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칼럼.논설.

기업 글로벌 경쟁력 떨어뜨리는 법인세.삼성전자 법인세 세율…'라이벌' 인텔의 2.4배 . 27.3% 對 11.6%로 큰 격차 한국만 세율인상 '역주행' 탓

Bonjour Kwon 2020. 1. 16. 20:54

 

2020.01.16.

대한민국 세금 대해부

(3) 기업 경쟁력 떨어뜨리는 법인세

 

ㆍ톱10'이 법인세 4분의 1 부담…"이익 많이 냈다고 벌 주는 꼴"

대기업에 '법인세 쏠림'…脫한국·자본유출 부추겨

 

사진=연합뉴스

 

삼성전자의 작년 1~3분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 차감 전 순이익)이 반도체 라이벌인 미국 인텔보다 2.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이 2년 전 법인세 최고 세율을 35%에서 21%로 낮추고 각종 공제를 늘린 반면 한국은 ‘정반대의 길’(법인세율 22%→25% 인상, 대기업 공제 축소)을 택한 여파다. 경쟁국보다 큰 법인세 부담 탓에 글로벌 기업들과 싸우는 한국 기업의 경쟁력 저하 우려가 커지고 있다.

 

16일 한국경제신문이 한국경제연구원에 의뢰해 한·미 주요 기업의 작년 1~3분기 법인세 유효세율을 추산한 결과 삼성전자는 27.3%로, 인텔(11.6%)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2017년에는 인텔의 유효세율(52.8%)이 삼성전자(24.9%)보다 두 배 이상 높았지만 지금은 정반대가 됐다.

 

 

삼성전자는 작년 1~3분기에 법인세 차감 전 순이익(연결재무제표 기준) 194억달러를 거뒀지만 법인세비용이 53억달러나 붙은 탓에 당기순이익은 141억달러에 그쳤다. 인텔의 법인세 차감 전 순이익(159억달러)은 삼성전자보다 20% 적었지만 법인세비용이 18억달러에 그친 덕분에 당기순이익(141억달러)은 삼성전자와 같았다.

 

삼성전자의 법인세 유효세율은 마이크로소프트(8.7%) 애플(15.6%) 아마존(16.0%) 구글(18.1%)보다도 훨씬 높았다. 같은 기간 기아자동차의 법인세 유효세율(27.7%)이 미국 제너럴모터스(12.0%)의 2.3배에 달하는 등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서 한국 기업의 세 부담이 더 무거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톱10'이 법인세 4분의 1 부담…"이익 많이 냈다고 벌 주는 꼴"

대기업에'법인세 쏠림'…脫한국·자본유출 부추겨

 

법인세를 둘러싼 미국 기업과 한국 기업의 운명이 바뀐 건 2017년 여름부터 초가을로 접어드는 시점이었다. 그해 5월 출범한 문재인 정부는 8월 세제개편안을 발표하면서 법인세 최고세율을 22%(지방세 포함 시 24.2%)에서 25%(27.5%)로 끌어올렸다. 그 이유는 “대기업으로부터 세금을 더 거둬 복지재원으로 쓰겠다”는 것이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생각은 달랐다. “투자와 고용을 늘리려면 세율을 낮춰야 한다”며 그해 9월 법인세 최고세율을 35%에서 21%로 끌어내렸다. 대기업일수록 혜택이 컸다.

 

한국과 미국의 법인세율은 그렇게 사상 처음으로 역전됐고, 미국발(發) ‘감세경쟁’은 프랑스 일본 스웨덴 인도 중국 등 전 세계로 확산됐다. 한국 정부의 ‘역주행’은 고스란히 한국 기업들의 부담으로 돌아왔다.

 

원본보기

정부가 2018년 법인세를 인상함으로써 한국의 법인세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보다 높아졌다. 사진은 대기업 본사들이 몰려 있는 서울 광화문 일대. 김범준 기자 bjk07@hankyung.com

 

○한국만 거꾸로 가는 기업세제

 

1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36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지난 10년 동안(2010년 대비 2019년) 20개국이 법인세 최고세율(지방세 포함)을 내렸다. 올린 나라는 9개국에 그쳤다. 그리스 포르투갈 칠레 터키 라트비아 등 주로 경제상황이 나쁜 나라들이었다.

 

선진국들은 대부분 법인세를 내렸다. 자국 기업의 해외 이전을 막고 글로벌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선 그만한 ‘매력 포인트’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급속한 고령화로 재정이 흔들리고 있는 일본(39.5%→29.7%)은 물론 복지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높은 세율을 유지하고 있는 스웨덴(26.3%→21.4%), 노르웨이(28.0%→22.0%), 덴마크(25.0%→22.0%) 등 북유럽 선진국마저 법인세 인하 행렬에 동참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념은 문제되지 않았다. 중국은 법인세를 25%에서 20%로 단계적으로 낮추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사회주의 색채가 짙은 프랑스도 올해 법인세를 31%에서 28%로 내리기로 했다. 국민이 나서 정부의 법인세 인상 계획을 막기도 한다. 작년 5월 스위스 정부는 법인세 인상 여부를 묻는 투표를 했는데 국민의 3분의 2(66.4%)가 반대표를 던졌다.

 

주요국 중 ‘역방향’을 선택한 건 한국뿐이었다. 2016년까지 한국의 법인세율(24.2%)은 OECD 회원국 평균(24.4%)보다 낮았지만, 지금은 OECD 평균(23.5%)보다 4%포인트나 높다. 홍성일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정책팀장은 “글로벌 트렌드에 역행하는 한국의 법인세율 인상은 기업의 ‘탈(脫)한국’과 자본 유출을 부추길 수 있다”고 말했다.

 

원본보기

 

○소수의 대기업에 법인세 부담 집중

 

법인세도 소득세처럼 돈 잘 버는 극소수가 대부분의 세금을 낸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2017년 신고 기준으로 흑자를 낸 45만8000개 법인 중 30여 개 대기업집단(자산 10조원 이상인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소속 기업이 전체 법인세의 34.7%를 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톱10’ 기업의 비중은 22.8%에 달했다. 2017년 대기업집단과 톱10 기업의 법인세 부담 비중이 각각 27.7%와 14.1%였던 점을 감안하면 1년 만에 7.0%포인트와 8.7%포인트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소수의 대기업에 법인세 부담이 집중되는 ‘쏠림 현상’의 원인 중 하나로 누진제를 꼽는다. 한국은 △과세표준 2억원 이하 10% △2억원 초과~200억원 20% △200억원 초과~3000억원 22% △3000억원 초과 25% 등 4단계로 법인세를 매긴다. 이로 인해 2018년 톱10 기업의 유효세율(24.9%·법인세비용÷법인세 차감 전 순이익)은 전체 기업 평균(19.8%)보다 5.1%포인트 높았다. “이익을 많이 내는 기업에 벌을 주는 구조”란 하소연이 재계에서 나오는 배경이다. 36개 OECD 회원국 중에서 이런 나라는 한국과 포르투갈뿐이다. 미국 등 31개국은 이익 규모와 관계없이 단일세율로 부과한다. 나머지 국가도 2~3단계로 한국보다 단순하다. 이익을 많이 냈다고 높은 세율을 적용하면 알짜기업을 내쫓을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기획재정부 세제실장 출신인 김낙회 전 관세청장은 “한국의 기업환경이 경쟁국에 비해 좋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법인세율은 이들 국가보다 1~2%포인트 낮게 유지해야 한다”며 “각종 투자 공제도 기업 규모에 따라 차별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오상헌/이태훈 기자 ohyea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