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물류시장 현황
□ 전국 물류창고 4611개중 부산지역 401개, 물류시설법상 창고 29개( 전국 225개)불과
◎ 부산시에 등록된 물류창고업은 총 346개사이며,
그 중 냉동냉장창고업이 194개사로 전체 대비 56.7%를 차지하고 있음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 2019)
- 물류시설법률에 따른 냉동냉장이 2개, 식품위생법에 따른 냉동냉장이 66개,
축산물위생법에 따른 보관창고 17개, 식품산업진흥법에 따른 냉동냉장이 109개
업체가 위치하고 있음
- 물류창고업 종류에 따르면,
0농수산물·가공식품을 포함한 냉동냉장창고가 51%로 가장 많으며,
이어서 보세창고 25%, 축산물보관창고가 9%를 차지함
▶부산시 냉동냉장창고는 감천항을 중심으로 한 사하구와 서구에 80% 이상 위치
주요 기능은 수산물 가공·보관, 수입·환적 물동량 보관임 부산항의 콜드체인 품목 총 처리 물동량은 3,354만 톤(2018년)으로 국내 최대 규모로
ß 공급 부족
· * 지역별 창고 현황 정보입니다.
· (단위 : 개)
소재지 |
합계 |
물류 |
항만법 |
관세법 |
유해 |
식품 |
축산물 |
식품산업 |
창고업 |
항만창고 |
보세창고 |
보관 |
냉동냉장 |
축산물 |
냉동냉장 |
||
합계 |
4,611 |
1,463 |
225 |
698 |
175 |
621 |
695 |
734 |
서울특별시 |
111 |
37 |
0 |
20 |
0 |
8 |
46 |
0 |
부산광역시 |
401 |
29 |
19 |
102 |
11 |
74 |
43 |
123 |
대구광역시 |
59 |
25 |
0 |
8 |
0 |
8 |
12 |
6 |
인천광역시 |
351 |
109 |
27 |
108 |
16 |
32 |
32 |
27 |
광주광역시 |
79 |
35 |
0 |
4 |
1 |
18 |
21 |
0 |
대전광역시 |
38 |
20 |
0 |
3 |
0 |
8 |
6 |
1 |
울산광역시 |
96 |
25 |
13 |
20 |
26 |
|
· * 물류시설법률에 따라 등록된 물류창고업 통계정보입니다.
소재지 |
합계 |
1,000~2,000미만 |
2,000~5,000미만 |
5,000~10,000미만 |
10,000이상 |
|||||
업체수 |
면적합계(m2) |
업체수 |
면적합계(m2) |
업체수 |
면적합계(m2) |
업체수 |
면적합계(m2) |
업체수 |
면적합계(m2) |
|
합계 |
1,462 |
15,189,676.46 |
256 |
376,200.45 |
493 |
1,658,741.18 |
314 |
2,225,101.89 |
399 |
10,929,632.94 |
서울특별시 |
37 |
376,039.93 |
12 |
17,994.79 |
10 |
31,625.28 |
5 |
35,023.18 |
10 |
291,396.68 |
부산광역시 |
29 |
233,486.18 |
7 |
9,777.35 |
9 |
25,725.64 |
6 |
43,202.81 |
7 |
154,780.38 |
대구광역시 |
25 |
139,421.85 |
5 |
7,045.79 |
11 |
36,126.27 |
5 |
29,289.3 |
4 |
66,960.49 |
인천광역시 |
109 |
853,417.8 |
17 |
25,250.31 |
45 |
152,503.76 |
20 |
140,569.26 |
27 |
535,094.47 |
광주광역시 |
35 |
244,610.73 |
4 |
5,271.4 |
12 |
45,126.88 |
11 |
81,030.99 |
8 |
113,181.46 |
대전광역시 |
20 |
622,417.29 |
1 |
1,322.32 |
2 |
8,079 |
6 |
45,553 |
11 |
567,462.97 |
울산광역시 |
25 |
160,707.49 |
3 |
4,508.5 |
14 |
46,468.13 |
4 |
26,772.86 |
4 |
82,9 |
-입지가 중요하지만, 임차인 들에게 선호되는 입지에도 ,접안등 비효율적인 구조로 내부스펙에 결함이 있을경우 공실은 증가
3. 부산지역 콜드체인 산업현황
부산시 냉동냉장창고 현황
◎ 부산 지역은 수산업 발달 및 국내 최대 수출입항 보유로 냉동냉장업이 발달함
