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캐피탈 매각작업 본격화‥다음달 후보군 윤곽
국내외 금융회사·기업·PEF 등에 티저레터 발송
다음주 IM 보낸 후 6월 중하순께 예비입찰 실시
이 기사는 05월09일(05:1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
캐피탈 업계 2위 아주캐피탈의 매각작업이 닻을 올렸다. 이르면 다음달 중순 인수후보군들의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아주그룹과 매각주관사인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은 전날 국내외 금융회사와 기업 등 전략적투자자(SI)와 사모펀드(PEF) 등 재무적투자자(FI)들을 대상으로 투자안내서(티저레터)를 보냈다. 투자안내서란 인수에 관심을 보일 만한 후보군들에게 매각대상 회사에 대한 소개와 일정을 담아보내는 약식 매각공고문이다.
아주산업과 씨티증권은 다음주 인수전 참여를 희망하는 후보군들에 상세한 매각공고문인 투자설명서(IM)를 보낸 후 다음달 중하순께 인수전의 1라운드인 예비입찰을 실시할 계획이다. 예비입찰을 받으면 아주캐피탈 인수후보의 윤곽이 모습을 드러낼 전망이다.
매각대상은 아주산업과 특수관계인이 보유한 아주캐피탈 지분 74.16%다. 현재 주가 기준으로 보유지분의 가치는 2300억원 수준이지만 인수 경쟁이 불붙으면 매각가격이 3000억~4000억원까지 뛸 것으로 IB업계는 보고 있다.
인수후보로는 캐피탈 계열사가 상대적으로 약한 금융지주사 등이 거론된다. 지난해 말 기준 5조1000억원의 자산을 보유한 아주캐피탈은 현대캐피탈(자산규모 21조원)에 이어 캐피탈 업계 2위다. 특히 KB금융지주가 최근 업계 5위 우리파이낸셜(3조9398억원)을 인수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캐피탈 자회사 규모가 작은 금융회사들이 인수전에 뛰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말 우리파이낸셜 인수를 시도했던 금융회사들도 후보군으로 꼽힌다.
단 아주캐피탈의 2대주주인 신한금융지주는 동반매도권(태그얼롱)을 행사해 보유지분을 매각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신한금융지주의 신한은행은 아주그룹이 2005년 대우캐피탈(현 아주캐피탈)을 인수할 때 재무적투자자(FI)로 참여해 지분 12.85%를 갖고 있다.
아주그룹은 본업인 제조업에 역량을 집중하기 위해 아주캐피탈을 팔기로 하고 지난달 씨티증권을 매각주관사로 선정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마켓인사이트
2014-03-11 04:41
[마켓인사이트] 두산캐피탈, 56억 과징금 물고 다시 매물로
두산그룹이 금융자회사 두산캐피탈을 매물로 내놨다.
두산그룹은 산업자본의 금융자본 소유를 금지한 공정거래법을 지키기 위해 두산캐피탈을 매각하기로 하고 삼정KPMG 회계법인을 매각 자문사로 선정했다. 두산그룹은 해외 자회사인 두산헤비인더스트리즈아메리카 등을 통해 두산캐피탈 보통주 32.61%와 우선주 23.80%를 갖고 있다.
두산그룹은 2012년 말 두산캐피탈을 산업은행에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했으나 인수 후보 측과의 가격 차가 커서 성사시키지 못했다. 그 여파로 공정거래법 준수 시한을 넘기는 바람에 지난해 7월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56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공정거래법은 일반 지주회사가 금융 자회사 주식을 보유하거나 지주회사의 자회사가 손자회사의 주식을 40% 미만 보유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두산캐피탈의 가치는 당초 계획했던 매각이 지연되면서 상당폭 하락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2012년 말 산업은행과 지분 51% 매각협상을 벌일 때 가격은 2000억원대로 거론됐다. 하지만 지금은 이보다 훨씬 낮은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정영효 기자 hugh@hankyung.com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레이더M] 캐피탈 업계 매물 `풍년’…시장 소화 의문
2014-04-09 11:05:39
[본 기사는 04월 07일(06:03) `레이더M`에 보도 된 기사입니다]
레이더M 기사 더보기>>>
최근 매각을 검토중인 아주캐피탈을 시작으로 캐피탈사들이 줄줄이 매물로 나올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모기업의 어려운 상황과 업황 악화로 대기업계열 캐피탈사들이 줄줄이 매각 `러시’를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당장 매물로 나올 수 있는 회사로는 아주캐피탈과 KDB금융지주 계열인 KDB캐피탈이 꼽히고 있다. KDB캐피탈은 대기업계열은 아니지만 산업은행 등 정책금융 개편방안에 따라 일찌감치 매물리스트에 오르고 있다. 아주그룹은 시티글로벌마켓증권을 매각주간사로 선정하고 본격적인 매각작업에 착수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KT캐피탈도 조만간 매물 대열에 동참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KT가 `선택과 집중’ 원칙을 천명하면서 비주력 자회사 정리를 추진하고 있는데다 최근 KT ENS사태로 인한 신용도 하락과 조달금리 상승으로 KT캐피탈·KT오토리스 등 여신전문금융 자회사들이 순식간에 경영난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KT가 최근 KT캐피탈이 보유하던 비씨카드 지분(69.54%, 305만9560주)을 모두 넘겨받아 자회사로 만든 것도 KT캐피탈을 정리하기 위한 포석으로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기업의 신용도가 떨어지고 있는 효성캐피탈도 잠재적인 매물 후보로 꼽힌다.
