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펀드 (국내)

부동산 열풍에도 부동산 펀드는 부진.투자자 P2P로… PF 비중 45% 대출 상품보다 고위험 주의해야

Bonjour Kwon 2018. 3. 26. 07:53

2018.03.26

 

부동산값이 치솟으며 시장이 들썩이고 있지만 부동산펀드는 여전히 부진하다. 소액투자가 가능한 부동산 펀드는 평균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국내외 대형 오피스 빌딩이나 호텔 등에 투자하는 부동산 공모 펀드가 속속 나오면서 지난해 부동산 펀드는 개미들의 관심을 끌었지만, 실제 수익은 기대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25일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부동산 공모 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12.15%를 기록했다. 올 들어 지난 19일까지의 수익률도 -0.4%로 저조하다.

 

프로젝트 파이낸싱(PF)형 펀드가 투자한 부동산 개발 사업이 지연되거나 시행사가 워크아웃을 신청하면서 전체 수익률을 끌어내린 탓으로 풀이된다. 파인아시아자산운용의 ‘PAM부동산 3’은 올해 들어 -70.59%의 손실을 봤다. 안정적인 임대료 수익을 노린 ‘호텔 펀드’도 돌아오지 않는 유커(중국인 관광객)에 불안감이 번진다.

 

올 들어 부동산 임대형 펀드는 1%대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최소보장임대료인 연 5%를 조금 웃도는 셈이다. 임대형 펀드는 객식 예약률이 더 떨어질 경우 펀드를 청산할 때, 부동산 매각 가격이 떨어질 위험도 있다. 환매 수수료가 5%로 높고 거래량이 적어 중도 매각도 쉽지 않다.

 

전체적으로 부동산펀드가 부진한 가운데 개인투자자들의 부동산 투자 열기는 P2P(개인 대 개인) 시장으로 번지고 있다. 크라우드연구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P2P 시장의 부동산 PF 대출 규모는 1조 2352억원으로 나타났다. 높은 평균 수익률(17.06%)을 타고 1년 전 3260억원의 3.8배로 폭증했다. 전체 P2P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45.2%나 된다. 다만 부동산 PF 투자는 연체로 인한 원금 손실 위험이 있는 신용 대출 상품보다 위험이 높아 투자자들이 주의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