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IPO등>/ ■ M&A

`성장사다리 M&A펀드` 열기 뜨겁다(2개GP 운용사선정 총4500억운용).잠재적 인수기업 (LP)200개도참여 의사 밝혀 중소형 M&A 시장 활성화 기대 높아져

Bonjour Kwon 2014. 5. 2. 05:52

2014.05.01

14개 펀드 제안서 제출… 경쟁률 7대 1

 

 

중소ㆍ중견기업의 인수합병(M&A)을 지원하기 위한 성장사다리펀드의 `성장전략 M&A펀드'에 대한 시장의 반응이 뜨겁다. 자금을 유치하기 위한 운용사(GP) 뿐 아니라 200개에 달하는 전략적 투자자(SI)들이 참여 의사를 밝히고 있다.

 

시장 친화적인 구조로 그간 각종 규제와 구조적인 문제로 활성화하지 못하던 중소형 M&A시장에 `단비'가 될 것이란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성장사다리펀드 사무국이 올해 1차 사업으로 추진 중인 성장전략 M&A펀드에 총 14개 펀드가 제안서를 제출했다. 이 중 5개 펀드는 공동 GP를 결성해 참여했다. 사무국은 이달 말까지 2개 운용사를 선정해 총 1500억원을 출자할 방침이다.

 

성장전략 M&A펀드는 별도의 투자자 모집 없이 펀드를 우선 조성한 이후 피인수기업을 발굴하면 인수를 원하는 기업이 사후적으로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하는 방식이다. 향후 민간출자자(LP)들은 거래의 수익성을 살펴 추가적으로 펀드에 참여할 수 있게된다. 최종적으로 성장사다리펀드 출자금의 3배에 달하는 4500억원 가량의 M&A자금이 올 하반기부터 본격 가동되는 셈이다.

 

이같은 구조로 성장전략 M&A펀드는 출자 계획 발표 당시부터 업계의 비상한 관심을 불러왔다. 결성부터 투자, 최종 인수까지 긴 시간이 소요되는 통상적인 M&A펀드와는 달리, 별도의 민간출자자(LP)없이도 빠른 펀드 결성을 할 수 있도록 한 까닭이다. 아울러 출자금의 최대 30%를 중ㆍ후순위로 출자한다는 점도 운용사와 인수기업들이 높은 관심을 보이는 이유다.

 

실제 이번 M&A펀드 선정에 총 14개 펀드가 몰리며 7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 중이다. 이는 앞서 접수를 마감한 코넥스펀드와 지식재산(IP)펀드의 경쟁률을 훌쩍 뛰어 넘는 수준이다. 코넥스펀드의 경쟁률은 2.5대 1, IP펀드는 3대 1에 그쳤다.

 

운용사들의 높은 경쟁 뿐 아니라 운용사들이 제출한 잠재적 인수기업(SI)의 수도 200개에 달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운용사들 별로 최소 5개부터 최대 30개까지 인수기업의 포트폴리오와 투자 전략을 사무국에 제출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그간 M&A 시장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없던 인수기업의 수요가 몰리면서 업계의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그간 대다수 M&A펀드는 인수기업이 확정되기 전에 자금을 모으기 때문에 민간투자자를 유치하는 데 어려움이 컸다"며 "후순위에 사후매칭 방식이라면 민간출자자들에게도 매력적인 조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잠재 인수기업 후보군이 200개나 나온 상황이라면, 최종 선정된 운용사로 인수를 원하는 기업들의 정보가 몰릴 가능성이 크다"며 "보고펀드와 같은 초대형 M&A하우스가 지원하지 않은 만큼, 이번에 운용사로 선정된 회사는 사실상 중소형 M&A의 절대 강자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종군 성장사다리펀드 사무국장은 "보다 면밀하게 심사를 진행하기 위해 통상 2배수까지만 PT를 진행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3배수를 뽑을 것"이라며 "이달 말 최종 선정을 마무리하고 이르면 다음달 초부터 투자에 나설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