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IPO등>/태양광·ESS·폐기물·연료전지발전

포스코에너지 '적자 누적' 연료전지사업 JV 만들어 분리. "매각 위한 사전작업?.연료전지발전시장, 이대로좋은가?. 무산·지체 중인 사업만 403.3㎿

Bonjour Kwon 2018. 8. 16. 08:35

2018.08.16

출구전략 구체화…일각선 "매각 위한 사전작업" 관측도

 

원본보기

노을 연료전지 발전소 전경사진은 서울 마포구 월드컵공원에 준공된 2만kW급 연료전지 발전소 [포스코에너지 제공]

 

 

(서울=연합뉴스) 배영경 기자 = 포스코의 에너지발전 자회사 포스코에너지가 조인트벤처 설립을 통해 막대한 적자가 누적된 연료전지 사업을 분리·매각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16일 확인됐다.

 

그러나 업계 일각에서는 포스코에너지의 조인트벤처 설립이 사실상 연료전지 사업에서 손을 떼기 위한 사전작업으로 보는 관측도 없지 않은 게 사실이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김규환 의원이 포스코에너지로부터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 포스코에너지는 적자가 누적된 연료전지 제조사업을 분리해 조인트벤처를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포스코에너지는 올해 연말까지 연료전지 사업 분리·매각 작업을 구체화하기 위해 관련 태스크포스(TF)도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에너지는 '포스코에너지 연료전지사업자료'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사업의 성격이 다른 발전과 연료전지 제조사업을 분리해 각 영역에 필요한 전문성을 강화하겠다"며 조인트벤처 설립 계획을 밝혔다.

 

제조업에 특화된 국내 기업을 전략적투자자(SI)로 선정하고, 포스코에너지의 인적·물적 자원과 미국 퓨어셀에너지(FCE)의 연료전지 관련 기술 투자를 통해 신규 회사를 설립하겠다는 것이다.

 

다만 업계 일각에서는 포스코에너지가 조인트벤처를 설립 후 그 지분을 매각함으로써 장기적으로는 연료전지 사업에서 손을 뗄 가능성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앞서 포스코에너지는 2007년 2월 연료전지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FCE에 2천900만달러를 출자했고, 이후 5천500만달러를 더 출자하는 등 사업에 적극성을 띠었다.

 

하지만 연료전지 발전기의 핵심부품인 스택(수소·산소를 결합해 에너지를 생성하는 장치)에서 결함이 발견되면서 초기 제품 물량에서 불량 스택을 교체하기 위한 비용이 크게 발생해 적자 규모가 커졌다.

 

연료전지 사업으로 인한 적자는 2014년 447억원, 2015년 830억원, 2016년 925억원, 2017년 645억원 등으로 포스코로부터 연료전지 사업을 이관받은 2007년 이래 누적 적자가 약 3천300억원에 이른다.

 

포스코에너지의 연료전지 사업에는 그동안 대규모의 세금이 지원됐다.

 

포스코에너지는 지난 2004년 '250kW급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 발전시스템 실증연구' 등 2건의 사업에 129억원, 2009년 '부하추종 백업용 연료전지 시스템' 등 3건 사업에 113억원을 지원받는 등 지난해까지 총 390억원 정도를 정부로부터 지원받은 상태다.

 

김 의원은 "포스코에너지가 정부로부터 전폭적 재정 지원을 받았던 지난 2003년 당시, FCE의 연료전지 원천기술을 도입하면서 부실한 기술 검증으로 국내 판매 제품에 치명적인 품질 결함이 발생해 대규모 적자가 났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회사가 대안으로 제시한 조인트벤처의 설립은 이렇게 막대한 세금을 들여 개발한 수소연료전지 기술을 해외기업에 헐값에 매각하려는 포석이 아닌지 의심된다"고 꼬집었다.

 

연료전지 사업 문제에 대해 포스코에너지는 즉답을 하지 않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FCE와 사업 강건화를 위해 협의 중인 것은 맞다"면서도 "그 방식이 조인트벤처 설립일지 다른 방식이 될지는 검토 중이며 아직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

 

ykbae@yna.co.kr


----------------


연료전지발전시장, 이대로 좋은가?
남영태 기자  |  nam@gasnews.com
[1343호] 승인 2018.05.09  







  
▲ 서울시에 지난해 2.5㎿급 MCFC시스템 8대가 설치돼 총 20㎿규모로 건설된 노을그린에너지 전경.

