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종숙 기자 승인 2021.03.29
[창립 45주년] (주)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세계 초일류 건설엔지니어링 전문기업 도약한다
사업다각화 총력… 미래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 시대 준비
친환경·개발투자사업·인프라·스마트 건설기술 구현 선도기업 ‘우뚝’
포스트 코로나시대 대응전략 마련… 신시장 분야 수주성과 이어져
스마트 종합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Safety SAMOOCM’ 매진
시대변화 능동대응 ‘디지털 전환’ 가속화… 업계 모델 제시
삼우씨엠이 CM을 수행한 영종하늘도시 항공물류센터 전경.
[국토일보 하종숙 기자] 글로벌 건설엔지니어링 기업 (주)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사장 허 인/이하 삼우씨엠)가 개발투자사업 진출부터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기술력 강화까지 창립 45주년을 기점으로 세계 초일류 건설 전문기업으로의 자리매김을 위해 본격 시동을 걸었다.
삼우씨엠은 1976년 설립이후, 45년동안 대한민국 건축산업과 역사를 함께하며 대표적인 건설 전문기업으로 성장했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장기화되는 경기침체와 급변하는 건설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변화가 필수임을 인식하고, 이를 대비해 신사업 비중을 높이고 사업 이외 부문에서도 각종 성과를 내며 사업다각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내 최고를 넘어 세계 초일류 건설 전문기업으로의 도약에 나선 삼우씨엠은 CM, 건축설계는 물론 부동산개발사업․인프라사업․하이테크 프로젝트․해외사업․친환경 설계․BIM 등 건설 관련 토탈서비스 제공으로 업계 또다른 모델을 제시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 미래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 견인한다
삼우씨엠은 업계 최초 전 과정 평가 프로그램인 S-LCA 특허 등록, 그린 리모델링 사업 수행, 자체 LEED인증, 에너지 컨설팅, 도시건축연구사업 등 본격적인 미래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 시대를 준비하고 있어 선도기업으로의 명성을 구가하고 있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그린 뉴딜 정책으로 친환경 건축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삼우씨엠은 일찌감치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2016년부터 2019년까지 3년간 ‘S-LCA’(SAMOOCM Life Cycle Assessment)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특허 출원을 완료했다.
이는 업계에서 건축물 전 과정 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한 최초 사례다.
특히 정부 추진과제 중 그린 리모델링 사업부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삼우씨엠은 2017년부터 2021년 현재까지 공공건축물 그린 리모델링 컨설팅 용역을 수행 중이다.
또한 현재 용역을 수행 중인 영종하늘공원 물류센터는 국내 최초의 ‘LEED V4.0 Distribute Center’ 인증을 획득할 전망이며, 개발사업 및 물류센터 등 타 진행 프로젝트에서도 LEED Platinum, Gold, Silver 등 다양한 등급 인증을 위한 업무를 지원하고 있다.
현재는 정부 출연금으로 진행되는 공동 연구기관에도 선정돼 도시 건축 연구 사업을 시행중이다.
이밖에도 에너지 컨설팅 용역 등 다수의 친환경 업무들을 수행하며 지난 45년간 쌓아온 건설 기술력을 기반으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 본격적인 미래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 시대를 준비하고 있다.
삼우씨엠이 CM을 수행한 이대서울병원 전경.
삼우씨엠이 CM을 수행한 이대서울병원 전경.
■ 건설업․개발투자․정비사업 진출… 건설전문기업 자리매김
국내 최고 건설사업관리 전문기업인 삼우씨엠은, 2018년 건축공사업과 주택건설사업자 등록 등으로 사업영역 확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현재 부산 광안리에 위치한 소형 주거공간 ‘광안비치올리브씨’를 시공 중이다.
개발 투자사업 분야에서는 2019년 해운대 우동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지난해 인천 항동 주거형 오피스텔 개발사업에도 최대 지분으로 참여하며 ‘투자사’로서의 입지를 강화했다.
또한 정비사업 시장 활성화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본사에 해당 부서를 신설하고 이를 적극 준비하고 있어 정비사업 시장 확대도 기대되고 있다.
■ 인프라 사업분야 확장… 미래 성장기반 확보
자체 인프라팀을 보유한 삼우씨엠은 ▲철도 ▲단지 ▲도로 ▲공항 ▲물 ▲조경 ▲도시계획 ▲교통 ▲지하안전평가 ▲조경 ▲부대토목 등 세부 조직을 구성하고 각 분야별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큰 힘을 쏟고 있다.