캐피탈업계는 영업과 조달 양쪽에서 압력을 받으면서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다.
캐피탈사는 신용카드사와 같은 여신전문금융업으로 채권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하는게 일반적이다. 이 때문에 채권 금리를 결정하는 신용등급이 경영지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금융지주계열과 대기업계열 일색인 것도 모기업의 신용도를 활용해 낮은 금리에 조달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캐피탈 업계는 한때 저축은행과 비슷한 소매금융 금리를 받으면서 조달금리는 저축은행에 비해 2~3%포인트 낮아 수익성이 높았다. 현대캐피탈·아주캐피탈 등 자동차할부 비중이 높은 회사들이 개인신용대출에 집중한 것은 이 때문이다.
하지만 정부가 2금융권 대출을 `약탈금리’로 규정하고 이자율에 직·간접적 . 시작하면서 업황이 나빠지기 시작했다. 여기에 고유영역인 할부금융과 리스업에 대한 규제도 더해지면서 캐피탈사의 영업환경이 악화일로에 접어들었다.
아주그룹이 업계에서 `알짜’로 꼽히는 아주캐피탈을 내놓은데도 이러한 업황 악화가 주요한 원인으로 꼽힌다. 여기에 모기업의 규모가 KT·롯데 등 다른 회사에 비해서 작아 금리인상 충격이 올 경우 대처가 어려운 까닭도 있다.
최근 한국신용평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캐피탈업계(할부금융·리스) 전체 운용수익은 1년동안 하향곡선을 그린 끝에 1조6777억원을 기록했다. 지난2011년 4분기 운용수익이 1조8042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8분기만에 7%가 줄어든 셈이다.
같은 기간 운용수익률도 11.5%에서 9.4%로 2.1%포인트나 줄어들었다.
업계에서는 나날이 더해지는 정부규제로 수익 감소폭이 갈수록 커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할부금융·리스·신용대출·담보대출 등 광범위한 분야에 발을 걸친 캐피탈업계의 특성상 규제에 따른 여파도 더 크다는 지적이다.
캐피탈사는 이미 지난해 3월 할부취급수수료 폐지의 직격탄을 맞았다. 최근 매각을 검토하고 있는 아주캐피탈을 비롯해 JB우리캐피탈, KB캐피탈 등 자동차할부 비중이 높은 캐피탈사는 금리에서 최소 1~2%포인트의 손해를 보면서 수익성 악화를 감당하고 있다.
리스업계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감독당국은 연초부터 `리스 관행개선 테스크포스’를 꾸려 리스업 전반의 수수료 체계를 뜯어고치겠다고 나섰다. 현재 중개수수료와 금리를 모두 공개하는 할부금융처럼 리스 수수료도 개편될 경우 수익감소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업계에 `큰 장’이 예고돼 있지만 캐피탈사들이 시장에서 인수자를 찾기는 순조롭지 않을 전망이다. 거시경제전망이 갈수록 나빠지고 있어 대기업들이 금융업 확대에 관심이 없고 대형 금융지주들도 이미 계열 캐피탈사를 보유한 곳이 많기 때문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금융지주 덩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캐피탈사 규모가 작은 하나금융·신한금융 정도가 인수유인이 있을 것”이라며 “잠재적인 매물은 많은데 인수할 곳이 마땅치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저축은행업계처럼 일본계 자본 등 외국자본의 손에 넘어갈 여지도 많다. 캐피탈업계에는 이미 한국씨티금융지주와 일본의 오릭스그룹, 외국 완성차업체 등이 진출해있고 스탠다드차타드금융지주는 최근 홍콩계 자본에 매각을 진행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모기업 신용도가 중요한 여신전문금융사 특성상 국내에서 인수후보를 찾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저축은행에 이어 캐피탈사까지 외국자본에 내주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강두순 기자
'■<주식투자.IPO등> > ■ 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 기업 ‘한국 M&A 시장’군침 흘리는데 국내 기업 “인수 매력 없다” 동종업계 매물 동시에 나와 시들해져,(종합) (0) | 2014.05.17 |
---|---|
KDB생명 예비입찰 '흥행 실패' 14일 KDB생명 예비입찰 접수 결과 복수의 외국계와 국내 사모펀드(PEF)만 참여. 국내생보업계에선 관심없어. . (0) | 2014.05.16 |
기업사냥꾼에 무너졌던 '히든챔피언'…디지텍시스템.스법원 'M&A 회생안' 인가, 새 주인 찾는다. (0) | 2014.05.16 |
증소형 증권사 M&A 시동··· 비엔지·아이엠투자證 인수과정 ‘주목’ (0) | 2014.05.16 |
'큰 장' .- LIG손보, 사실상 4파전 속 인수제안가가 승패 가를 듯 - KDB생명, 흥행실패 고심 속 매각지분 줄이기 고육책도 (0) | 2014.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