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파트등 부동산시장 동향,전망

나홀로 아파트까지…다시 불붙는 서울분양.非강남권 불구 경쟁률 높아 서울 내집마련 수요 반영.지방분양 저조 "정부 규제가 양극화 부추겨"

Bonjour Kwon 2019. 7. 19. 06:26

2019.07.18 1

85가구 분양 구의자이엘라

300가구 응암 e편한백련산

 

부산·강릉 등 지방분양 저조

"정부 규제가 양극화 부추겨"

 

서울 광진구 소재 구의자이엘라 견본주택에 몰린 사람들 모습. 이 단지는 85가구 소형 나 홀로 단 지지만 평균 19대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사진 제공 = 자이S&D]

서울 청약시장 열기가 브랜드 파워가 약한 소규모 나 홀로 단지로까지 옮겨붙었다. 대기업 브랜드도 아니고 규모도 작은 아파트 분양에서도 잇따라 두 자릿수 평균 청약경쟁률이 나오고 있다.

 

반면 지방은 여전히 미분양에 신음하고 있어 대조적이다. 정부의 분양시장 관련 규제는 강화되고 있지만, 사람들의 `서울 새집 마련`에 대한 욕구는 더 커지고, 지방만 어려워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8일 금융결제원 아파트투유에 따르면 삼호가 은평구 응암동에서 공급하는 `e편한세상 백련산`이 17일 1순위 청약을 접수한 결과 69가구 모집에 2253명이 몰려 평균 32.65대1의 경쟁률로 마감했다. 이 단지는 전용 59~84㎡ 중소형 100%로 이뤄진 358가구 소규모 단지이며, e편한세상 브랜드를 달기는 했지만 대림산업이 아닌 계열사 삼호가 짓는 아파트다. 이 때문에 상대적으로 주변 대비 인기가 덜할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높은 경쟁률로 마감했다.

 

연초 미분양의 악몽이 남아 있는 광진구에서도 두 자릿수 경쟁률이 나왔다. GS건설 계열사인 자이S&D가 공급한 `구의자이엘라`는 총 85가구 소규모 단지인데, 특별공급 등을 제외한 46가구 모집에 892명이 몰려 평균 19.39대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했다.

 

`자이엘라` 브랜드는 소규모 단지, 도시형 생활주택, 주거용 오피스텔 전문 브랜드다. 구의자이엘라 역시 전용 20~73㎡ 100% 소형으로만 나왔다. 소형 면적에 소규모 단지지만 지하철 2호선 구의역과 5호선 아차산역 더블 역세권 입지 등으로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노원구 공릉동에서 건해건설이 공급한 `화랑대 디오베이션` 역시 62가구의 작은 규모 단지에 건설사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약점에도 불구하고 8.19대1이라는 준수한 성적을 받아 들었다.

 

 

이처럼 입지·규모·브랜드 측면에서 모두 `1군`으로 평가받지 못하는 단지마저도 `인 서울`이라는 이유로 달아오르자 정부 규제가 오히려 서울의 희소성만 높이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는 3기 신도시 등 공급 정책을 내놨지만, 모두 수도권에 위치하고 있고 공급까지 긴 기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서울 공급의 핵심인 재건축과 재개발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틀어막고 있고 장기적으로 서울 집값은 우상향할 것이라는 기대감 속에 비주류 단지마저 튀어오르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서울 아파트 가격도 긴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 연일 상승세다. 18일 한국감정원 주간 아파트 시세 통계에 따르면 7월 첫 주 상승 전환한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3주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강남 3구는 물론 용산·마포·성동·광진·동작구 등도 매매가격이 연일 올라가고 있다. `절벽` 상태에 놓였던 거래도 회복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6월 서울 주택매매거래(신고일 기준)는 8990건으로 전월(8077건) 대비 11.3% 늘어났다. 올해 2월 이후부터 계속 증가하고 있다.

 

서울과 달리 지방 분위기는 침체 일로다. 세종·대구·광주·대전 정도를 제외하면 청약 흥행 실패와 장기 미분양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지난 17일 청약을 접수한 부산 영도구 `영도 대교동 로웰타워`는 68가구 모집에 13명만이 청약을 신청했고, 강원도 강릉에서 공급한 `주문진 벽산블루밍 오션힐스` 역시 111가구 공급에 29명이 청약하는 데 그쳤다. `속초 대광 로제비앙`은 218가구 모집에 단 한 명도 청약하지 않았다. 이미 몇 년간 지속돼 온 지방 분양시장의 어려움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서울 새집으로만 쏠리는 극심한 양극화가 계속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통계로도 나타나고 있다. 주택산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6월 미분양 현황을 보면 전국 미분양 6만2741가구 중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은 1만218가구에 그쳤다. 나머지 5만2523가구는 모두 지방에서 나온 것이다.

 

7월 예상 분양률 조사에서도 서울은 88.5%로 높았지만 강원권 54.2%, 대구·부산 등 경상권 65.9%, 대전·충청권 78.3%, 광주·전라권 75.4%로 낮았다. 인천·경기조차도 76.1%에 불과했다.

