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으로부터 꼭 79년 전인 1929년 10월29일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의 살풍경이다. 다우지수가 11.72% 폭락한 이날은 자본주의사의 가장 큰 변곡점 가운데 하나인 ‘대공황’(The Great Depression)의 고통스러운 시작을 알린 ‘검은 화요일’이다. 미국 증시는 1932년 7월9일까지 추락을 거듭하면서 3년 동안 시가총액의 90%가 증발했다.
사회경제사가인 에릭 홉스봄은 <극단의 시대>에서 “경제붕괴의 충격(대공황)을 이해하지 않고선 20세기 후반의 세계를 이해할 수 없다”고 썼다. 대공황은 단지 공포스러운 기억만은 아니다. 대공황은 이후 최악의 금융위기를 겪고 있는 2008년 오늘에 살아 있는 경제교과서다.
■ 대공황과 유사점, 차이점
1차 세계대전의 전후 폭풍이 가라앉으면서 ‘자본주의 신시대’ 진입으로 불렸던 1920년대 미국 경제의 호황은 역설적으로 대공황을 알리는 서막이었다. 1925년, 당시 사상 최저였던 3.5%의 기준금리는 자산시장 붐을 일으켰다. 2001년 닷컴 거품 이후 저금리(1%)로 비롯된 과잉 유동성이 이번 금융위기의 근본원인이 됐다는 점에서 그때와 똑같다.
주식과 부동산 등 자산 가치의 하락(디플레이션)은 대공황의 가속페달이었다. 많은 문제를 낳고 있는 지금의 금융위기 진앙지도 주택시장의 디플레이션에서 출발해, 증시 폭락으로 번졌다. 미국 주택가격은 2006년 고점 대비 이미 20% 넘게 빠졌다.
지금의 금융상황은 약 9천개의 은행 도산으로 예금자와 주주가 25억달러(현재 가치로 약 3400억달러)의 피해를 본 대공황 때와 크게 다를 바 없다. 세계는 이미 4조달러 이상의 구제금융을 투입했다. 영국중앙은행(BOE)은 “전세계 금융기관이 2조8천억달러의 손실을 봤다”고 밝혔다고 <가디언>이 28일 전했다. 그레고리 맨큐 하버드대 경제학 교수는 26일 <뉴욕 타임스>에 기고한 글에서 “지금 금융상황은 대공황 때보다 더 나쁘다고 볼 수 있다”며 “해결하기 어려운 금융기업의 지급능력 부족 문제가 훨씬 더 심각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공황 당시 미국의 실업률은 27%(1250만명)까지 치솟았으며, 소비자물가지수는 1929년부터 4년 동안 24%나 하락할 만큼 심각한 디플레이션 상황이었다. 대공황으로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60%가 사라졌으며, 공업생산도 3분의 1 이상 줄었다. 당시 독일의 경우 노동인구의 44%가 실업자였다. 커피값이 폭락하자 브라질은 석탄 대신 커피를 증기기관차의 연료로 사용했을 정도였다. 6%대의 실업률과 마이너스(-)로 반전하기 시작한 지금의 실물경제가 대공황 때만큼 심각하지 않은 점만은 분명하다.
국제사회와 중앙정부의 정책적 대응에선 과거와 차이가 크다. 허버트 후버 당시 미국 대통령은 “호황과 침체, 공황의 모든 문제를 치료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고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FRB)에 찬사를 보냈으나, 연준은 위기 발생 이후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이 취임하기 전까지 3년 동안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 연준은 1928년 2월부터 1년반 만에 3.5%였던 기준금리를 갑자기 6%까지 끌어올리면서 돈줄을 바짝 죄었다. 이는 주식을 담보로 대출을 받은 투자자들이 은행권의 마진론 상환 요구에 앞다퉈 주식을 투매하도록 해 증시를 공황에 빠뜨렸다. <시엔엔닷컴>은 최근 “대공황은 잇따른 경제·금융적 충격에서 기인하기도 했지만, 정책 결정자들의 무능과 태만에서 비롯되기도 했다”고 전했다.
후버 대통령은 또 관세를 인상하는 등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대응했다. 영국도 1840년대 이래 영국 경제 정체성의 핵심이었던 자유무역을 포기했다. 모든 나라들은 독자생존을 모색해야 했다. 독일은 극단적인 파시즘의 길을 걷게 됐다. 자국의 시장과 통화를 보호하려는 이런 움직임으로 전세계 무역량은 4년 동안 60%나 감소했다.
지금은 다르다. 전세계 중앙은행들의 동시 금리 인하와 여러 국가간 통화스와프(교환) 확대 등 금융위기에 맞선 국제사회의 공동보조가 이뤄지고 있다.
루스벨트 대통령이 1930년대 위기 해소책으로 제시했던 예금자 보호 확대와 부실 금융기관 국유화, 경기부양책은 지금 다시 등장한 처방전이다. 지난 수십년 시장에 대한 국가의 개입을 극도로 꺼려 온 시장과 정책 결정자들이 최근 위기 국면에서 국가의 강한 개입을 어렵지 않게 받아들일 수 있었던 배경엔 80여년 전 역사의 교훈이 있었다.
금융위기는 아직 진행 중이다. 지난 1년 동안 다우지수는 이미 40%가 빠졌다. 대공황 때와는 달리 실물경제가 상대적으로 좋다고는 하나, 지금이 위기의 초기인 점을 생각해야 한다. 이번 위기가 다른 형태를 띤 새로운 ‘제2의 대공황’의 길로 갈지 아니면, 조만간 늪에서 빠져나올 수 있을지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 류이근 기자 ryuyigeun@hani.co.kr
[한겨레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