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IPO등>/집중관심

두산퓨얼셀.발전용 수소 연료전지 첫 수출…중국에 153억원 규모.정부 "친환경 기술시장 선점 효과…청정수소 활용 등 적극지원.수소법 개정(안)이 확정되는 대로 청정수소발전구매공급제도(C..

Bonjour Kwon 2021. 9. 27. 11:31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국내에서 생산한 발전용 수소 연료전지가 처음 수출된다.

27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이날 전북 익산 산업단지에 있는 두산퓨얼셀[336260] 본사에서 '발전용 연료전지 수출 기념 출하식'이 열렸다.

이번에 수출되는 발전용 연료전지는 4기로 총 1.8MW, 1천300만달러(약 153억원) 규모다.

수출된 물량은 중국 광동성 포산(佛山)시에 분산형 전원으로 설치돼 7개 동(400가구)의 아파트와 1개 동의 상업 건물에 전기와 냉·난방용 열을 공급할 예정이다.

우리나라의 발전용 연료전지 수출은 이번이 첫 사례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수출은 탄소중립 추세와 수소경제 활성화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수소 연료전지 시장을 선점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2019년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 이후 수소 활용의 대표적 분야인 연료전지 산업생태계 육성을 위해 연구개발(R&D) 지원, 연료전지용 전용 가스요금제 도입 등의 정책적 지원을 해왔다.

그 결과 전 세계 최대 규모의 발전용 연료전지 시장이 국내에 조성됐다. 올해 6월 기준 주요국의 발전용 연료전지 설치 현황을 보면 우리나라가 662MW로 미국(527MW)과 일본(352MW)을 제치고 1위다.

또한 국산화율 98% 이상(1차 협력업체 구매액 기준)인 연료전지 산업생태계가 구축돼 3천개 이상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성장했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정부는 연료전지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며 수소 보급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현재 국회에서 논의 중인 수소법 개정(안)이 확정되는 대로 청정수소발전구매공급제도(CHPS)와 청정수소 인증제 도입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청정 수소의 생산·해외 개발을 촉진하고 연료전지에 조기 활용함으로써 탄소중립 시대 무탄소 전원으로 육성하고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등 한계를 보완한다는 목표다.

아울러 연료전지가 발전 과정에서 미세먼지를 정화하는 장점을 활용해 분산형 전원으로서 도심 주변 수요지 인근에 설치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단가 절감 및 기술 개발을 위한 민간의 공격적인 투자가 가능하도록 여건을 조성할 방침이다.

이 같은 내용을 포괄하는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은 연내 수립해 발표한다.

박기영 산업부 2차관은 출하식 축사에서 "향후 연료전지의 발전 효율을 대폭 개선하고 소재·부품 개발을 통해 주기기 단가를 2040년까지 지금의 약 3분의 1 수준으로 낮춰 세계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bryoon@yna.co.kr

(끝)

9/27일에 중국 포산시에 1.8MW 연료전지 수출 뉴스로 주가 6.63% 급등. 해외 첫 수출이며, 중국의 수소경제 육성정책을 감안할 때 긍정적

10월~11월에 국회에서 수소경제법 개정안 통과 및 2022년 HPS 도입 기대감 상승 중. 2021년의 실적부진 및 지연된 수주 모멘텀을 2022년에 만회할 수 있을 전망

한편, 2024년 이후 기대되었던 선박용 SOFC에 대해서는 지배구조 이슈로 성장성에 대한 희석 우려가 생김.


연료전지 첫 수출: 중국 포산시에 1.8MW 발전용 연료전지 수출. 금액 기준 13.2백만 달러로 2020년 매출액 대비 3% 수준

주거단지에 설치: 400가구의 아파트와 1개동 상업건물에 전기 및 냉난방용 열 공급. 동사의 발전용 연료전지는 PAFC로 열도 같이 발생하여 난방도 필요한 도심이나 주거단지에 적합.
중국정부의 수소경제 육성: 중국은 2060년 탄소중립 목표. 중국의 석탄발전 비중은 2020년 56.8%로 전 세계 석탄발전의 53%를 차지하고 있어,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성장성이 높음. 수소생산량은 2012년 1,600만 톤에서 2020년 2,500만 톤으로 성장하였으며, 2020년 4월에는 수소에너지를 기존 위험화학품에서 에너지로 재분류. 베이징, 산동에 수소시범 도시를 육성할 계획이며, 수소연료전지차의 경우 2025년 5만 대 2030년 100만 대 보급 목표. 수소연료전지차의 경우 2020년 3,018대 생산(+86%YoY)으로 향후 상용차 중심 발전 전망.
HPS, 2022년 시행은 확정: 2020년 10월 HPS(Hydrogen Portfolio Standard: 수소 의무 발전 비율) 제도 신설 시 시행시기를 2022년으로 결정. 발전비율 확정을 위해 수소경제법 개정 및 시행령이 필요한데, 이는 10월~11월에 결정 예상. 2022년 HPS 시행으로 수주 및 실적모멘텀 재개.
아쉬운 지배구조 이슈: 언론에 의하면 지주회사의 자회사인 두산퓨얼셀아메리카는 SOFC 시스템개발을 위한 R&D센터를 한국에 설립할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