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2.20
서울의 경우 땅값이 분양가의 절반을 이미 넘었다.
재건축 붐과 함께 공공기관이 건설사에 공급하는 공공택지 감소가 아파트 분양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20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전국 기준으로 아파트 분양가에서 땅값이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36%로 조사됐다. 지난해 1분기(31%) 이후 3분기 연속 상승 추세다.
지역별로 따져보면 수도권은 지난해 1분기 40%에서 4분기 44%로 늘었다. 지방은 같은 기간 26%에서 25%로 소폭 줄었다. 다만 지난해 분양이 활발했던 지역의 땅값 비중은 오히려 늘었다. 대구의 경우 1분기 28%에서 4분기 55%로 배 가까이 늘었고, 대전도 같은 기간 9% 포인트 올랐다. 서울의 경우 지난해 말 기준 56%를 기록해 분양가 중 땅값 비중이 절반을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땅값 자체가 올랐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지가는 연간 2.70% 상승했다. 2015년 상승률(2.40%)에 비해 소폭 늘어난 수치다. 땅값은 2010년 11월 이후 74개월 연속 상승세다. 저금리 기조에 따른 투자 수요 폭증이 주요 원인이다.
땅값이 오르면서 분양가도 고공비행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2013년 신규 분양 아파트의 평균 분양가(전국 기준)는 3.3㎡당 956만원에서 지난해 1052만원으로 올랐다. 3년 만에 10%가량 증가한 셈이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지난해 서울 강남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고분양가 논란이 일었지만 이는 택지의 가격 상승이 주된 요인이었다”며 “땅값이 오르니 어쩔 수 없이 비싸게 분양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건설업계는 공공택지 공급을 줄이는 방안을 담은 정부의 8·25대책이 역효과를 낳고 있다고 지적했다. 택지 공급이 줄면서 땅값이 오르고, 결과적으로 분양가도 상승한다는 것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땅값이 비싼 재건축·재개발 사업장이 인기를 끌면서 분양가 가운데 대지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더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