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d, 개정안 공개. 2018-05-31
ㅡ트럼프.무역 국수주의.금융글로벌화!
ㅡ도드 프랭크법강화. 달러 강세!
ㅡ미국 금융주도권 과정.신흥국 상대적 피해.금융위기 재현 우려
ᆢ10년 금융 위기 설 부가? 카지노자본주의 부활!
ᆢ
ㅡ한국.영향은?
ㆍ외귀자본 피해큰 한국.기업경영권 노출 .피해 우려 엘리엇등항동주의펀듲방엋시급
ㆍ저소득층. 위한 금융소외 권 보호필요.vip만우대 자제
ㆍ적대적 m&a강화.
ㆍ미국 실업자 10년만에 최저
ㅡ월블던현상.금융시장독립성확보 시급
ㆍ자본시장 통합법 현실에 맞겣수정 필요
ㆍ
(윔블던 효과(영어: Wimbledon Effect)란 외국자본이 국내시장을 지배하는 현상을 가리키는 경제 용어이다. 일본에서 처음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진 이 용어는[1][2] 영국의 금융시장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윔블던 테니스 대회와 비교하여, 외국자본에 대한 시장개방이 가져오는 효과를 설명할 때 사용된다. 매년 런던에서 개최되는 윔블던 테니스 대회는 세계적으로 가장 권위있는 그랜드 슬램 테니스 대회로 인정 받지만, 정작 개최국인 영국의 선수들은 이 대회에서 매우 드물게 우승했다. 윔블던 효과는, 런던을 중심으로 한 영국의 금융산업이 1980년대 이래 매우 성공적인 성장을 보였지만 정작 영국의 금융 회사 중에서는 성공적인 회사가 거의 없었던 것을 윔블던 대회의 사례에 비유하여 설명하는 용어이다.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금융회사 규제를 위해 제정된 도드-프랭크법이 대폭 완화될 예정인 가운데 이 법의 핵심인 볼커룰도 바뀐다. 2010년 도입된 볼커룰은 은행이 자기자산이나 차입금으로 위험자산에 대규모로 투자하는 걸 금지하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Fed)은 30일(현지시간) 볼커룰 개정안을 공개했다. 개정안의 핵심은 은행에 더 많은 재량권을 부여해 시장조성 활동처럼 고객을 위한 거래는 쉽게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 은행이 증명하지 않으면 60일 미만 단기 거래 포지션을 자기자본 거래로 추정하던 규정이 삭제된다. 트레이더가 증권을 사고파는 진짜 동기를 알아내기 위해 둔 규정도 사라진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간체이스 최고경영자가 “거래할 때마다 그 의도를 해명하기 위해 옆에 변호사와 정신과 의사를 둬야 할 형편”이라고 꼬집었던 규정이다.
광고
inRead invented by Teads
은행의 자산·거래 규모에 따라 관련 규정 준수 여부를 입증할 의무를 차별화한다. 자산이 100억달러 이상인 대형 은행에는 가장 엄격한 요건이 적용되지만, 자산이 10억달러 미만인 소형 은행은 요건이 대폭 완화된다.
"Fed, 美경제 B-인데 A+로 오판"
다만 대형 은행이 헤지펀드 투자 같은 투기적 거래에 나서는 건 계속 금지된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은 “지나치게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요건들을 간결한 요건들로 대체할 것”이라고 밝혔다.
실시간 인기기사
· [얼마집] 분당인 듯 판교인 듯… 상승세 꾸준한 '이매성지'
· 고용부 빅브러더' 개혁委… 8개월 적폐몰이에 조직 '패닉'
일각에선 볼커룰 개정이 은행들의 위험을 다시 키울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대형 은행은 이미 볼커룰에 맞춰 트레이딩 활동을 대폭 축소해왔다”며 “이번 규제 완화로 이를 다시 되돌릴지는 불분명하다”고 전했다.
뉴욕=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
[모바일한경 구독하기] [한경LIVE] [뉴스래빗] [연예] [글방]
ⓒㅡㅡㅡㅡ
트럼프의 도드 플랭크법 폐지 증시에 대형 호재되나?