◎ 부산지역 냉동냉장창고 주요 기능 : 수산물 가공, 수입물동량 및 환적물량 보관 - 제3국 환적물량 보관 : 러시아발 - 중국도착 수산원료, 일본·EU 등 선진시장으로 가는 수산물 혹은 그 가공품이 주를 이룸
◎ 부산시에 등록된 물류창고업은 총 346개사이며, 그 중 냉동냉장창고업이 194개사로 전체 대비 56.7%를 차지하고 있음(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 2019)
- 물류시설법률에 따른 냉동냉장이 2개, 식품위생법에 따른 냉동냉장이 66개, 축산물위생법에 따른 보관창고 17개, 식품산업진흥법에 따른 냉동냉장이 109개 업체가 위치하고 있음
- 물류창고업 종류에 따르면, 농수산물·가공식품을 포함한 냉동냉장창고가 51%로 가장 많으며, 이어서 보세창고 25%, 축산물보관창고가 9%를 차지함
※ 수도권 지역에는 내수 배송형의 소형 창고가 주를 이루었고,
부산지역에는 원료 보관형의 대형 창고가 많은 것으로 나타남
◎ 부산항 전체 물동량 –
2018년,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 2,166만TEU, 화물 처리 물동량 46,146만 톤
◎ 콜드체인 전체 물동량
- 2018년, 부산항의 콜드체인 품목 총 처리 물동량은 3,354만 톤 ※ 음료 등 조제식품 : 1,900만 톤, 어류 : 779만 톤, 육류 : 393만 톤, 양곡 : 282만 톤
◎ 콜드체인 수출입 물동량
- 2018년 콜드체인 수출입 물동량은 1,459만 톤, 총 처리 물동량의 43.5%를 차지 ※ 음료 등 조제식품 : 835만 톤, 어류 : 245만 톤, 육류 : 212만 톤, 양곡 : 167만 톤 - 수출입은 모두 극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유럽, 북미지역에 집중됨 ※ 육류 : 극동아·북미주에서 45% 이상 수입되며, 유럽·극동아로 53% 이상 수출됨 ※ 어류 : 유럽·북미주에서 60% 가량 수입되며, 일본·극동아 지역으로 40% 이상 수출됨 ※ 양곡 : 아프리카에서 38.5% 수입되고, 동남아로 79.2%를 수출됨
◎ 콜드체인 수출입환적 물동량
- 2018년 부산항의 콜드체인 품목 수출입환적 물동량은 1,895만 톤으로 총 처리 물동량의 56.5%를 차지 ※ 음료 등 조제식품 : 1,066만 톤, 어류 : 534만 톤, 육류 : 180만 톤, 양곡 : 115만 톤 - 극동아시아, 일본, 북미 지역에 수출입환적 물동량이 집중된 것으로 나타남 ※ 육류 : 남미·북미주에서 65% 이상 수입환적되며, 극동아·일본으로 76% 이상 수출환적됨 ※ 어류 : 중미에서 57% 수입환적되며, 극동아·일본으로 50% 이상 수출환적됨 ※ 양곡 : 북미에서 ]60.8% 수입환적되며, 극동아·동남아로 47.7%, 19.9%를 수출 환적함
4. 소결 및 시사점
세계 콜드체인 시장은 2015년 이후 10년간 연평균 14%의 고속 성장 추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중국 포함 아세안 국가들의 급성장이 예상됨 신선식품 소비 수요 증가로 국내 콜드체인 시장도 연평균 10%의 성장이 전망되며, 마켓컬리와 같은 콜드체인 전문 물류업체의 급성장이 지속되고 있음
국내 냉동냉장창고 수는 2010년부터 2017년까지 연평균 0.19%의 성장세를 보이며 큰 변화가 없었으며,
수도권 지역에는 내수 배송형의 소형 창고가 주를 이루었고,
부산지역에는 원료 보관형의 대형 창고가 많은 것으로 나타남
부산시 냉동냉장창고는 감천항을 중심으로 한 사하구와 서구에 80% 이상 위치하고 있으며, 주요 기능은 수산물 가공·보관, 수입·환적 물동량 보관임 부산항의 콜드체인 품목 총 처리 물동량은 3,354만 톤(2018년)으로 국내 최대 규모로
수출입은 극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유럽, 북미지역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나, 수출입환적은 극동아시아, 일본, 북미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남 따라서 이는 부산이 신선물류의 수출입 및 환적 활성화를 통한 부산항 기반 콜드체인 허브로 도약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