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안 | 2013.10.31
여의도 증권가 전경. ⓒ 데일리안 홍효식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시행된지 2달 여만에 5대 대형증권사가 한국형 투자은행(IB)으로의 첫발을 내디뎠다.
시장에서는 글로벌 금융위기 주범으로 몰리며 좌초했던 미국 IB기업들과 차별화된 한국판 골드만삭스가 탄생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3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전날 금융위원회는 자기자본 3조 이상인 KDB대우증권을 비롯해 우리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현대증권에 대해 IB 인허가를 결정했다.
앞으로 이들 5개사들은 종합적인 기업금융 업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기업에 대한 신용공여, 전담중개업무 등을 포함해 신생기업을 위한 투자 및 융자, 인수합병(M&A) 업무를 할 수 있게 된다.
5대 증권사, TF 구성·인프라 구축에 '속도'
종합금융투자 사업자로 지정된 5개 증권사들은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통과된 이후부터 IB기업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위해 테스크포스팀(TFT)을 꾸리는 등 조직정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KDB대우증권은 투자은행으로 거듭나기 위해 수시로 조직개편을 해왔다. 작년에는 RM(Relationship Manager)와 PM(Product Manager) 기능을 통합해 기업금융본부로 개편해서 운영하고 있다. 올 초 조직개편에서 기업금융본부 내 PF부를 IB사업부문 직할로 뒀다.
올 중반에는 사업부문 직할의 '기업여신TF'를 신설해 자본시장법 개정에 따른 기업신용공여 비즈니스 인프라 구축에 나서는 한편 그룹시너지 부문을 IB사업부문으로 흡수 통합함으로서 산업은행과 실질적인 시너지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개편했다.
대우증권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IB사업부문의 영업력과 전문성 제고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나서고 있다"며 "기존의 기업금융본부내 PF부를 IB사업부문 직할로 둔 것은 의사결정의 신속성을 제고하고 동시에 신규 수익원 강화와 신사업 확대에 중점을 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우리투자증권도 '기업신용공여 TF'를 꾸려 본격적인 운영을 위한 사업전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우리투자증권 관계자는 "기업 운영자금 대출이나 일반 담보대출 업무보다는 인수금융과 같이 기업신용공여 업무를 통해 다른 부가적인 비즈니스로 연계되는 거래(Deal)나 유동화를 통해 부가적인 수익을 창출할 계획"이라며 "동시에 리스크를 경감할 수 있는 'Deal' 위주로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우리투자증권은 올 초 MBK파트너스가 아웃도어 업체인 네파(NEPA)를 인수할 때도 인수금융에 참여함으로써 사전학습을 마쳤다.
현대증권도 기존 커버리지(Coverage)본부와 익스큐션(Execution)본부를 IB 1,2,3 본부로 개편함과 동시에 기존 투자금융본부를 부동산본부로 명칭을 변경하는 등 IB부문의 전면 개편을 실시했다.
현대증권은 기업자산유동화나 리파이낸싱, 브리지론, PF시장 등 사업의 다변화를 꾀하는 한편 M&A 인수금융 시장에도 적극 참여할 계획이다. 아울러 M&A 인수금융 참여 확대를 위해 각 은행과 증권사와의 연계도 구상하고 있다.
삼성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은 별도의 TF팀은 꾸리지 않고 기존 IB본부의 관련부서를 중심으로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삼성증권은 IB본부에 기업여신 관련 내부 프로세스를 구축해 구조화금융과 M&A 인수금융 등 기업 수요에 맞춰 다양한 틈새 상품 발굴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또 해외 헤지펀드의 국내투자 유치, 국내 헤지펀드의 해외투자, 연기금·금융법인을 대상으로 하는 PBS 등 고객을 대상으로 사업을 확장하는데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기업 신용공여 부분 확대…하지만 제도적 걸림돌 작용
하지만 IB 초년생에 불과한 만큼 한국형 IB 5개사가 넘어야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그중 5개사 모두 주목하고 있는 기업 신용공여 부분에선 제도적인 부분이 일부 걸림돌로 작용한다.
일각에서는 기업 신용공여가 활성화되기 위해선 신용공여 여력이 충분한 것은 물론 현재 법적인 부분에서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현재 금융당국에서도 증권사들의 개선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NCR개선을 검토 중이지만 해결 방안이 나오기까지는 상당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자본시장법에서는 총 신용공여에 대한 한도 규제를 자기자본의 100%로 묶어뒀기 때문에 현재의 영업용 순자본 비율(NCR) 규제 하에서는 자기자본의 100% 수준까지 신용공여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증권사들은 막상 투자은행 인가를 받았다고 해도 이들 5개 증권사가 새롭게 할 수 있는 부분은 기업 신용공여가 유일한데 이 조차도 NCR규제 때문에 경쟁조차 하기 힘들다는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IB업계 관계자는 "기업 신용공여에 대해서도 5개 회사가 서로 경쟁을 하면 할수록 NCR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공격적인 대출이 힘들어진다"며 "현재 NCR 150% 수준을 육박하는데 이는 은행의 건전성 기준인 BIS에 비해 1.5배나 높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어 "또 연기금들 대부분이 NCR을 최소 400%에서 700%까지 요구하다보니 지나친 부분도 없지 않다"며 "증권사가 해당 업무를 영위하거나 거래하기 위해선 현실수준에 맞춰야 하는데 그 부분이 빨리 해결되는 것이 급선무"라고 덧붙였다.
'■ 증권회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경은 현대증권 대표 “토종 자산운용 모델로 금융한류 주도하겠다” (0) | 2013.11.06 |
---|---|
['한국의 골드만삭스' 꿈꾼다] 삼성증권, 자산관리 역량 바탕 M&A·구조화 금융 공략 (0) | 2013.11.06 |
증권사 쌈짓돈 푼다… "대안투자 증시침체 돌파구" (0) | 2013.10.18 |
증권사 쌈짓돈 푼다… "대안투자 증시침체 돌파구" (0) | 2013.10.16 |
증권사를 뛰게 하라]수수료론 한계… 해외대체투자 노크 (0) | 2013.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