2018년에는 점차 강조되고 있는 건설안전에 대한 사회인식 변화와 관련 법규 개정 등 엔지니어링 분야의 강화된 설계 기준에 맞춰 지하안전영향평가 전문기관 등록증을 교부받았으며, 자체 보유한 무인 동력비행장치를 이용한 3차원 측량 및 공간정보데이터 사업까지 진출하며 인프라 분야의 미래성장기반을 다지고 있다.
■ 건설안전 및 준법 경영 시스템 강화… 정도경영 시행
내년 본격 시행을 앞둔 중대재해기업처벌법 등 법적 규제가 강화되며 건설현장 안전에 대한 요구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진 지금, 삼우씨엠은 보유하고 있는 내부 안전조직 뿐만 아니라 별도로 안전강화 T/F팀을 구성, 현장특성별 세부 안전 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대응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 종합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더욱 강화된 현장관리 안전 시스템을 추진하고, 임직원들의 수준 높은 안전의식과 준법경영 실천을 강조함으로써 ‘Safety SAMOOCM’ 달성을 목표로 매진하고 있다.
■ DX 전담조직 운영… DB 구축․스마트 건설 기술구현 등 4차 산업혁명 대비
일찍이 4차 산업혁명 대비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한 삼우씨엠은 내부 데이터베이스 구축․스마트 건설 기술구현 등 4차 산업혁명 대비에 만전을 기울이고 있다.
우선 DX(Digital Transformation) TF를 운영, 45년간 축적된 방대한 건설데이터를 분류 및 관리하고 활용방안을 구체화해 건설정보 통합관리 플랫폼인 ‘우장각’을 개발해 전사 운용 중에 있다.
올해는 AI, IoT, AR, VR 등 스마트 건설 기술구현을 위한 노력과 동시에 데이터와 DX를 통해 사업 역량을 높이고 비즈니스 모델발굴을 강화하는 등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삼우씨엠 허 인 사장은 “다가오는 디지털 시대에는 고객과 기술의 변화를 이해하고 소통해야 한다”며 “그동안 삼우씨엠이 축적해 온 기술력과 서비스 정신을 토대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한 미래 경영을 수립하고 이를 추진해 나가는 한 해를 만들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삼우씨엠은 CM능력평가 공시 3년 연속 1위(2016-2018) 기업, BIM 누적실적 CM사 1위(2009-2020년), BIM Awards 2년 연속 수상(2015, 2016), 가족친화인증기업 선정, 사회공헌기업대상 2년 연속 수상(2015, 2016) 등 수많은 기록을 갱신하며 업계 선도기업으로의 위상을 자랑하고 있다.
각 분야별 전문가 양성 등 맨파워를 바탕으로 기술력 탑재는 기본, 변화와 혁신으로 업계 모델을 제시하며 지속성장하고 있는 삼우씨엠이 세계 초일류 건설 전문기업으로 발빠른 행보에 나서고 있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삼우씨엠이 CM을 수행한 국민은행 IT센터 전경.
ㅡㅡ
2020년 하반기 BIM실적 1위 디에이그룹ENG․아이티엠코퍼레이션 등 공동 2위 올라
하종숙 기자 승인 2021.06.14
빌딩스마트협회, ‘2020 하반기 및 2020 전체 BIM적용 용역실적’ 결과 발표
2020년 하반기 디에이그룹ENG 1위 이어 아이티엠․파이브디위드․한미글로벌 공동 2위
[국토일보 하종숙 기자] 지난해 하반기 BIM실적 등록건수는 49건으로 (주)디에이그룹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가 9건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주)아이티엠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주)파이브디위드․(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가 각각 8건으로 공동 2위에 랭크됐다.
(사)빌딩스마트협회(회장 허인)가 BIM적용 용역을 수행하는 업체를 대상으로 BIM적용 용역실적을 등록한 ‘2020 하반기 및 2020 전체 BIM적용 용역실적’ 결과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2020 하반기 BIM실적 등록 건수는 49건(승인일 기준 2020.08.01.~2020.12.31.)으로 1위에 디에이그룹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가, 아이티엠코퍼레이션 등 3개 업체가 공동으로 2위에 올랐다.
(주)아이아크건축사사무소와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는 5위(4건), (주)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와 (주)한일엠이씨가 공동 7위(3건),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가 9위(2건)를 기록했다.
