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동휘 증권부 기자)한국 사모펀드(PEF)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인물 2명을 꼽으라면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과
박영택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 부회장이 언급될 겁니다. 2005년께 비슷한 시기에 독립계 사모펀드 운용사를 창업해 ‘아시아 넘버 1’의 지위를 두고 치열한 경합을 벌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여러 명의 파트너들과 함께하긴 합니다만 이들이 운용하는 펀드 규모가 대략 8조원 가량입니다. 개인적으로도 부와 명예를 거머쥐었는데 연간 운용 수수료로 벌어들이는 돈만 100억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고정 연봉이 그렇다는 얘기이고, 펀드 하나가 해산할 때 받는 성과급도 일반인들로선 상상하기 어려운 천문학적인 액수라고 합니다.
김 회장과 박 부회장 두 사람의 보이지 않는 경쟁은 아시아 사모펀드 시장에서도 주요 화제 거리입니다. 둘 다 성공적인 행로를 걸을 수도 있겠지만 경우에 따라 한 쪽은 승자가, 또 다른 한 쪽은 패자가 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이들 둘은 성향과 출신 등 많은 부분에서 대조적인 캐릭터를 갖고 있습니다. 어느 쪽이 성공할 지에 관심이 더 쏠리는 이유입니다.
MBK와 어피니티의 가장 큰 차이점은 ‘근거지’입니다
. 김 회장은 2005년에 1호 펀드를 만들면서 이를 한국에 등록시켰습니다. 일본 대만 등 아시아 전역에 투자하는 아시아 리져널(regional) 펀드이면서 본사는 한국에 두고 있습니다. 사무실도 광화문에 버젓하게 갖고 있습니다. 실제로 MBK 사람들은 스스로를 ‘토종’ 사모펀드로 불리길 원합니다.
이에 비해 어피니티는 단 한번도 한국에 펀드를 등록한 적이 없는 홍콩계 사모펀드 운용사입니다.
창업자도 K.Y.탕이라는 중국계 말레이시아인입니다. 하이마트, 더페이스샵, 오비맥주, 풀무원, 스카이라이프 등 주로 한국 기업에 투자해 대부분의 수익을 올렸습니다만 근거지는 홍콩입니다.
홍콩이 세율이 낮기 때문이라고도 합니다만 어쨌든 창업자가 외국인이기 때문에 굳이 한국에 펀드 등록을 할 이유가 없었을 겁니다. 이 때문에 박 부회장의 자택도 홍콩에 있습니다.
그런데 특이한 점은 김 회장과 박 부회장의 자라온 배경과 성향을 보면…
--------------------
MBK-어피니티 "한국계 사모펀드 왕중왕 가리자"
MBK파트너스와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AEP)가 거의 동시에 4조원대의 3호 펀드 모집에 나섰다. 어떤 곳이 성공적으로 목표를 달성하느냐에 따라 한국계 사모펀드(PEF)의 ‘왕중왕’이 가려질 전망이다. 한국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단일 펀드 규모가 4조원을 넘어설 수 있을지도 관심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AEP의 3호 펀드 목표액은 35억달러다. 4조원에 육박하는 규모다. MBK 역시 비슷한 금액을 목표로 잡았다.
MBK와 AEP의 현재 운용 규모는 각각 38억달러, 35억달러다. 두 곳 모두 한국 외에 중국 싱가포르 대만 호주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무대로 활약하는 펀드지만 주요 투자 대상이 한국 기업이고, 핵심 인력이 한국인이라는 점에서 한국계 PEF로 분류된다.
AEP는 박영택 부회장 등 UBS캐피털 아시아퍼시틱팀이 2004년 독립해 만들었다.
MBK는 김병주 회장 등 칼라일그룹 아시아 운용역들이 2005년 따로 나와 설립했다.
지금까지는 MBK가 근소한 차이로 한국계 PEF 가운데 운용 규모 기준으로 1위 자리를 고수하고 있다. 하지만 3호 펀드 규모에 따라 순위가 바뀔 수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AEP는 출범 첫해에 7억달러짜리 펀드로 시작했다가 2006년 초 2호 펀드를 28억달러로 키우며 단숨에 2위로 올랐다. 하이마트 더페이스샵에 투자해 ‘대박’을 터뜨리기도 했다. MBK 역시 웅진코웨이 인수를 성사시키는 등 ‘바이아웃’ 전문 펀드로서의 위력을 과시하고 있다.
PEF업계 관계자는 “둘 다 글로벌 펀드 출자자(LP)의 자금을 모집하기 때문에 박빙의 승부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
---------------------------------
SK, 멜론 운영업체 로엔 '어피니티'에 매각
2013.07.18
(서울=연합인포맥스) 이호 기자 = SK가 국내 음원서비스 1위 '멜론'의 운영법인인 로엔엔터테인먼트(이하 로엔)을 사모투자펀드(PEF)인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Affinity Equity Partner)에 매각한다.
SK플래닛은 18일 이사회를 열고 자회사인 로엔의 지분 52.56%를 2천659억원에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의 계열사인 스타 인베스트 홀딩스 리미티트(SIH)에 매각하기로 의결했다.
이번 매각결정에 따라 SK플래닛은 로엔 전체 보유 지분이 67.56%에서 15%로 감소하게 된다.
로엔은 국내 1위 온라인 음원유통서비스업체 멜론을 소유하고 있고 연예인 매니지먼트사업도 펼치고 있다.
SK그룹이 음원서비스 1위인 멜론을 보유한 로엔 매각을 매각하는 이유는 공정거래법의 제재 때문이다.
공정거래법의 '증손회사 규정'에 따르면 지주회사의 손자회사는 자회사를 보유하면 지분을 100% 확보해야 한다.
SK플래닛의 자회사 로엔은 SK㈜의 증손회사로 오는 9월30일까지 지분을 팔거나 시장에 분산된 나머지 지분을 공개 매수해 지분율을 100%로 끌어올려야 한다.
SK플래닛 측은 "지분 매각은 로엔의 성장발전을 고려하면서, SK플래닛의 글로벌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선택과 집중의 전략적 판단에 따라 결정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hlee@yna.co.kr
'■ PEF'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운업이 뭐길래…고전하는 한앤컴퍼니 펄펄나는 IMM.한앤컴퍼니 한진해운 벌크선 사업부 인수 일정 차질, 인수 비용 증가 (0) | 2014.06.05 |
---|---|
한앤컴퍼니는 왜 인터넷 광고 시장에 꽂혔을까? 시멘트,해운 주력하다 인터넷 광고로 (0) | 2014.06.05 |
금감원, 그린손보 인수 자베즈PEF 검사.새마을금고 법규정피해 PEF활용 보험업 우회편법인수? 핵심 투자자가 LP로서 GP에 실질영향? LIG보험 참여포기 (0) | 2014.06.05 |
스위스계 파트너스그룹(50조.국내연기금 1조자금워탁 운용) 한국투자 잰걸음(IFC 빌딩 지분일부ᆞ세화아이엠씨) (0) | 2014.06.04 |
장밋빛 PEF시장…증권사 PE분사로 먹거리 확보 (0) | 2014.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