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IPO등>/태양광·ESS·폐기물·연료전지발전

제주도 현안! ‘쓰레기 문제’, 과감한 정책 전환 필요하다.매립장 2년후엔 종료 .

Bonjour Kwon 2014. 4. 17. 07:49

2014.04.17  (목)

제주일보 (webmaster@jejunews.com)

쓰레기 처리 문제가 제주사회의 현안으로 대두됐다. 2016년 포화 예정이던 제주시 봉개동 회천 쓰레기매립장이 오는 7월로 그 수명을 다하기 때문이다. 예상보다 2년 앞당겨진 것이다. 주민과 관광객들이 내다 버리는 생활쓰레기가 큰 폭으로 증가한 탓이다.

 

게다가 행정당국의 대응도 허술하다. 매립장 포화가 코앞으로 다가왔는 데도 이렇다할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현 매립시설을 재사용할 건지, 아니면 신규 매립장을 조성할 건지에 대한 결론이 도출되지 않은 상태다.

 

이러한 사이 입지 시설을 둘러싼 주민 반발이 거세졌고 우려했던 쓰레기 대란이 현실화됐다. 다소 나아졌지만 얼마 전까지만해도 시내 클린하우스엔 생활쓰레기가 넘쳐났다. 방치되다시피한 쓰레기 더미는 행정당국의 뒷북 대응, 그리고 양심마저 쓰레기에 버리는 일부 시민들의 얌체 행위가 빚은 결과일 것이다.

 

이제 문제는 신규 폐기물시설이 하루 빨리 조성돼야 한다는 점이다. 공정(工程)을 감안할 때 적어도 이달까지는 후보지를 선정해야 최악의 상황을 피할 수 있을 거란 지적이 나온다. 현 소각시설이 노후화되고 그에 따른 처리용량 초과로 쓰레기 처리 문제가 살얼음판을 걷는 형국이다.

 

이런 저런 문제점들이 불거졌지만, 현 사태는 우리 쓰레기 처리의 난맥과 근본 해법을 모색케 했다는 점에서 기회일 수 있다. 본보가 최근 3회에 걸쳐 보도한 ‘쓰레기 대란, 위기를 기회로’가 그런 취지다.

 

우리는 쓰레기 문제의 근본 해법으로 소각 및 매립을 최소화하는 정책적 전환을 검토할 때라고 본다. 쓰레기를 이제는 자원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모든 쓰레기를 ‘자원순환’한다는 원칙에 입각한 정책이 적극적으로 검토돼야 할 것이다. 궁극적으론 ‘무소각ㆍ무매립의 섬’이라는 기치를 걸고 나아가야 한다. 그게 세계환경수도 위상에 걸맞은 정책적 방향이다. 현재처럼 매립ㆍ소각에 의존한 쓰레기 처리는 매립장의 포화 문제와 주민 갈등을 되풀이하게 만든다.

 

무엇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선 가정에서부터 배출량을 줄여 나가고 분리 배출을 실천하는 게 관건이다. 다시 말해 ‘가정이 클린하우스’라야 한다. 이게 전제되지 않는 한 쓰레기 문제 해결의 방도는 없을 것이다.

ⓒ 제주일보(http://www.jeju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