2020년 하반기 BIM적용 용역실적. 자료제공=빌딩스마트협회.
2020년 전체 BIM적용 상위 10개사 용역실적. 자료제공=빌딩스마트협회.
2020년 전체 BIM실적 등록 건수는 253건(승인일 기준2020.01.01.~2020.12.31.)으로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가 70건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디에이그룹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가 32건으로 2위, 파이브디위드가 26건으로 3위를 기록했다.
아이티엠코퍼레이션건축사사무소는 4위(17건), (주)유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가 5위(16건), (주)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가 6위(15건), (주)코스펙빔테크가 7위(12건), (주)디엔비건축사사무소와 (주)씨오플랜지가 각각 10건으로 공동 8위,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근정과 한미글로벌이 각각 8건으로 공동 10위에 랭크됐다.
‘BIM적용 용역실적’은 국내 토목‧건축 분야의 건설사, 설계 용역사, 엔지니어링사, CM사, BIM 용역전문업체 등을 대상으로 BIM 용역에 대한 자료를 평가, ‘BIM 용역실적 확인서’를 발급하고 있으며 매년 2회 등록한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2020년 하반기 ‘BIM적용 용역실적’ 중 BIM 발주 건과 자체적으로 BIM을 적용한 현황에 따르면 총 49건 중, BIM 발주 건은 32건, 자체수행 건수는 17건으로 집계됐다.
또한 2020년 전체 ‘BIM적용 용역실적’ 총 253건 중, BIM 발주 건은 130건, 자체수행 건수는 123건으로 각각 집계됐다.
2020년 하반기 ‘BIM적용 용역실적’에서 집계된 기관은 총 9개사 이며 2020년 전체 ‘BIM적용 용역실적’에 집계된 기관은 총 19개사이다.
빌딩스마트협회 김인한 수석부회장(경희대학교 교수)은 “빌딩스마트협회는 국내 BIM 확산 선도기관으로 BIM적용 실적을 집계해 발표하는 것 뿐만아니라 BIM 컨퍼런스 개최, 국가R&D BIM 과제 수행, 컨설팅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BIM 발전에 지속적인 노력을 경주, 건설선진화에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2021년 상반기 ‘BIM적용 용역실적’은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6월 30일 까지 등록을 받고 있으며 (사)빌딩스마트협회 누리집(www.buildingsmart.or.kr)에서 등록할 수 있다.
저작권자 © 국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ㅡㅡㅡㅡ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시장 규모 2021, 점유율, 전 세계 산업 수요, 동향, 수익 기대, 산업 과제, 비즈니스 성장 및 2025까지 예측, Industry Research Biz
글로벌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시장 보고서는 신뢰할 수있는 여러 출처에서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시장의 성장에 대한 축적 된 통계에 대한 전체 분석 및 설명을 제공합니다.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2021 시장 점유율은 시장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시장 규모, 점유율, 기회 및 성장 전망에 대한 전체 평가를 제공합니다. 용량, 생산, 가격, 수익, 비용, 총 마진, 판매, 수익, 소비, 성장, 수입, 수출, 공급, 미래 추세 및 세계 최고 선수의 전체 프로필을 포함하는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시장 규모. 또한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시장 예측 보고서에는 과거 데이터 및 예측 통계가 포함됩니다. 이 보고서에는 유형, 응용 프로그램, 지역, 제조업체 또는 생산을 통한 특정 사실이 포함됩니다.
www.industryresearch.biz/enquiry/request-sample/15853559 – 에서 보고서의 샘플 사본을 받으십시오.
이 보고서에서 우리는 COVID-19의 장단기 영향에 대한 우리의 관점을 공유합니다. 또한 연구 보고서는 통계 개요,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시장 통찰력, 최종 사용 분야, 개발 상태 등을 제공합니다. 또한 산업 체인, 특히 마케팅 채널에 대한 위기의 영향을 제공합니다. 다음 보고서에서는 국가 별 정부의시기 적절한 산업 경제 활성화 계획을 업데이트합니다.
