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6.01
1일 국회 신·재생에너지포럼(대표의원: 이원욱·전현희 의원, 연구책임의원: 김경수)이 주최한 '도심에너지를 위한 연료전지 기술개발' 전문가 간담회 사진. / 사진=류병화 기자
연료전지는 분명 뛰어난 신·재생에너지다. 같은 신재생에너지 그룹에서도 차별화된 장점이 많다. 그러나 하나의 치명적인 단점이 시장 확대를 가로막고 있다.
연료전지 발전단가가 kWh당 250원 수준으로, 다른 신재생에너지원보다 1.7~2.7배 발전단가가 높기 때문이다.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가 실시되고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도 태양광(1.5)보다 높은 2.0을 부여받으면서 활성화에 기대감이 실렸지만, 연료전지 시장이 좀처럼 개화하지 못하는 이유다. 연료전지 발전은 액화천연가스(LNG) 등 연료에서 추출한 수소를 산소와 반응시켜 전기에너지를 만드는 친환경 발전 방식이다.
1일 국회에서는 ‘도심에너지를 위한 연료전지 기술개발’을 주제로 전문가 간담회가 열렸다. 양태현 연료전지 PD(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와 조상민 연구위원(에너지경제연구원)이 발제자로 나섰다. 양태원 연료전지 PD는 영국 정책을 예시로 들며 지원제도 방식 변화를 촉구했다. 양 연료전지 PD는 “영국은 대기오염 물질 저감을 고려해 연료전지도 충분히 경제성이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연료전지 발전은 대기오염 물질을 거의 배출하지 않아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는 만큼, 보조금을 지급해야 한단 의미다.
연료전지 발전은 발전용량당 설치면적이 매우 작아서 유용하다. 만약 잠실 야구경기장에 연료전지 발전소를 설치한다면 대략 62MW를 생산해낸다. 같은 공간을 가정했을 때 태양광 발전소의 600배 이상, 풍력 발전소의 800배 이상에 해당한다. 태양광, 풍력보다 주민 반발이 적단 장점도 있다. ‘도심 전력은 도심이 해결한다’는 분산형 전원의 구호에도 알맞은 발전방식인 셈이다.
양 연료전지 PD는 연료전지 시장 확대를 강조했다. 양 연료전지 PD는 “종종 ‘계속 연료전지 시장 성장을 기다렸는데 더 기다려야 하나’라고 물으신다”고 운을 뗐다. 그는 또 “반도체, 휴대폰도 흑자전환 터닝포인트가 오기까지 시간이 걸렸듯 연료전지 시장도 기다리면 시장이 열릴 것”이라며 “RPS에서 안정적인 투자가 안 되고 있다. 가시적 시장이 나타나면 제조원가가 떨어지는 건 문제 없다”고 말했다.
조 연구위원도 “정부 지원정책이 효과 없다고도 하는데, 지원 덕에 한국 수소 연료전지는 일본에 이어 시장 매력도 세계 2위를 차지했다”며 “수소 연료전지 시장은 2015년 약 50% 성장했고 2016년엔 2배 이상 성장했다”고 말했다. 조 위원은 이어 “연료전지는 태양광 시장과 비교했을 때 2002년에 해당한다”며 “2010년 태양광 시장이 개화했듯 2020년 이후엔 연료전지 시장도 개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 연구위원은 수소 연료전지 시장의 현재 상태를 ‘닭과 달걀’ 딜레마에 비유했다. 연료전지 회사는 인프라가 있어야 투자를 해나가고, 수소공급 회사는 연료전지가 충분히 저렴해야 시장에 진입한단 요지다. 조 연구위원은 “일단 관련 업계가 협의체를 구성하고 적극적인 인프라 투자가 있다면 딜레마를 극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 자리에서 정기석 포스코에너지 그룹장은 “포스코에너지는 연료전지 사업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포스코에너지는 지난해 인원을 크게 감축하면서 연료전지 사업을 접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 바 있다. 정 그룹장은 “연료전지사업이 참 힘들었다”며 “사업을 더 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기술, 산업적인 부분을 많이 고민했다”고 말했다. 이어 “발전단가를 절감하기 위해 설계를 개선하고 부품을 줄이는 작업을 했으나 역부족”이라며 “발전단가 250원 중 150원을 차지하는 천연가스 비중을 줄이는 게 필요해 관련 개선작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포스코에너지가 언제쯤 다시 연료전지 사업을 시작할진 미지수다. 지난해 대규모 인력감축은 끝났으나 최근 들어 수주를 따낸 것이 없는 상태다. 포스코에너지 관계자는 계획 중인 사업에 대해 “현재로선 구체적으로 밝히기 어렵다”고 말했다.
새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를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연료전지 업계에서도 기대감이 커진 상태다. 올해 말쯤 연료전지 REC 가중치 상향 조정이나 발전차액지원제도(FIT) 대상 포함이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에 부풀어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REC 가중치 상향조정이나 발전차액지원제도 모두 구체적으로 검토되지 않았다”며 “다만 이전에 발전차액지원제도를 운용할 땐 연료전지도 신재생에너지로 묶여 있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발전차액지원제도 대상에 연료전지 발전도 포함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이다. 에너지 업계 관계자는 “발전차액지원제도 도입에 연료전지까지 묶을 필요가 있을까 생각한다”며 “신에너지인 연료전지와 재생에너지가 구분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현대제철 협력업체 노조, 통상임금 해결 촉구
檢 ‘
'■<주식투자.IPO등> > 태양광·ESS·폐기물·연료전지발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LH, 집단에너지와 연계한 연료전지발전사업 추진. 11.44㎿규모로 대전에너지사업단 내 구축 (0) | 2017.11.23 |
---|---|
발전용연료전지 숨통! - SK E&S 40MW·유진초저온 10MW 내년 상반기 착공. 자체사업으로 추진해 속도 기대. (0) | 2017.11.23 |
두산건설, 광주시와 상무지구 연료전지 발전사업 협약. 1.5만㎡에 1700억원 투자 0.44MW 연료전지(두산퓨어셀 제품사용) 60기건설24개월 (0) | 2017.11.22 |
농축산식품븍 장관 "농사 못짓는 절대농지에 태양광 발전"ㅡ농민 협동조합 태양광 사업에 인센티브 (0) | 2017.11.22 |
에너지저장장치(ESS) 초기 투자없이 빌린다…‘렌탈금융상품’ 출시. 에너지공단, 삼성카드, 서울보증, 메리츠화재간 업무협약 (0) | 2017.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