2018-06-05 06:40
한국경제TV (039340)
[생방송 글로벌 증시]
한상춘의 지금 세계는- 獨·日·中 환율조작 발언, 그 다음은 '한국'인가?
Q > 도드-프랭크법 폐지 선언, 2만선 ‘재돌파’
트럼프 당선 후 트럼프에 대한 기대감과 다우 2만선을 도달 했다. 그리고 취임 후에는 과도기 현상으로 다우지수가 주춤하였고 월가는 동법 폐지에 따른 기대로 의외로 확산이 되었고 채권시장은 증시로 GR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다.
Q > 2008년, 사상 초유 글로벌 금융위기 파장
유동성 위기에서 그 다음은 시스템 위기가 있었고 그 다음은 실물경기 위기가 있었다. 그리고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게 된 이유는 양적완화와 제로 금리로 극복을 했고 시스템 위기에서는 10년 도드-프랭크법으로 의회 통과가 되었으면서 실물경기 위기에서는 일자리 대책과 리쇼어링 추진을 하였다.
Q > 도드-프랭크법, ‘단일금융법’으로 더 알려져
close
프랍 트레이딩 규제는 시장조성과 자기자금 구분 하는 것이다. 그리고 파생상품 규제는 헤지와 사모펀드 소유를 제한하는 것이고 공시 등 추명성 제고와 금융소비자를 보호 강화 하였다. 그러면서 감독기관 ‘big brother’와 각종 감독을 강화 하였다.
용어: 프랍 트레이딩 (proprietary trading)
금융회사가 수익 창출을 위해 고객의 돈이 아닌 자신의 돈으로 주식이나 파생상품 등의 금융상품을 거래하는 것을 뜻한다.
Q > 레이건 행정부 고질병 ‘스테그플레이션’ 처방
폴 볼커는 1970년대 후반~1980년대 초 Fed 의장이였으면서 한국경제TV에서 주최를 하였고 GFC에 초정돼 많은 화제를 보여줬다. 그리고 금융위기일 때 마진 콜에 디레버리지 과정서 발생하였고 볼커 룰은 이 고리 차단용 레버리지 비율을 규제하였다.
용어: 볼커 룰 (Volcker rule)
미국 금융기관의 위험투자를 제한하고, 대형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만든
금융기관 규제 방안 중 하나
Q > prop trading 활성화로 월가의 명성 부활
다양한 파생상품 제공으로 투자기회를 확대하였고 금융소비자와 형평성 제고로 금융사가 활기를 찾았고 강화된 감독완화에 따른 부담과 비용완화가 되었고 추가로 친 월가와 증시정책에 대한 기대를 확산하였다.
Q > 도드 프랭크법 폐지 후 금융위기 우려 ‘고개’
카지노 자본주의가 부활했고 계층 간 위화감을 조성 할 것으로 보이고 매 주말마다 월가판 촛불 집회가 나타날 수도 있어보이고 행동주의 헤지펀드는 적대 M&A 기승을 부릴 것으로 보이고 시장 참가자와 질서, 투자행태에 혼란을 가중 시킬 것을 보인다.
Q > 워싱턴 컨센서스 부활, 美 금융주도권 강화
무역은 국수주의이고 자본은 글로벌화로 국익을 극대화 할 것이고 위기 후 국제 간 자금흐름이 보이면서 캐리자금이 주도하였다. 포지티브 트레이드는 금리인하보다 달러가 약세 했으면서 트럼프 정부 들어 루빈 독트린으로 종언이 거론 됐다.
Q > 달러계 캐리자금, 국내 증시 유입 ‘가능성’
윔블던 현상이고 금융시장 독립성 확보를 중요시 생각했고 엘리엇 등 행동주의 헤지펀드 방어가 시급 한 것으로 보이면서 국내 금융법은 도드-프랭크 법으로 커다란 영향을 줬으면서 법체계 혼란으로 국내 금융시장에 장애요인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