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9.19
강남 대치 재건축가격 육박
인천송도 등 수도권도 들썩
ㅡ풍선효과 부른 어설푼 규제 지속,신축 서울 청약 쏠림 더해졔
ㆍ서울 전세값 12주째ㅈ상승 .경기도 35개월 만에 최대폭 올라
ㅡ전세상한제 도입.전세가도 들썩여
ㆍ롯또청약 대기수요늘고
ㆍ이사철 마물려
◆ 분양가상한제의 역설 ◆
최근 서울 강남 집값에 이어 강북의 `마용성(마포·용산·성동)` 집값까지 상승하는 등 정부의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예고가 촉발한 집값 이상 열기가 확산되고 있다. 마용성의 신축 아파트값이 강남 3구의 재건축 추진 아파트값을 따라잡고 있어 눈길을 끈다. 상한제가 도입되면 재건축·재개발 등이 올스톱돼 `중장기적으로 서울 핵심지 새 아파트 공급이 마를 것`이란 우려에 신축 아파트 쏠림이 심해지면서 나타난 기현상이다.
19일 매일경제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정부가 지난 7월 민간에도 분양가상한제를 도입하겠다고 선언하고, 8월 실제로 바뀐 적용 기준을 발표한 후 비강남권 신축 대단지 가격이 치솟았다. 마포구 아현동 `마포래미안푸르지오`(3885가구·2014년 입주)의 전용 84㎡ 거래가격은 6월만 해도 12억~13억원대였지만 8월 들어 15억원대에 안착했고, 최고 16억5000만원까지 치솟았다.
용산구 효창동 `용산 롯데캐슬 센터포레`(478가구·2019년 입주) 전용 59㎡는 이달 초 12억3500만원에 거래됐다. 강남구 도곡동·역삼동 일대 같은 면적 아파트 거래가격과 큰 차이가 없다.
반면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 가격은 주춤하다. 대표 재건축 단지인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 76㎡는 6월 18억원까지 거래됐지만 8월 들어 거래가 거의 안 되고 있다. 8월에는 로열층 매물이 17억7000만원에 팔렸다.
인근 공인중개소 관계자는 "17억원에 내놓은 매물도 팔리지 않고, 문의도 없다"면서 "재건축이 지연될 전망인 데다 각종 부담금 이슈까지 있어 투자자들이 꺼리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강남 집값을 대표하던 대치동과 도곡동 재건축 아파트 시세가 강북 신축 아파트에 추격을 당하는 모습이다.
송파구 문정동 `올림픽훼밀리타운`(4494가구) 전용 84㎡는 최근 두 달 새 최고 거래가격이 13억6000만원이었다. 마포나 용산 신축 아파트의 같은 면적 대비 가격이 낮은 것이다. 잠실주공5단지는 여전히 가격 자체는 높지만 하락세는 뚜렷하다. 전용 82㎡는 6월 21억1425만원까지 거래됐지만, 8월 19억~20억원으로 내려갔다. 다만 강남권도 신축에선 계속 신고가가 속출하며 연일 가격을 경신하고 있다.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 실거래가격은 분양가상한제 예고 및 발표 전후로 3억원 이상 올랐다.
[박인혜 기자 / 박윤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풍선효과` 부른 규제…`신축·서울·청약` 쏠림 더 심해져
서울 전셋값 12주째 상승…경기도 35개월만에 최대폭 올라
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