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원개발

에너지공기업 구조조정 속도낸다.한전 발전 자회사의 해외자원 개발사업 일부분이 광물자원공사로 이관되는 것도 검토.

Bonjour Kwon 2014. 6. 10. 22:41

기사입력일 : 2014-06-10 21:45

글자크기조절

에너지공기업들의 구조조정이 가속화되고 있다.

 

자회사 매각이나 해외자원개발의 통폐합 등이 검토되고 있는 것. 해외자원개발 역할 조정은 부채감축은 물론 역량집중 측면에서 긍정적이라는 게 일반적 평가다. 다만 공기업의 부채감축이 강조되고 있다는 점에서 무리한 통합은 오히려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와 가스공사는 지난달 29일 '가스.석유 자원개발 기능 조정 방안'을 논의했다. 이에 따라 해외자원 탐사.개발 사업은 석유공사 중심으로 추진하고 가스공사는 탐사.개발 이후의 가스 생산과 도입, 국내 유통 중심으로 사업을 조정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가스공사가 직접적으로 해외자원 탐사나 개발에 참여하는 것은 '불가피한' 경우에만 허용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기재부가 밝힌 불가피한 경우는 캐나다 셰일가스 사업처럼 지분 투자로만 국내에 가스를 도입할 수 있거나 이라크 가스전.유전 개발 같은 특정지역 사업을 뜻한다.

 

이 경우 가스공사의 해외 개발사업 중 상당수가 정리될 전망이다. 가스공사가 올 초 정리하는 것으로 보고한 캐나다 액화천연가스(LNG) 사업과 이라크 아카스 가스전 개발사업, 우즈베키스탄 압축천연가스(CNG) 사업 지분 외에 사업도 통폐합되거나 다른 공사로 넘어갈 수 있는 셈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한전 발전 자회사의 해외자원 개발사업 일부분이 광물자원공사로 이관되는 것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아직 구체적으로 정해진 것은 없지만 정부의 지침이 나온다면 인수관련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다는 게 광물자원공사의 설명이다.

 

다만 최근의 공기업 부채 감축 움직임 속에서 무리한 구조조정은 자칫 에너지공기업들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게 관련업계의 지적이다. 석유공사의 경우 2012년 기준 부채규모가 18조원, 광물자원공사는 2조3766억원의 부채를 끌어안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 따라 석유공사는 올해 울산비축기지 매각으로 5190억원의 부채를 줄였고, 앞으로 4년간 3조8000억원의 부채를 줄인다는 목표를 세웠다. 특히 2조원은 올해 감축 목표로 자산합리화와 투자조정, 경비절감을 통해 줄여나갈 방침이다.

 

광물자원공사 역시 올해 해외 사업 축소로 2100억원을 줄이는 등 부채감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광물자원공사는 정상화 계획을 통해 2017년까지 총 1조528억원의 부채를 감축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특히 연초 기재부에 부채감축 보고 당시 해외사업조정을 통해 4년간 총 5147억원의 투자비를 절감한다는 것이 목표다. 만약 역할조정이라는 명목하에 가스공사나 한전 자회사들의 부실 해외자산을 끌어안을 경우 해당 공기업들의 부실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따라서 자산을 끌어안는 기업에 대한 재정지원이 이뤄지거나 경영평가 등에서 부실자산을 끌어안은 것에 대한 현실적 반영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에너지공기업 관계자는 "자원개발에 대한 역할 조정은 역량이 강화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생각한다"며 "다만 무분별한 역할조정은 공기업의 부채감축 노력을 희석시킬 수 있으므로 지양해야 한다"고 말했다. leeyb@fnnews.com 이유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