생산, 수익 (가치) 및 각 제조업체를 포함한 글로벌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 :
Beijing Explorer Software (China)
RIB Software AG (Germany)
Autodesk (US)
Cadsoft Corporation (US)
Aconex (Australia)
IES (UK)
Inovaya (US)
Beck Technology (US)
Hongye Technology (China)
Robert Mcneel & Associates (US)
Lubansoft (China)
Glodon (China)
Bentley Systems (US)
Dassault Systemes S.A. (France)
Nemetschek AG (Germany)
AVEVA Group (UK)
Synchro (UK)
Trimble Navigation Ltd (US)
Siemens (Germany)
PKPM (China
이 연구의 목적은 전년도 특정 부문 및 국가에 대한 시장 규모를 결정하고 다음 해에 대한 가치를 예측하는 것입니다. 보고서는 연구에 참여하는 모든 분야와 국가의 측면에서 산업의 각 정 성적 및 정량적 요소로 구성되어야합니다. 또한 보고서는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시장의 미래 성장을 결정할 힘과 제약을 사용하여 필수 요소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제공합니다.
이 보고서를 구매하기 전에 질문이 있으면 문의하거나 공유하십시오- www.industryresearch.biz/enquiry/pre-order-enquiry/15853559
제품,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시장 점유율 및 각 유형의 성장률을 기준으로 주로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
디자인 모델의 BIM 3D 관리
4D BIM 목록 관리
5D BIM 비용 관리
최종 사용자 / 애플리케이션, 시장 점유율 및 각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성장률을 기준으로합니다.
건축가
AEC 공학 사무실
계약자
소유자
기타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시장은 분류 및 성장 가능성, 세분화 및 비용 분석을 제공합니다. 또한 시장의 최신 산업 동향, 예측 및 성장 동인에 대한 완전한 통계를 제공합니다. 이 보고서는 성장 동인, 과제 및 투자 가능성에 대한 심층적 인 평가로 구성됩니다. 세그먼트 및 지역 시장 전망에 대한 전체 평가를 제공합니다.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Market 공격적인 이점을 얻기위한 완전한 공급 업체 정보, 경쟁 분석 및 핵심 기술을 제공합니다.
www.industryresearch.biz/enquiry/request-sample/15853559 – 에서 보고서의 샘플 PDF를 받으십시오.
TOC의 요점 :
1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시장-연구 범위
1.1 연구 목표
1.2 시장 정의 및 범위
2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시장-연구 방법론
2.1 방법론
2.2 연구 데이터 소스
3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시장 세력
3.1 글로벌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시장 규모
3.2 주요 영향 요인 (PESTEL 분석)
4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시장-지역별
4.1 글로벌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시장 가치 및 지역별 시장 점유율
4.3 글로벌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시장 소비 및 지역별 시장 점유율
5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시장-무역 통계별
5.1 글로벌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수출 및 수입
5.2 미국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수출입 (2015-2020)
5.3 유럽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수출입 (2015-2020)
6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시장-유형별
6.1 유형별 글로벌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생산 및 시장 점유율 (2015-2020)
6.2 글로벌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가치 및 유형별 시장 점유율 (2015-2020)
6.3 유형 1
6.4 유형 2
6.5 유형 3
7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시장-애플리케이션 별
7.1 애플리케이션 별 글로벌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소비 및 시장 점유율 (2015-2020)
7.2 적용 1
7.3 신청 2
7.4 적용 3
8 북미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시장
9 유럽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시장 분석
10 아시아 태평양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시장 분석
………………………………………….
13 회사 프로필
13.1 회사 1
13.1.1 회사 1 기본 정보
13.3 회사 2
13.3.1 회사 2 기본 정보
13.3.2 회사 2 제품 프로필, 응용 프로그램 및 사양
13.4 회사 3
13.4.1 회사 3 기본 정보
13.4.2 회사 3 제품 프로필, 응용 프로그램 및 사양
13.5 회사 4
13.5.1 회사 4 기본 정보
13.5.2 회사 4 제품 프로필, 응용 프로그램 및 사양
13.5.3 Company 4 디자인 건물 정보 모델링 (BIM) 시장 실적 (2015-2020)
14 시장 예측-지역별
15 시장 전망-유형 및 용도별
계속되는………
이 보고서 구매 (단일 사용자 라이선스의 경우 3660 USD (Three thousand six hundred sixty USD) 가격) – www.industryresearch.biz/purchase/15853559
Categories: 보도 자료
ㅡㅡㅡ
4차 산업혁명 선도한다](주)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하종숙 기자 승인 2020.09.21 08:20 댓글 0
기사공유하기
프린트
메일보내기
글씨키우기
[4차 산업혁명 선도한다](주)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개발투자·인프라·그린리모델링 등 사업다각화 총력
포트폴리오 다변화 기업경쟁력 강화… 4차 산업 선도
변화와 혁신으로 재도약, 급변하는 건설 환경변화 능동 대응… 신사업 비중 확대
4차 산업 대비 전사 DB시스템 구축 등 사업 다변화 ‘잰걸음’… 미래 100년 기업 시동
‘광안비치올리브씨’ 시공중 공사업 진출․해운대 우동 프로젝트로 디벨로퍼 첫 발
KB 통합 IT센터․기업은행 전산센터․카카오 데이터센터 수주 등 차별화 CM능력 ‘입증’
삼우씨엠이 CM을 수행한 KB국민은행 통합 IT센터 전경.