무산·지체 중인 사업만 403.3㎿규모…시장 내 소통으로 풀어야


시스템제조사 “과거 적자판매, 흑자전환 위해 LTSA가격 상향”
발전사업자 “시장과 소통 미미…형성된 가격구조에 공급해야”
해외기업 국내진출 상황에서 협력 못할 시 잠식 가능성 커


[가스신문=남영태 기자] 국내 연료전지발전시장은 세계 2위의 시장 매력도를 가지고 있음에도 명확한 정부정책 부재를 비롯해 LNG가격변동과 SMP·REC가격 변동 등의 요인으로 수익이 불안정해 활성화가 더디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자 ㈜두산을 초대 회장사로 지난 2016년 연료전지시스템제조사, 발전사, 도시가스사를 중심으로 한 ‘연료전지산업발전협의회’가 태동했고, 협의회를 중심으로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에 정책건의, 방안 등 활동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 외에 현재 시장 내 시스템제조사와 발전사업자 간의 장기서비스계약(LTSA),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구매 조건 등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소통 부족으로 이해의 폭이 좁혀지지 않는 원초적인 문제도 산업 활성화 저해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즉, 국내 연료전지산업 활성화를 위해 정부정책 반영 등에만 초점이 맞춰져 정작 원초적인 발전사업자와 시스템제조사 간의 이해관계를 좁히려는 노력이 없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이유다.

 

연료전지발전시장, 340.2㎿규모


정부는 지난 2012년부터 신재생에너지 보급·육성을 목적으로 공급의무자에게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량을 할당해 시장에 보급하도록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RPS)제도를 시행 중이다.


이 제도에는 총 12개 에너지원이 의무공급 대상으로 지정됐다. 에너지원 가운데 연료전지는 고효율·친환경의 차세대 저탄소 발전기술로써 최적의 분산발전원이라는 장점으로 RPS제도를 이행해야 하는 21개 발전사들은 물론 민간발전사업자들에게도 각광받고 있다.


현재까지 전국에는 250.1㎿규모의 연료전지발전설비가 가동 중에 있으며 약 90.1㎿가 설치작업에 있다. 이 가운데 포스코에너지의 용융탄산염연료전지(MCFC)는 171.8㎿급이 가동 중이며, 10㎿가 설치 중이다. 또 두산의 인산형연료전지(PAFC)는 약 78.3㎿가 운전 중이고 71.7㎿가 건설 예정이다.


특히 국내 연료전지발전시장의 양대 산맥인 포스코에너지와 두산은 국내 시장의 수요는 물론 시스템 안정화를 통한 효율향상, 국산화, 일자리창출 등 정부정책에 앞장서기 위해 각각 지난 2015년 연간 100㎿, 2017년 63㎿규모의 생산 공장을 포항과 익산에 구축했다. [표1]

  
 

 

고온 스팀 MCFC, 부지 PAFC 적합



국내 발전사업자들은 고온의 스팀 또는 열을 공급하기 위해 포스코에너지가 보유한 MCFC 방식의 연료전지시스템을 선호한다. 이는 MCFC 특성이 650℃이상의 고온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약 100℃ 이상의 스팀이 생산돼 고온의 스팀을 필요로 하는 산업단지, 제조공장 등에서 포스코에너지의 MCFC 타입 시스템을 채택해 발전사업을 진행한다.


또한 PAFC시스템의 경우 MCFC보다 낮은 약 60℃ 이상의 중온수를 생산한다. 때문에 PAFC시스템을 채택해 발전사업을 추진하는 대부분의 사업자들은 지역난방시설을 이용해, 인근지역에 공급하고 있다

.

특히 최근 두산은 컨테이너박스 크기로 PAFC시스템을 모듈화함에 따른 복층형 구조로 발전설비를 구축하고 있어 설치 부지에 따라 유연성을 확보해 작은 부지면적에 연료전지발전설비를 구축하고자 하는 발전사업자들이 선호하고 있다.

