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IPO등>/탄소중립

숨고른 효성첨단소재…"하반기 본격 실적 개선"아라미드( 5세대(5G) 이동통신용 광케이블).탄소섬유( 수소연료탱크 등 수소경제 인프라의 핵심 소재)ㅡ저평가수준.중장기 성장

Bonjour Kwon 2021. 8. 20. 12:26
2021.08.02 0
공매도 탓…30일 4.3% 하락

잘나가던 효성첨단소재(523,000 -2.97%)(523,000 -2.97%) 주가에 브레이크가 걸렸다. 단기 급등에 따른 부담감에 차익실현 매물이 나온 영향이다. 하지만 증권사에서는 2분기 실적 호조에 더해 신소재 사업의 성장성이 부각되며 상승세가 계속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달 30일 효성첨단소재는 4.36% 내린 61만4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차익실현 매물과 약 87억원어치의 공매도 물량이 쏟아졌다.

이전까지 효성첨단소재 주가는 가파르게 올랐다. 지난 한 달간 39.4% 뛰었고 연초 대비 306.62% 급등했다. 주가 상승은 탄소섬유, 아라미드 등 신소재 사업의 가치가 부각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탄소섬유는 수소연료탱크 등 수소경제 인프라의 핵심 소재다. 기존 소재보다 가볍고 탄소 배출량을 감소시켜준다. 아라미드는 5세대(5G) 이동통신용 광케이블에 쓰인다.

신소재 사업 비중은 미미하다. 전체 매출에서 탄소섬유와 아라미드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기준 4%에 불과하다. 대신증권에 따르면 효성첨단소재의 세계 탄소섬유 시장 점유율은 3%에 그친다. 하지만 증권가에서는 탄소섬유 산업의 성장성에 주목하고 있다. 효성첨단소재는 2024년까지 연 1만t 규모의 탄소섬유 생산 설비를 증설할 계획이다.

높은 성장성에 더해 탄탄한 실적도 주가를 뒷받침하고 있다. 효성첨단소재는 2분기 매출 8724억원, 영업이익 1178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1.3%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했다.

하반기에도 실적 개선이 이어질 전망이다. 차량용 반도체 수급 문제로 차질을 빚었던 자동차 생산이 회복되면 효성첨단소재의 주력 상품인 타이어보강재 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아라미드도 3분기부터 연 2500t 설비가 정상 가동되며 수익성이 개선될 전망이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효성첨단소재 연간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는 3877억원이다. 전년 대비 1033.7% 증가한 수치다.

지난달 30일 리포트를 발표한 4개 증권사는 효성첨단소재 목표주가를 일제히 상향 조정했다. 이들이 제시한 평균 목표주가는 85만2250원이다. 이안나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약 17배 수준”이라며 “수소 관련주 중심으로 볼 때 여전히 저평가 상태”라고 했다.

서형교 기자 seogy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