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IPO등>/태양광·ESS·폐기물·연료전지발전

국내 발전설비 연내 1억kW 돌파- 국민 1인당 2kW꼴. 전력강국으로.전력수요는 증가율 정체…'공급과잉' 이슈 대두.예비율 21~39%. 정책재조정불가피

Bonjour Kwon 2015. 1. 2. 07:53

 

2015.01.01.  

설비용량은 공사 지연이 없다는 가정하의 추정치이며, 예비율은 추정 최대수요 기준이므로 오차발생 가능.  [이투뉴스] 대한민국 경제성장의 핵심동력을 제공해 온 국내 발전설비가 연내 설비총량 1억kW(100GW) 시대를 연다. 1945년 광복 당시 20만kW에 불과했던 설비용량이 70년간 500배나 성장해 국민 1인당 2kW 전력설비를 갖춘 ‘전력강국(電力强國)’으로 도약한 셈이다.  

 

전력당국에 따르면, 작년말 기준 9321만kW를 기록한 설비용량은 오는 12월 1000MW급 당진화력 9호기와 삼척화력 1호기 준공을 기점으로 연내 1억kW를 돌파한다. 또 내년에만 1000만kW의 발전소가 추가 건설돼 2016년말 총량은 1억1000만kW를 넘어설 전망이다.

 

올해 상업운전 예정인 주요설비는 동두천복합 1,2호기(각 858MW)를 비롯해 신월성 2호기(1000MW), 신고리 3호기(1400MW), 당진화력 9호기(1020MW), 삼척화력 1호기(1000MW), 하남열병합(399MW), 태안IGCC(380MW) 등 7319MW에 달한다. 연내 폐지설비(포스코복합 2호기 450MW)를 감한 연말 용량총계는 1억 16만9000kW이다.

여기에 내년에는 북평화력 1호기(595MW)를 시작으로 신고리 4호기(1400MW), 태안화력 9,10호기(각 1050MW), 신보령화력 1호기(1000MW), 서울복합 1,2호기(800MW) 등 8314MW의 새 발전소가 가동돼 연말까지 최종 1억1094만kW의 설비를 갖추게 된다.

 

올해말 기준 원별 예상 설비용량 비중은 LNG 32.4%(32.4GW), 석탄 28.9%(29.0GW), 원자력 23.1%(23.1GW), 신재생 등 기타 6.0%(6.6GW), 양수 4.2%(4.7GW) 순이다. 이중 석탄은 대규모 신규설비 확충에 따라 연말까지 비중을 32.1%로 확장하게 된다.

 

이처럼 단기간에 공급능력이 확충됨에 따라 당분간 예년과 같은 수급난은 발생하지 않을 전망이다. 올해 전력예비율은 최저 12.5%(8월)에서 최고 26.5%(11월)까지, 내년엔 최저 21.6%에서 최고 39.3%(10월)까지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최대 전력수요는 피크일을 기준으로 올해 8월 8060만kWh, 내년 8월 8190만kWh로 각각 추정된다.

 

문제는 공급능력과 반비례 곡선을 그리고 있는 전력수요다. 국내 연간 전력수요 증가율은 2004년 6.2%에서 2008년 4.4%, 2012년 2.5% 순으로 꾸준히 하락하다 급기야 지난해 ‘0%’대로 주저 앉았다. (0.5%~0.8% 예상) 지난해 1~11월 국내 전력 판매량은 4349억5300만kWh로, 전년동기와 비교해 0.5% 증가하는데 그쳤다.

 

국내경제 장기 저성장 추세와 맞물려 앞으로도 이런 흐름이 이어진다면 공급-수요간 비대칭 현상(공급과잉)이 한층 심화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양적 확대 기조의 기존 전력수급계획은 물론 중장기 에너지정책의 전면 재조정이 불가피해진다.

앞서 지난해 확정된 2차 에너지기본계획은 2035년까지 연평균 2.8%씩 경제(성장률)가 성장하는 가운데 총에너지는 연평균 1.3%, 최종에너지는 0.9%, 전력수요는 2.5%씩 성장하는 시나리오를 전제로 작성됐다. 하지만 전력소비량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장기 경제성장 지표는 이미 예상치를 밑돌고 있다.

 

전력당국 관계자는 “작년 한 해 수요로 수요증가율이 완전히 꺾였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적어도 앞으로는 과거와 같은 증가세가 재현될 가능성이 낮다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라며 "지나치게 수요가 정체될 것으로 단정해 또다시 수급불안을 초래해서도 안되지만 향후 수급계획 시 비관적 시나리오에 대해 충분히 검토하는 과정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