 

[박인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상한제 시작도 전에 수도권 분양물량 `뚝`

신규 분양 나비효과?…방배동 신고가 `우르르`

금융위, 인터넷전문은행 신규인가 재추진…연내 2곳 선정

분양가 심사기준 강화로 신규물량에 관심 더 쏠릴까

정부 "당정청 분양가 상한제 시행에 이견 없다"

 

ㅡㅡㅡ

 

[S머니] "우린 규제 몰라요" 강남 소규모 재건축 '나홀로 활기'

 

2019.07.19.

 

대부분 300~400가구 그쳐

서울시 심의·인가 덜 까다롭고

분양가 상한제 등 영향 미미

신반포19차·18차 등 사업 탄력

물량 적어 공급해소엔 역부족

은마 등 대단지 여전히 올스톱

 

 

[서울경제] 정부와 서울시가 재건축 규제를 강화하는 가운데 강남권 소규모 재건축은 속도를 내고 있다. 5,000가구가 넘는 대형 재건축 사업지와 달리 300~400가구 안팎의 재건축은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아 심의·인가가 빠르게 진행되는 편이다. 하지만 조합원 물량을 제외하면 일반 분양 물량이 100가구가 안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서울 주택공급에는 한계가 있다는 평가다.

 

◇속도 내는 강남권 소규모 재건축=19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 서초구 잠원동의 재건축 단지인 신반포19차가 최근 서울시에 건축심의 상정을 요청했다. 서울시는 검토를 거쳐 오는 9월께 건축심의에 상정한다는 계획이다. 심의를 통과하면 사업시행계획인가를 받은 뒤 시공사를 선정하게 된다. 지난 1983년 준공된 신반포19차는 242가구, 2개동으로 구성돼 있는데 재건축이 이뤄지면 최고 35층, 소형 임대주택 32가구를 포함해 총 352가구로 늘어난다. 이 단지는 현금 기부채납을 추진해 화제를 모은 바 있다.

 

인근에 자리한 신반포18차 337동 재건축조합 역시 지난달 시공사 선정을 위한 현장설명회를 개최하며 속도를 내고 있다. 시공사는 다음달 13일 입찰을 마감할 예정이다. 이 단지는 지하 3층, 지상 31층 아파트 182가구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서초구 방배동에 위치한 408가구, 4개동 규모의 방배 삼익아파트도 올 5월 사업시행계획인가를 받았다. 10월께 시공사 선정을 마무리 짓는다. 108가구, 2개동으로 구성된 서초구 잠원동의 신반포21차는 올 5월부터 사업시행계획인가 절차를 진행하며 다음달께 최종 인가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소규모 재건축은 조합원 수가 적기 때문에 의사 결정 속도가 비교적 빠른 편이다. 대규모 재건축 단지보다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작아 서울시의 심의·인가 과정도 까다롭지 않은 편이다. 정부가 최근 민간 분양 아파트에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하는 등 규제를 강화하고 있지만 중소규모 단지는 여파도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일반 분양물량이 워낙 적어 조합원 부담액이 크게 차이 나지 않기 때문이다. 강남권 소규모 재건축 단지의 A 조합장은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면 조합원 부담금이 많아지기는 하지만 큰 액수는 아니다”라며 “일반 분양물량이 많지 않아 분양가 규제로 인한 여파가 상대적으로 적다”고 설명했다.

 

◇대규모 단지는 여전히 올스톱···공급 해소에는 역부족=소규모 재건축이 꾸준히 진행되지만 서울 내 주택 공급 부족을 해소하기에 턱없이 부족하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에서 2017년 재개발·재건축 사업을 통해 총 3만6,418가구가 공급됐지만 지난해는 1만7,435가구로 급감했다. 이는 2015년(3만7,751가구), 2016년(3만3,622가구)과 비교해 감소 추세가 두드러진다. 일반분양 물량도 줄고 있다. 지난해 재개발·재건축 단지를 통해 일반 분양한 물량은 7,104가구로 2017년(1만4,734가구)의 절반 수준(51.8%)이다. 올해 5월까지 분양된 아파트 역시 6,328가구, 일반 분양 물량은 3,004가구에 그쳤다.

 

서울의 공급 부족을 해소하려면 대단지 재건축이 다수 풀려야 하는데 강남구 은마·잠실주공 5단지 등은 여전히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잠실주공 5단지는 서울시 방침에 따라 국제현상설계공모까지 진행했는데 1년이 넘도록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압구정 현대와 여의도 시범아파트 등은 지구단위계획에 묶여 재건축 사업이 진행되지 않고 있다. 서울 재건축 정비사업 조합들은 이에 대규모 공동집회까지 논의하고 있다. 이들은 서울시의 사업지연과 직권해제가 부당하다는 취지로 집회할 계획이다. 대치동 은마아파트,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등 최대 30여개 단지가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윤선기자 sepys@sedaily.com

 

[서울경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