 

연료전지발전사업 무기한 지체 7건


MCFC와 PAFC로 국내 연료전지발전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난해 기준 총 7건의 연료전지발전설비구축사업 계획이 무기한 지체됐다. 또 7건은 구축 첫 삽도 뜨지 못한 채 무산됐다.


연료전지발전은 타 재생에너지원에 비해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외 열(스팀) 판매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국내 5개발전사 등 에너지다소비처가 단독 발전사업을 추진하거나, 별도 SPC를 설립해 사업이 추진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부지선정, 사업자금 조달 등 사업 추진의 중요사항들을 모두 완료한다 하더라도 정작 발전시스템을 납품해야 할 시스템제조사와 발전사업자 간 의견 충돌로 인해 무산, 지체되는 난항이 지속되고 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현재 연료전지발전시장에서 포스코에너지와 두산이 국내 유일한 발전시스템 제조사 업체이다 보니, 소비자의 선택권 확장과 경쟁구도 형성 등을 이유로 해외 선진기업들에게 문호를 적극 개방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그러나 이를 놓고 국내 시장에서의 의견은 분분하다.


우선 포스코에너지와 두산 두 기업이 보유한 연료전지시스템에 대한 기술력이 당초 국산기술이 아니라는 점에서 애초부터 문호는 개방돼, 해외기업 진입을 막은 적 없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주장을 제기한 여론에 따르면 포스코에너지는 미국 퓨얼셀에너지와 전략적 기술제휴를 체결해 BOP, 스택, 셀 제조등의 기술을 이전 받아 보급중이며, 두산은 미국 클리어엣지파워와 기업합병인수(M&A)를 통한 PAFC시스템을 국내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반면 문호 개방에 대해 다소 이르다는 시각도 있다. 최근 미국 블룸에너지와 퓨얼셀에너지가 단독으로 연료전지발전설비 구축을 위한 입찰에 참여, 발전사업권을 획득했다. 이를 놓고 ‘죽 쑤어 개 준 격’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크다.


이는 원천기술을 확보한 양 기업이 자칫 낮은 시스템 공급 가격 등으로 국내 시장에 본격 진입할 경우 시장이 위축되거나 왜곡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해당 기업의 시스템을 믿고 설치·운영해야 하는 발전사업자 입장에서 향후 발생할 유지보수 등 LTSA 등에 대해서도 확신할 수 없고, 해외기업이 국내시장의 RPS제도를 이용해 일명 ‘먹튀’ 논란도 야기된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문호 개방에 대한 찬·반 논란이 뜨거운 가운데 공통점은 해외 선진기업이 국내 시장에 진출한 상황에서 더 이상 국내기업이 안주하기 보단 경쟁력 확보를 위한 대책마련과 시장의 화합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표2]

  

 

시장 소통=경쟁력 강화=성장곡선

연료전지발전은 국가 에너지자립률 향상에 최적의 대안이다. 때문에 연료전지발전시장에 얽혀있는 이해관계자들이 힘을 모아 성장시켜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 연료전지시장은 연료전지사업을 놓고 당사 관계자들의 논리만 주장할 뿐 단합된 모습을 찾아보기란 어렵다.

국내 연료전지발전 초기 시장의 포문을 연 포스코에너지는 최근 연료전지발전시장에서 진행되는 모든 사업 입찰에 모습을 감췄다.

이는 포스코에너지가 사업 초창기 구축한 연료전지발전설비의 스택 내구성 등 시스템 설비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했고, 지난 2016년 하반기부터 제기돼 온 연료전지사업 분사·매각, 구조조정 등의 설(說)까지 거론되는 상황에서 명확한 포스코에너지의 입장표명이 되지 않아 국내 시장에서 신뢰도가 많이 하락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설상가상으로 포스코에너지는 지난 2016년경 시스템공급가격과 LTSA가격도 상향 조정했다. 그간 진행하던 가격 구조로는 영업 손실액이 증가하고 있어, 이를 재조정해야 한다는 판단 하에 결정됐다는 것이 포스코에너지 측의 입장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문제를 놓고 발전사업자들은 형성된 시장 가격구조를 해치는 행위라고 볼멘소리를 낸다. 수년간 형성된 시장 가격구조를 통해 발전설비를 제조사로부터 납품 받아 운전하던 발전사업자 입장에선 쉽게 받아들이기 어려운 입장이다.


