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10월, 17:19www.newstomato.com
장기적 생존을 위한 해외시장 개척이 필수가 된 자산운용업계는 정부가 어떤 방향을 제시할 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과감한 투자가 필요한 해외진출 시도에 앞서 일단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에서다.
30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텐텐(10·10) 밸류업 금융비전' 발표는 내달로 미뤄졌다. 당초 이달 말께 발표될 것으로 예상됐으나 동양사태 등 돌발변수에 의해 시기가 늦춰진 것이다.
지난 5월 금융위가 제시한 텐텐 밸류업 비전은 금융산업의 부가가치 비중을 현재 7%에서 10년 내 10%로 끌어올리기 위한 로드맵으로 이 가운데 자산운용업계가 주목하는 부분은 해외진출 활성화, 사모펀드 규제완화 등과 관련한 내용이다.
운용업계 측은 "향후 예상되는 국내 자산운용시장의 낮은 수익률과 운용사들의 이익구조 악화는 해외진출의 필요성을 더욱 보여준다"고 말한다. 해외투자 노하우 축적을 통한 국제적 경쟁력 강화와 해외 투자자 대상 판매망 구축 확대는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됐다는 설명이다.
현재 국내 자산운용사들의 해외 포트폴리오 투자 경험은 일부 아시아권 국가 또는 중남미 국가에 국한돼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해외 현지법인 설립 등 해외진출도 시도해 왔지만 주 고객이 국내 투자자들이라는 한계에 머물러 해외 투자자들에게 판매망을 구축하는 데까지 확장되지 못한 것이다.
무엇보다 해외진출에 쏟아야 할 시간과 자본이 어마어마하다는 점은 그동안 업계가 적극적으로 기회를 찾지 못한 배경이 됐다. 특히 해외 현지 법인 설립 또는 M&A 과정에서 영업용순자본비율(NCR) 규제나 외환포지션 규제 등은 당장의 장애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자산운용사경영(CEO 인터브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산운용업계, 부동산 투자시장 어쩌나 (0) | 2013.11.01 |
---|---|
동양자산운용, 동양그룹과 결별 할 듯 (0) | 2013.10.30 |
은행의 자산운용 참여 바람직한가 (0) | 2013.10.15 |
국내 자산운용시장 좁다'.. 아·태펀드 진출이 살 길 (0) | 2013.10.14 |
펀드시장 개방, 자산운용업 대표들에게 물으니... 펀드업계 글로벌화위해 불가피 의견 다수...개방효과에 대해선 의견엇갈려 (0) | 2013.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