삼우씨엠이 CM을 수행한 KB국민은행 통합 IT센터 전경.
[국토일보 하종숙 기자] 대한민국 건설사업관리(CM) 최고의 기업 (주)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사장 허 인/이하 삼우씨엠)가 개발투자사업 진출부터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기술력 강화까지 사업다각화에 총력, 국내 최고기업을 넘어 글로벌 기업으로의 위상 제고에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 1976년 설립한 삼우씨엠은 44년 동안 지속성장, 한국을 대표하는 건설 전문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삼우씨엠은 코로나19 장기화로 경기침체와 급변하는 건설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변화와 혁신을 앞세워 재도약 기틀을 마련하고, 신사업 비중을 높이는 등 사업다각화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미래 100년 기업으로의 더 큰 도약에 나선 삼우씨엠은 CM, 건축설계 전문기업에서 부동산개발사업․인프라사업․하이테크 프로젝트․해외사업․친환경 설계․BIM 등 건설 관련 토탈서비스 제공으로 업계 또다른 모델을 제시하며 역량을 뿜어내고 있다.
■ 건설업 및 개발투자사업, 정비사업 진출 등 건설전문기업 ‘우뚝’
국내 최고 건설사업관리 전문기업인 삼우씨엠은 우선 주력인 건설사업으로 선두자리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2018년 건축공사업과 주택건설사업자를 등록, 사업영역 확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한 삼우씨엠은 현재 부산 광안리에 위치한 소형 주거공간 ‘광안비치올리브씨’를 시공 중으로 CM for Fee부터 CM at Risk까지 전천후 서비스에 나섰다. 또한 작년에는 해운대 우동 프로젝트로 PFV(Project Financing Vehicle)를 설립해 투자 사업에 첫 진출, 디벨로퍼로의 위상을 강화하고 있다.
이와함께 삼우씨엠은 정비사업 시장 활성화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 본사에 전담 부서를 신설하는 등 적극 준비하며 미래시장 확충에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인프라 사업분야 확장… 미래성장 기반 확보
자체 인프라팀을 보유한 삼우씨엠은 ▲항만 및 철도 ▲도로 및 공항 ▲지질 및 지반 ▲지하안전평가 ▲조경 ▲도시계획 ▲상하수도 ▲드론 측량 ▲BIM ▲에너지플랜트 등 세부조직을 구성하고 각 분야별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큰 힘을 쏟고 있다.
2018년에는 점차 강조되고 있는 건설안전에 대한 사회인식 변화와 관련 법규 개정 등 엔지니어링 분야의 강화된 설계 기준에 맞춰 지하안전영향평가 전문기관 등록증을 교부 받았다. 이 분야 시장 확대도 주목된다.
또한 삼우씨엠은 무인동력비행장치(UAV)를 자체 보유하고 이를 이용한 3차원 측량 및 공간정보데이터 사업까지 진출하며 인프라 분야의 미래성장 기반을 다지고 있다.
■ 그린 리모델링 사업 수행․자체 LEED인증․에너지 컨설팅․도시건축연구사업 등 친환경분야 대폭 확대
코로나19로 세계적인 화두로 떠오른 저탄소 친환경 경제 요구 증대와 최근 정부가 발표한 한국판 뉴딜정책 중 그린경제로의 전환 촉진까지 친환경 건축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정부 추진과제 중 그린 뉴딜의 일환인 그린 리모델링 사업부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삼우씨엠은 지난 2017년부터 2020년까지 공공건축물 그린 리모델링 지원 사업을 수행 중으로, 대구 수성구청사 그린리모델링 사업 역시 성공적으로 완수하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또한 현재 용역을 수행 중인 영종하늘공원 물류센터는 국내 최초의 ‘LEED V4.0 Distribute Center’ 인증을 획득할 전망이다. 이 또한 삼우씨엠 그동안의 노력이 결실을 맺는 성과 창출로 이어졌다.