즉 발전사업자들은 시스템 수명과 효율이 초창기 대비 향상됐다고는 하나 이해 당사자들과의 조율 내지 협의 없이 제조사의 흑자전환을 이유로 재조정됐다는 것은 쉽게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반대론자들은 국가 에너지정책에 따라 RPS제도를 연료전지발전설비 구축으로 이행하는 발전사업자들의 입장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입찰 과정에서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경쟁구도 형성은 올바른 시장의 이치이지만, 시장 변화와 물가변동 등을 반영하지 않은 고착화된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해 당사자 윈-윈 전략 모색해야

포스코에너지가 가격구조 재조정을 시행한 지 2년의 시간이 지났음에도 이해관계가 좁혀지지 않는 상황에서 두산은 고군분투하고 있으며, 해외 연료전지업체가 국내 시장에 진출했다. 이러한 시장 상황에서 이해관계를 좁히지 않고 Win-Win 전략을 모색하지 않는다면 국내 연료전지시스템제조사는 물론 발전사업자들도 잠식당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해외 선진기술을 받아들이는 것은 좋으나 현재로써 해외기업들의 투자 가능성,  국내 산업 기여도, A/S문제 등 전반적 사안이 불안정 적이기 때문에 현재는 국내 산업계가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종합적인 사안을 해소할 수 있는 최적의 대안은 연료전지산업발전협의회와 미래연료전지발전포럼의 역할이다.

연료전지산업발전협의회는 연료전지시스템제조사, 연료 공급사, 발전사업자, 공공기관, 연구기관 등 연료전지라는 이름에 얽혀 있는 이해관계자들이 모두 참여한 협의회다. 즉 협의회가 소통의 창구 역할만 제대로 수행한다면 관계社들의 분분한 의견 조율은 물론 현재 협의회가 추진하고 있는 △연료전지 전용요금제 신설 △연료비 연동형 REC 부여 △자가발전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등 정책제안이 꽃을 필 것이다.

또한 국회의원 37명이 참여한 미래연료전지발전포럼의 역할도 중요하다. 협의회를 도와 연료전지산업 활성화를 지원할 포럼에서 정책적 방향과 더불어 시장 내부까지 어루만진다면 에너지경제연구원이 분석한 세계 2위의 시장 매력도가 현실로 자리매김함과 동시에 에너지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다.

 

< 저작권자 © 가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장점 많은 연료전지 발전, 언제쯤 꽃필까

높은 발전단가 장벽…적극적 인프라 투자 시급

1일 국회 신·재생에너지포럼(대표의원: 이원욱·전현희 의원, 연구책임의원: 김경수)이 주최한 '도심에너지를 위한 연료전지 기술개발' 전문가 간담회 사진. / 사진=류병화 기자


 

연료전지는 분명 뛰어난 신·재생에너지다. 같은 신재생에너지 그룹에서도 차별화된 장점이 많다. 그러나 하나의 치명적인 단점이 시장 확대를 가로막고 있다.

 

연료전지 발전단가가 kWh당 250원 수준으로, 다른 신재생에너지원보다 1.7~2.7배 발전단가가 높기 때문이다.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가 실시되고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도 태양광(1.5)보다 높은 2.0을 부여받으면서 활성화에 기대감이 실렸지만, 연료전지 시장이 좀처럼 개화하지 못하는 이유다. 연료전지 발전은 액화천연가스(LNG) 등 연료에서 추출한 수소를 산소와 반응시켜 전기에너지를 만드는 친환경 발전 방식이다.

