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관투자자

국내기관투자가. 대체투자도 안정성 우선 선호 뚜렷".인프라PEF,세컨더리PEF.부동산펀드..해외헤지펀드.바이아웃.벤처PEF순

Bonjour Kwon 2014. 7. 23. 10:43

2014.07.23

 

[머니투데이 유다정 기자][2014 해외대체투자세미나 참석자 설문결과 분석]

 

삼성증권이 지난 14일과 21일 개최한 '2014 해외대체투자세미나'에서 국내 주요 32개사의 기관투자자 4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헤지펀드에 비해 유동성은 낮지만 안정적이고 장기투자가 가능한 PEF를 대체투자자산으로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투자자들이 선호하는 PEF의 유형은 ‘인프라PEF’와 기존 PEF의 지분을 중간 매수하는 '세컨더리(Secondary) PEF'가 26%와 19%로 가장 많았다. ‘부동산PEF’와 ‘해외헤지펀드’가 각각 16%, 기업 경영권 인수 후 가치를 높여 재 매각하는 '바이아웃(Buy-out)·벤처캐피탈 PEF'가 13% 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부적으로 ‘바이아웃/벤처캐피탈 PEF’와 ‘세컨더리 PEF’ 전략에서는 유럽에 대한 선호도가 41%로 높아진 점이 눈길을 끌었다. 뒤를 이어 전통적인 선호지역인 북미지역에 대한 선호도가 33%로 나타났다. 유럽과 북미지역의 전반적인 자산에 대한 기대감 상승과 맞물려 대체투자도 선진시장에 대한 기대가 큰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헤지펀드 투자 시에 기관투자자들이 중요하게 보는 평가항목은 ‘과거 성과’ 24%, ‘운용팀 경력’ 20%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2014년 하반기에도 응답자의 91%가 PEF와 헤지펀드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응답해 경기 불확실성으로 기관 및 법인들도 성과가 검증되고 안정적인 대체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