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4.25
-
[매일일보 김양훈 기자] 인천광역시 뉴스테이 사업이 쾌속 바람을 타도 있다. 그동안 부동산 경기 침체와 사업성 부족 등으로 9∼10년간 지연됐던 인천 청천2구역 재개발사업과 십정2구역 주거환경개선 사업이 리츠 등 민간 투자로 돌파구를 마련해 진행되고 있다.
25일 인천시에 따르면 두 사업의 원주민 분양률은 각각 82%와 83%이고, 국내 굴지의 건설사인 대림산업과 포스코 건설이 시공을 맡아 오는 7월과 11월 착공한다.
특히 부평구 청천동 51일대 21만9300여㎡의 청천2구역 재개발사업은 지난 2008년 12월 주택재개발 정비사업 구역으로 지정됐으나 9년동안 부동산 경기 침체로 답보 상태에 있었다. 이 구역은 건물이 매우 낡아 사고 위험이 높고 조합이 사용한 비용도 많아 대책 마련이 쉽지 않았다.
이에 인천시와 국토교통부는 민간 사업자가 사업비를 조달해 5190가구의 아파트를 건립한 뒤 조합원 물량(1683가구)를 제외한 일반 물량(32437가구)을 뉴스테이(기업형 임대주택)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나머지 260가구는 공공 임대주택이다.
또 조합과 사업 협약을 맺은 민간사업자는 부동산 리츠로 사업비 7800억원을 마련하는 한편 국토부와 주택도시보증공사로부터 주택기금의 일부를 지원받거나 융자받아 자금 조달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수익성을 확보했다.
인천시는 조합방식의 재개발 사업을 민간 투자방식으로 전환하는데 행정적으로 걸리는 기간을 통상 346일에서 53일로 획기적으로 단축 처리하는 등 행정적으로 뒷받침했다.
2007년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로 지정된 십정2구역(부평구 십정동 216 일원 19만2600여㎡) 역시 부동산 경기 침체와 미분양 우려 증가로 그동안 별다른 진전을 보지 못했다.
이와 관련, 주민 2천771가구 중 18%인 510가구(기초생활수급자 334가구, 차상위계층 176가구)가 저소득층이어서 자력으로 주거 여건을 개선하기 어렵고, 전체 주택 가운데 60여 주택은 거의 붕괴 수준에 달한다.
특히, 사업 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부동산 경기침체와 채무 증가 등을 이유로 사업 추진을 주저해 개선사업은 한 발짝도 떼지 못했다.
주민대표, 인천시, 국토부, 부평구, 인천도시공사, 민간사업자 등은 부동산 펀드로 사업비 8천500억원을 조달해 민간사업으로 전환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민간 사업자는 전체 아파트(5678가구) 중 주민에 공급하는 특별분양분(1530가구)을 제외한 나머지 일반공급 물량(3598가구)을 뉴스테이로 전환해 미분양 리스크를 없애 사업성을 높였다.
나머지 공공 임대주택(550가구) 가운데 기존 거주자 중 서민들의 제자리 정착이 가능하도록 350가구는 영구 임대한다. 민간사업자는 두 차례 총 2천억원을 사업 주체인 인천도시공사에 납부하는 등 현재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국내 굴지의 건설사가 시공을 맡은 것은 그만큼 사업 성공성이 높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라며, “재개발사업이나 주거환경개선사업이 리츠나 펀드 등 민자로 추진하는 것은 국내 처음이어서 부산과 대전 등 타 지역에서 벤치마킹해 가고 있다”고 말했다.
인천시는 이들 두 지역을 포함해 11개 재개발·주거환경개선사업이 국토부 뉴스테이 사업 공모에 선정돼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김양훈 기자 dpffhgla111@hanmail.net
ㅡㅡㅡㅡㅡ
인천시 뉴스테이, 민간투자로 돌파구 마련 순항 중
기사승인 2017.04.27
- 10년 지연’ 십정2 주거환경사업 민자로 추진…분양률 83%, 9년 답보’청천2 재개발사업도…분양률 82%, 포스코건설·대림산업 시공 맡아
(인천=국제뉴스) 김흥수 기자 = 부동산 경기 침체와 사업성 부족 등으로 9∼10년간 지연됐던 인천 청천2구역 재개발사업과 십정2구역 주거환경개선 사업이 리츠 등 민간 투자로 돌파구를 마련해 진행되고 있다.