1일 국회에서는 ‘도심에너지를 위한 연료전지 기술개발’을 주제로 전문가 간담회가 열렸다. 양태현 연료전지 PD(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와 조상민 연구위원(에너지경제연구원)이 발제자로 나섰다. 양태원 연료전지 PD는 영국 정책을 예시로 들며 지원제도 방식 변화를 촉구했다. 양 연료전지 PD는 “영국은 대기오염 물질 저감을 고려해 연료전지도 충분히 경제성이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연료전지 발전은 대기오염 물질을 거의 배출하지 않아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는 만큼, 보조금을 지급해야 한단 의미다.

연료전지 발전은 발전용량당 설치면적이 매우 작아서 유용하다. 만약 잠실 야구경기장에 연료전지 발전소를 설치한다면 대략 62MW를 생산해낸다. 같은 공간을 가정했을 때 태양광 발전소의 600배 이상, 풍력 발전소의 800배 이상에 해당한다. 태양광, 풍력보다 주민 반발이 적단 장점도 있다. ‘도심 전력은 도심이 해결한다’는 분산형 전원의 구호에도 알맞은 발전방식인 셈이다.

양 연료전지 PD는 연료전지 시장 확대를 강조했다. 양 연료전지 PD는 “종종 ‘계속 연료전지 시장 성장을 기다렸는데 더 기다려야 하나’라고 물으신다”고 운을 뗐다. 그는 또 “반도체, 휴대폰도 흑자전환 터닝포인트가 오기까지 시간이 걸렸듯 연료전지 시장도 기다리면 시장이 열릴 것”이라며 “RPS에서 안정적인 투자가 안 되고 있다. 가시적 시장이 나타나면 제조원가가 떨어지는 건 문제 없다”고 말했다.

조 연구위원도 “정부 지원정책이 효과 없다고도 하는데, 지원 덕에 한국 수소 연료전지는 일본에 이어 시장 매력도 세계 2위를 차지했다”며 “수소 연료전지 시장은 2015년 약 50% 성장했고 2016년엔 2배 이상 성장했다”고 말했다. 조 위원은 이어 “연료전지는 태양광 시장과 비교했을 때 2002년에 해당한다”며 “2010년 태양광 시장이 개화했듯 2020년 이후엔 연료전지 시장도 개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 연구위원은 수소 연료전지 시장의 현재 상태를 ‘닭과 달걀’ 딜레마에 비유했다. 연료전지 회사는 인프라가 있어야 투자를 해나가고, 수소공급 회사는 연료전지가 충분히 저렴해야 시장에 진입한단 요지다. 조 연구위원은 “일단 관련 업계가 협의체를 구성하고 적극적인 인프라 투자가 있다면 딜레마를 극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 자리에서 정기석 포스코에너지 그룹장은 “포스코에너지는 연료전지 사업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포스코에너지는 지난해 인원을 크게 감축하면서 연료전지 사업을 접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 바 있다. 정 그룹장은 “연료전지사업이 참 힘들었다”며 “사업을 더 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기술, 산업적인 부분을 많이 고민했다”고 말했다. 이어 “발전단가를 절감하기 위해 설계를 개선하고 부품을 줄이는 작업을 했으나 역부족”이라며 “발전단가 250원 중 150원을 차지하는 천연가스 비중을 줄이는 게 필요해 관련 개선작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포스코에너지가 언제쯤 다시 연료전지 사업을 시작할진 미지수다. 지난해 대규모 인력감축은 끝났으나 최근 들어 수주를 따낸 것이 없는 상태다. 포스코에너지 관계자는 계획 중인 사업에 대해 “현재로선 구체적으로 밝히기 어렵다”고 말했다.

새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를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연료전지 업계에서도 기대감이 커진 상태다. 올해 말쯤 연료전지 REC 가중치 상향 조정이나 발전차액지원제도(FIT) 대상 포함이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에 부풀어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REC 가중치 상향조정이나 발전차액지원제도 모두 구체적으로 검토되지 않았다”며 “다만 이전에 발전차액지원제도를 운용할 땐 연료전지도 신재생에너지로 묶여 있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발전차액지원제도 대상에 연료전지 발전도 포함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이다. 에너지 업계 관계자는 “발전차액지원제도 도입에 연료전지까지 묶을 필요가 있을까 생각한다”며 “신에너지인 연료전지와 재생에너지가 구분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