이와함께 삼우씨엠은 현재 정부 출연금으로 진행되는 공동 연구기관에도 선정돼 도시 건축 연구 사업을 수행 중으로 국내 건설산업 선진화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이밖에도 삼우씨엠은 에너지 컨설팅 용역 등 다수의 친환경 업무들을 수행하며 지난 44년간 쌓아온 건설 기술력을 기반으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 본격적인 미래 친환경 건축에 철저히 대비하고 있다.
■ Prefabrication·IT 허브 관련 MOU 및 DB 구축 등 4차 산업혁명 선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 본격적인 행보를 시작한 삼우씨엠은 지난해 한샘넥서스와 Prefabrication 기술력 강화를 위해 업무 제휴를 체결하고 삼우씨엠 BIM의 Digital Twin 기술을 바탕으로 Prefabrication 상품을 건설시장에 보급, 공업화에 앞장서는데 합의했다.
또한 건설 산업분야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대표적 건설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인 코흐, 큐픽스와 IT허브를 구성하기도 했다.
이와 동시에 삼우씨엠 내부적으로는 방대한 건설데이터 분류 및 관리, 활용방안 구체화를 위해 1년여 간의 TF팀을 운영, DB시스템 구축을 완료하고 운용 중이다. 이같이 삼우씨엠은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임직원들의 인식을 혁신하기 위해 전사적으로 끊임없는 노력을 쏟고 있다.
무엇보다도 삼우씨엠은 국내 최대 IT기업인 (주)카카오의 첫 데이터센터를 수주, 4차 산업을 견인하는 선도기업으로의 위상을 재확인했다. 한양대학교 ERICA 캠퍼스 혁신파크에 건립 되는 이번 프로젝트는 카카오가 창립 10년 만에 처음으로 설립하는 데이터센터로 4,000억원을 투입, 12만대의 서버 보관이 가능한 초대형 사업이다.
이같은 성과는 삼우씨엠이 지난 2015년부터 삼성SDS 상암 데이터센터를 시작으로 춘천 데이터센터, KB 국민은행 통합 IT센터를 성공수행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은 결과로 올 6월 IBK 기업은행 전산센터에 이어 이번 카카오데이터센터의 수주까지 연이어 성공하며 명실상부한 데이터센터 전문 CM사로의 입지를 다지는 쾌거를 올렸다.
삼우씨엠 허 인 사장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사상 최악의 경영환경에 놓여 있지만, 사업 체질을 개선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하는 기회로 삼아 위기를 극복해 가고 있다”며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통해 삼우씨엠 만의 차별화된 사업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역량을 모으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허 사장은 “올 44주년을 맞은 삼우씨엠은 미래 100년을 향한 힘찬 도약에 나섰다”며 “앞으로도 기술력 제고에 매진, 삼우씨엠이 업계 선도기업으로서 건설산업 선진화는 물론 국가 발전을 위해 일익을 담당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삼우씨엠은 사회적가치 실현을 위해 다양한 사회공헌 사업을 펼치며 나눔경영에도 정성을 쏟고 있다. 지속가능한 사회공헌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삼우씨엠은 매달 정기적으로 임직원들이 경기도 광주시 위치한 ‘성분도 복지관’에서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현재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잠시 멈춤의 시간을 갖고 있다. 특히 올 초 소외계층 지원을 위해 ‘2020 희망온돌 따뜻한 겨울나기’ 1,000만원을 쾌척하는 등 사랑나눔을 위한 지원, 봉사활동을 지속 펼치고 있다.
CM능력평가 공시 3년 연속 1위(2016-2018) 기업, BIM 누적실적 CM사 1위(2009-2019년), 가족친화인증기업 선정, 사회공헌기업대상 2년 연속 수상(2015, 2016) 등 수많은 기록을 갱신하고 있는 삼우씨엠. 기술력 탑재는 기본, 변화와 혁신으로 글로벌 기업 자리매김에 나선 삼우씨엠의 발빠른 행보에 거는 기대가 크다.
삼우씨엠이 투자사업으로 수행, 디벨로퍼로 첫 진출한 해운대 우동 생활형 숙박시설.
삼우씨엠이 투자사업에 첫 진출, 디벨로퍼로 또다른 시장 개척에 나선 해운대 우동 생활형 숙박시설.
저작권자 © 국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