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경제

등소평의 생산력 향산위해 ‘잘 살 수 있는 사람부터 먼저 잘 사는’ 先富論넘어 시진평의 공부론(共富論)....양극화 해소는 시진핑 최대의 도전과제

Bonjour Kwon 2021. 8. 5. 21:01

[절대권력 시진핑의 신시대②]선부론 넘어 공부론....양극화 해소는 시진핑 최대의 도전과제
중앙일보 2017.10.23

중국 공산당 대회 이틀째인 지난 19일, 각 지방 대표단별 회의 장면이 언론에 공개됐다. 비공개리에 진행되는 중앙위원 선출ㆍ당장 개정안 이외의 비교적 덜 민감한 토론 내용을 공개하면서 언론 보도를 유도하는 일종의 홍보성 이벤트였다. 내외신 기자들 앞에서 성ㆍ직할시 서기들이 앞다퉈 강조한 내용은 지역별 탈빈(脫貧), 즉 빈곤퇴치 성과였다. 푸젠(福建)성 서기 유취안(尤權)은 “푸젠의 빈곤인구는 2012년 130만명에서 현재 20여만명으로 줄어들었다”고 발표했다. 후난성 회의에서는 “극빈촌 스빠둥(十八洞)촌의 산간 광천수를 상품화해 수백년 가난에서 해방됐고 주식 15%는 주민 몫이 됐다”고 홍보했다.
극빈촌이었던 스빠둥촌은 환골탈태했다. [출처: 이매진 차이나]


지방 서기들이 역내총생산(GRDP) 성장율 등 경제성장 실적을 과시하기에 바쁘던 몇년 전과는 확연히 달라진 모습이었다. 여기엔 이유가 있다. 시진핑(習近平) 주석이 지역별 성장율을 서기 평가의 최우선 잣대로 삼아왔던 것을 지난해부터 확 바꿔 빈곤퇴치 목표 달성 여부로 평가하고 목표에 이르지 못하면 엄중 문책키로 했기 때문이다. 시 주석은 특히 빈곤 인구가 많은 22개 성의 서기들에게 시기별ㆍ내용별로 구체적인 빈곤퇴치 계획서를 제출토록 했다. 그 이후 전국 산간벽지 곳곳에서 빈곤 퇴치 운동이 일어났고 ‘탈빈 공정’은 한국의 새마을 운동을 연상시키는 국가 프로젝트가 됐다. 하지만 여기에 투입되는 인력과 자금의 규모는 새마을 운동에 비할 바 아니다. 대기업 헝다(恒大)그룹은 구이저우성 다팡(大方)촌의 주택ㆍ학교 건설과 일자리 창출 등에 110억위안(1조 8700억원)을 쏟아부었다.


쉬자인 헝다그룹 회장(가운데)이 빈곤 지역 중 하나인 구이저우성 비제시에서 노인을 만나고 있다. [출처: 구이저우 민족보]


탈빈 공정 지역 중 하나였던 구이저우 성 비제시. [출처: 차이나닷컴]

빈곤지역으로 꼽히던 구이저우성 비제시 다팡촌은 탈빈공정을 통해 말끔하게 변했다.[출처: 차이나닷컴]

시 주석이 탈빈공정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는 배경은 18일 당대회 연설에서 읽을 수 있다. 그는 “중국 사회에 새로운 모순이 출현했다”며 ‘생활수요와 불균형ㆍ불충분 발전간의 모순’을 신(新)시대에 해결해야 할 과제로 제시했다. 이전 덩샤오핑(鄧小平) 시대의 모순은 ‘물질문화 수요와 낙후한 생산 사이의 모순’(1981년 11기 6중전회) 이었다. 실용주의자였던 덩은 낙후된 생산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잘 살 수 있는 사람부터 먼저 잘 사는’ 선부론(先富論)을 주창했다. 잘사는 것을 죄악으로 여기며 절대 평등주의에 갇혀있던 당시 중국으로선 혁명적 전환이었다.

중국은 소강사회를 열기 위해 재정자금을 쏟아붓고 있다.


반면 시 주석은 도농(都農)ㆍ지역간 균형 발전과 소득 분배 격차의 해소를 통해 공동부유의 사회를 건설하겠다고 강조했다. 시진핑 식 공부론(共富論)인 셈이다. 시 주석은 “2020년까지 7000만명에 이르는 연간소득 6200위안(105만원) 이하의 빈곤인구를 없애겠다”고 공언해왔다. 엄밀히 말하면 이는 극빈층 구제 사업일 뿐이다. 극빈층은 줄어들어도 중국 사회 전체의 구조적 문제인 양극화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의 전망이 보이지 않고 있다. 소득 불평등 지수인 지니계수는 0.465(지난해 말)로 1년전에 비해 더 높아졌다. 1에 가까울수록 소득 분배가 불균등함을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0.4를 넘으면 심각하게 불평등한 사회로 간주된다. 서민들을 절망으로 몰아 넣는 부동산 폭등이나 부의 세습 문제는 시 주석 집권 이후 더 심해졌다.
불평등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성장도 발목이 잡힐 뿐 아니라 사회 불안의 요소가 된다. 중국의 꿈(中國夢)의 첫 단계는 모든 인민이 의식주 문제를 해결하고 여유를 누리는 소강(小康) 사회 실현이다. 그 목표 시점은 시 주석 임기 내인 2020년이다. 양극화 해결은 소강 사회로 가는 첫 관문이자 시진핑에게 주어진 최대의 과제인 셈이다.
시 주석 “중국 사회에 새로운 모순 출현”
도농, 지역간 불균형 발전과 양극화 문제 제시
지니계수 0.465로 여전히 ‘심각하게 불평등’
모두가 잘 사는 공동부유 사회가 목표

베이징=예영준 특파원 yyjune@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