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입력 : 2019.03.05
정부, 예비타당성 개선안 가닥
|
예타 개편시점도 당초 상반기 중에서 이르면 3월 말로 최대 3개월 앞당기기로 했다. 최근 경기하방 리스크가 커지면서 예타를 활용, 정부 주도의 적극적 투자를 유도해 경기부양과 일자리 창출에 나서겠다는 의도로 분석된다.
5일 정부 고위 관계자는 "지역균형발전 비중은 폭이 어느 정도 올라와 있어 (예타 개편안은) 경제성을 낮추면서 정책성을 높이는 쪽으로 갈 것"이라며 "시점도 3~4월이 목표"라고 말했다.
지난해 4월 개정된 기획재정부의 예타 운용지침에 따르면 예타(건설사업) 평가 비중은 경제성 35~50%, 정책성 25~40%, 지역균형발전 25~35% 등이다. 이 가운데 경제성은 국민경제적 파급효과와 투자적합성을 따져보는 것이다. 비용 편익분석(B/C) 비율이 1보다 작으면 경제적 타당성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한다.
정책성은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의지, 사업 추진상의 위험요인, 고용효과 등 3개 중분류 아래에 세부 분석항목을 두고 있다. 여기서 정부가 주목하는 것은 세부항목 중 민간기업이 사업에 참여할 유인요소가 있는지, 경제성에 포함되지 않은 고용유발 효과와 고용의 질 개선 등이다.
예타가 총사업비 500억원 이상, 국가재정 300억원 이상 지원되는 대규모 사업인 만큼 민간기업 동참 여부와 좋은 일자리를 얼마나 만들 수 있는지 등과 같은 경기활력 요소를 평가하겠다는 의미다.
지역균형발전의 경우 예타 평가에서 비중이 꾸준히 상승했다는 점을 감안했다. 지역균형발전 비중은 2005년 15~25%에서 13년에 걸쳐 최저치와 최고치가 각각 10% 증가했다. 반면 경제성은 2005년 40~50%에서 최하치가 5% 줄었고, 정책성은 같은 기간 25~35%에서 최대치만 5%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정부는 올 상반기 개편안을 마련한 뒤 연말 안에 발표하겠다던 시기도 당기기로 했다.
정부 관계자는 "경제성과 정책성, 지역균형발전 축소·확대에 대한 여러 안을 놓고 3~4월을 (개편안 마련) 목표로 시뮬레이션하고 있다"며 "예타 통과 예상 비율도 따져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물산업 > 하수슬러지·쓰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용건설 공기단축 거푸집 신기술로 ‘이틀에 1개층’ 뚝딱 신기록 (0) | 2019.03.12 |
---|---|
목포해상케이블카 설치 탄력.정인채 새천년건설 대표가 해상케이블카 설치사업 실시협약을 체결 (0) | 2019.03.11 |
중견건설사들,생존차원 신사업 활발,태영건설 'TSK워터'를 통해 공공하수처리장 62곳,폐수종말처리장 32곳등 지자체 환경시설위탁운영등 (0) | 2019.03.06 |
매립지 반입료 인상.. 쓰레기 대란 막는다.2025년까지수도권매립지 사용가능 (0) | 2019.02.27 |
쌍용양회, 폐기물 재활용 통큰투자.동해·영월에 830억 투자해 대체연료 활용설비 건립 폐합성수지 등 오염물질 1450도로 완전연소 환경문제해소 (0) | 2018.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