은 기간 주식형 펀드 설정액은 5% 증가하는 데 그쳤고 채권형 펀드는 6.8% 늘었다. 제로인에 따르면 부동산 펀드의 최근 1년 수익률은 8.58%로 같은 기간 주식형 펀드 수익률(-9.36%)을 크게 웃돌았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금투협이 올해 부동산이나 인프라 특화 운용사의 투자성과(트랙레코드)를 확보할 수 있도록 신생 자산운용사를 위한 ‘루키리그’ 조성을 검토하고 있다”며 “지난해 금투협 회원사로 가입한 신생 자산운용사 28개사 중 절반에 가까운 13개사(46.4%)가 부동산이나 인프라 특화를 내세운 자산운용사인데 감독강화로 진입 문턱이 높아지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했다.
문승관 (ms7306@edaily.co.kr)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