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 8월, 17:45vip.mk.co.kr
김씨는 "대체에너지 쪽이 유망하다고 생각하던 중 한 증권사의 프라이빗뱅커(PB)가 셰일가스 인프라스트럭처에 투자하는 상품이 있다며 추천하기에 투자해봤는데 기대 이상 수익을 거뒀다"고 말했다.
유가가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면서 셰일가스 등 대체에너지 인프라에 투자하는 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최근 시리아 사태로 유가 상승 우려가 커지면서 일부 고액자산가를 중심으로 MLP 투자상품에 대한 문의가 부쩍 늘었다.
MLP란 일반적으로 셰일가스의 운송ㆍ저장 시설에 투자하는 미국 회사를 말한다. MLP는 보통 분기마다 배당금을 지급하고 주식시장에 상장돼 있는 경우가 많아 MLP 투자자들은 배당금 수익과 함께 매매차익도 얻을 수 있다. 저금리 시대에 짭짤한 재테크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우리투자증권에 따르면 50개 종목이 편입된 알레리안 MLP 상장지수펀드(AMLP)는 지난 1년간 14.06%, 올해 연초 이후에도 9.59%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MLP 투자의 최대 장점은 안정성이다. 에너지 가격 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기존 에너지 사업과 달리 MLP 사업은 파이프라인 등 시설 이용료를 수익 기반으로 삼기 때문에 셰일가스 가격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MLP 투자는 셰일가스 유정에 직접 투자하는 것보다 안전한 투자로 꼽힌다. 전문가들은 "셰일가스가 이제 막 상용화된 에너지원으로 오해해 유정에 직접 투자하려는 성향이 있지만 셰일 유정의 가격은 이미 크게 올랐다"며 "유정에 직접 투자하기보다는 운송ㆍ저장시설에 투자하는 편이 안전하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텍사스 셰일 유정 가격은 10년 새 에이커(acre)당 5배 이상 뛴 것으로 알려졌다. 한동욱 현대증권 투자컨설팅센터 PB리서치팀장은 "미국에서 MLP에 대한 관심은 과거 서부의 골드러시와 비견될 수 있을 정도"라며 "MLP 관련 투자상품의 개발 열기가 뜨겁다"고 전했다.
국내 투자자들이 MLP에 투자하는 방법은 크게 미국 증시에 상장된 100여 개 MLP 종목에 직접 투자하는 것과 상장지수펀드(ETF)ㆍ상장지수채권(ETN)에 투자하는 방법이 있다.
전문가들은 "홈트레이딩 시스템(HTS)을 통해서도 직접 투자할 수 있지만 MLP의 가격 변동폭이 큰 만큼 ETF나 ETN 등을 통해 투자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권유한다.
아직 국내에서는 MLP에 투자하는 공모펀드가 출시되지 않은 상태다. 투자자들은 주로 상장지수펀드인 AMLP를 매수하는 방식으로 MLP 투자에 나서고 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들의 AMLP에 대한 투자 건수는 2월 말 1만364건에서 29일 현재 30만9636건으로 30배 가까이 급증했다. 현재 한국투자신탁운용과 신한금융투자 등이 MLP에 투자하는 공모펀드를 준비 중이다.
■ <용어설명>
MLP(Master Limited Partnership) : 미국에서 셰일가스 인프라스트럭처에 투자하는 회사를 지칭한다. 원래는 한 명의 주된 파트너(MP)가 유한책임을 지고 다른 파트너(LP)를 대신해 회사를 관리하는 합자회사를 뜻한다. MLP는 파이프라인과 에너지 저장시설 이용료 등을 수익 기반으로 삼는데 미국 정부는 대체에너지 개발을 촉진시키려 MLP에 법인세를 면제해주고 있다.
[용환진 기자]
'■국내기관투자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기의 보험사' 위험자산 투자 확대 (0) | 2013.09.02 |
---|---|
국민연금, 파리 센강 랜드마크 품었다 9월2일 (0) | 2013.09.02 |
] 국민연금 메자닌 위탁운용사에 KB·신한BNP운용 (0) | 2013.08.31 |
대우증권 특판RP 시니어론 MoM밸류다이나믹 사모펀드 ' (0) | 2013.08.30 |
KB자산운용 등 5곳 국민연금 2013년 대체투자 위탁운용사로 선정 (0) | 2013.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