두 사업의 원주민 분양률은 각각 82%와 83%이고, 국내 굴지의 건설사인 대림산업과 포스코 건설이 시공을 맡아 오는 7월과 11월 착공한다.
부평구 청천동 51일대 21만9천300여㎡의 청천2구역 재개발사업은 지난 2008년 12월 주택재개발 정비사업 구역으로 지정됐으나 9년동안 부동산 경기 침체로 답보 상태에 있었으며, 이 구역은 건물이 매우 낡아 사고 위험이 높고 조합이 사용한 비용도 많아 대책 마련이 쉽지 않았다.
이에 인천시와 국토교통부는 민간 사업자가 사업비를 조달해 5천190가구의 아파트를 건립한 뒤 조합원 물량(1천683가구)를 제외한 일반 물량(3천2437가구)을 뉴스테이(기업형 임대주택)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개발하기로 결정했으며, 나머지 260가구는 공공 임대주택이다.
조합과 사업 협약을 맺은 민간사업자는 부동산 리츠로 사업비 7천800억원을 마련하는 한편 국토부와 주택도시보증공사로부터 주택기금의 일부를 지원받거나 융자받아 자금 조달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수익성을 확보했다.
인천시는 조합방식의 재개발 사업을 민간 투자방식으로 전환하는데 행정적으로 걸리는 기간을 통상 346일에서 53일로 획기적으로 단축 처리하는 등 행정적으로 뒷받침했다.
지난 2007년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로 지정된 십정2구역(부평구 십정동 216 일원 19만2천600여㎡) 역시 부동산 경기 침체와 미분양 우려 증가로 그동안 별다른 진전을 보지 못했다.
주민 2천771가구 중 18%인 510가구(기초생활수급자 334가구, 차상위계층 176가구)가 저소득층이어서 자력으로 주거 여건을 개선하기 어렵고, 전체 주택 가운데 60여 주택은 거의 붕괴 수준에 달한다.
특히, 사업 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부동산 경기침체와 채무 증가 등을 이유로 사업 추진을 주저해 개선사업은 한 발짝도 떼지 못했다.
주민대표, 인천시, 국토부, 부평구, 인천도시공사, 민간사업자 등은 부동산 펀드로 사업비 8천500억원을 조달해 민간사업으로 전환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민간 사업자는 전체 아파트(5천678가구) 중 주민에 공급하는 특별분양분(1천530가구)을 제외한 나머지 일반공급 물량(3천598가구)을 뉴스테이로 전환해 미분양 리스크를 없애 사업성을 높였다.
나머지 공공 임대주택(550가구) 가운데 기존 거주자 중 서민들의 제자리 정착이 가능하도록 350가구는 영구 임대한다.
민간사업자는 두 차례 총 2천억원을 사업 주체인 인천도시공사에 납부하는 등 현재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국내 굴지의 건설사가 시공을 맡은 것은 그만큼 사업 성공성이 높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라며, “재개발사업이나 주거환경개선사업이 리츠나 펀드 등 민자로 추진하는 것은 국내 처음이어서 부산과 대전 등 타 지역에서 벤치마킹해 가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시는 이들 두 지역을 포함해 11개 재개발·주거환경개선사업이 국토부 뉴스테이 사업 공모에 선정돼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ㅡㅡㅡㅡ
[인천] 인천 십정 2구역 재개발 사업비 확보 관건
2017.05.01
국내 최초로 뉴 스테이 사업으로 추진하는 인천 십정 2구역 주거환경 개선 사업의 방향이 부동산 펀드 조성 여부에 따라 결정될 전망입니다.
이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민간 사업자 측은 1조 원대 사업비를 오는 10일까지 부동산 펀드를 조성해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대선 정국인 데다 금융 기관 등에서 적극적인 투자에 나서지 않고 있어 사업비 확보가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이 사업 시행사인 인천 도시공사는 오는 10일까지 펀드 구성이 실패해도 사업은 계속 추진하겠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