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관투자자

'준비없는' 해외·대체투자, 미래 부실 키운다.[공제회 긴급진단]②부동산 투자, 사후관리가 중요…해외투자협의회 활용도 대안

Bonjour Kwon 2014. 4. 27. 12:04

이상균 기자  |  공개 2014-04-25 08:15:00

이 기사는 2014년 04월 22일 15:17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공제회의 지급률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고위험 자산에 투자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투자리스크의 상승은 향후 부실이 생길 가능성을 높아지게 한다. 실제로 공제회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살펴보면 부동산으로 대표되는 대체투자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 대체투자는 주식과 채권투자보다도 더 많은 인력과 세밀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분야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는 점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해외·대체투자, 대세로 자리 잡아

 

최근 공제회들의 향후 투자 계획에서 빠지지 않는 것은 해외와 대체투자다. 지급률이 5%대에 달하는 상황에서 국내 채권투자로는 답이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국내 주식투자가 대안으로 거론되기는 하지만 변동성이 워낙 높다는 점이 걸림돌이다. 사실상 고위험 고수익 자산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투자 비중을 높이는데 한계가 분명하다.

 

공제회의 해외 및 대체투자 확대를 부정적으로 바라볼 수는 없다. 이미 국내 3대 연기금(국민·사학·공무원)도 해외와 대체투자 확대를 공언하고 있다. 대형 공제회의 CIO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연기금들도 해외와 대체투자를 확대하고 있다"며 "투자의 방향이 이미 잡혀진 만큼 향후 해외와 대체투자에서 발생하는 리스크를 어떻게 낮추고 관리하느냐가 쟁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공제회의 경우 이미 투자 포트폴리오가 너무 공격적으로 설정된 것이 걸림돌이다. 일부 공제회의 경우 대체투자가 이미 50%를 넘어 추가로 확대할 여지가 많지 않다. 높은 지급률 때문에 목표수익률이 올라가고 이것이 리스크 높은 투자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